목차
1. 실 험 제 목
2. 실 험 목 적
3. 관 련 이 론
<이론적인 병렬 공진회로>
<실제적인 병렬 공진회로>
◆ 병렬 공진회로에서의 (선택도, 첨예도, 대역폭)
2. 실 험 목 적
3. 관 련 이 론
<이론적인 병렬 공진회로>
<실제적인 병렬 공진회로>
◆ 병렬 공진회로에서의 (선택도, 첨예도, 대역폭)
본문내용
포함된 병렬 공진된 회로의 경우, 이 R은 C의 유전체 저항이라 고려하면 유전체 저항이 클수록 C는 우수한 것이므로 병렬공진회로에서 Q는 C의 품질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이상적인 회로에 한정된다.
Q를 이용하여 각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이론적인 공진회로에서 공진시 L 또는 C로 흐르는 전류는 인가전류의 Q배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병렬 공진회로에서의 Q는 전류 확대비를 의미 한다.
<실제적인 병렬 공진회로>
<실제적인 병렬 공진회로> <실제적인 병렬 공진회로의 Phasor도>
실제적인 병렬 공진회로는 L에 등가저항 R이 포함된 회로로 고려되어야 하므로 이와 같은 회로가 된다. 이 회로의 해석은 위상관계를 이용하여 해석한다.
회로에서 전압을 기준으로 할 때 C에 흐르는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앞서야 되며, L로 흐르는 전류는 L에 직렬로 연결된 R의 영향으로 전류의 위상은 전압보다 만큼 뒤지게 된다. 또한 공진시 인가전압 와 의 위상은 동상이 되어야 하므로 이 관계를 종합하면 공진시의 Phasor도는 위의 그림으로부터 공진시 전류 를 구하면
이 되므로 공진시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된다.
따라서 공진각주파수를 구하면 이 된다.
한편 병렬공진회로에서 Q는 전류 확대비를 나타내므로 Q를 구하면
이 된다.
그러므로 실제적인 병렬회로에서의 이므로 직렬공진의 경우와 마찬가지가 된다. 즉 우리가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공진회로에서 Q는 그 회로가 직렬이든 병렬이든 항상 같다.
◆ 병렬 공진회로에서의 (선택도, 첨예도, 대역폭)
공진회로의 선택도(selectivity)는 회로가 어떻게 주파수의 그룹에 반응하는지를 설명한다. 선택도가 높은 회로는 좁은 범위의 주파수 그룹에 반응하고 그 외의 다른 주파수에는 반응을 하지 않는다. 병렬 공진회로는 또한 특정한 주파수 그룹에 반응한다. 병렬 공진회로에서 임피던스는 주파수의 함수로, 직렬 공진회로의 전류 대 주파수 곡선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병렬 공진회로의 대역폭(bandwidth)은 전류가 최대 전류의 70.7%가 되는 주파수 범위를 말한다. 주파수에 대한 응답의 첨예도(sharpness:날카롭게 응답하는것)는 회로의 Q값에 의해 측정된다. 회로의 Q값은 회로에 저항이 추가된다면 인덕터에서의 Q값과 다를 것이다. L과 C가 병렬인 회로에 저항이 추가 되지 않는다면 병렬 공진회로의 Q값은 인덕터의 Q값과 같게된다.
Q를 이용하여 각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이론적인 공진회로에서 공진시 L 또는 C로 흐르는 전류는 인가전류의 Q배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병렬 공진회로에서의 Q는 전류 확대비를 의미 한다.
<실제적인 병렬 공진회로>
<실제적인 병렬 공진회로> <실제적인 병렬 공진회로의 Phasor도>
실제적인 병렬 공진회로는 L에 등가저항 R이 포함된 회로로 고려되어야 하므로 이와 같은 회로가 된다. 이 회로의 해석은 위상관계를 이용하여 해석한다.
회로에서 전압을 기준으로 할 때 C에 흐르는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앞서야 되며, L로 흐르는 전류는 L에 직렬로 연결된 R의 영향으로 전류의 위상은 전압보다 만큼 뒤지게 된다. 또한 공진시 인가전압 와 의 위상은 동상이 되어야 하므로 이 관계를 종합하면 공진시의 Phasor도는 위의 그림으로부터 공진시 전류 를 구하면
이 되므로 공진시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된다.
따라서 공진각주파수를 구하면 이 된다.
한편 병렬공진회로에서 Q는 전류 확대비를 나타내므로 Q를 구하면
이 된다.
그러므로 실제적인 병렬회로에서의 이므로 직렬공진의 경우와 마찬가지가 된다. 즉 우리가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공진회로에서 Q는 그 회로가 직렬이든 병렬이든 항상 같다.
◆ 병렬 공진회로에서의 (선택도, 첨예도, 대역폭)
공진회로의 선택도(selectivity)는 회로가 어떻게 주파수의 그룹에 반응하는지를 설명한다. 선택도가 높은 회로는 좁은 범위의 주파수 그룹에 반응하고 그 외의 다른 주파수에는 반응을 하지 않는다. 병렬 공진회로는 또한 특정한 주파수 그룹에 반응한다. 병렬 공진회로에서 임피던스는 주파수의 함수로, 직렬 공진회로의 전류 대 주파수 곡선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병렬 공진회로의 대역폭(bandwidth)은 전류가 최대 전류의 70.7%가 되는 주파수 범위를 말한다. 주파수에 대한 응답의 첨예도(sharpness:날카롭게 응답하는것)는 회로의 Q값에 의해 측정된다. 회로의 Q값은 회로에 저항이 추가된다면 인덕터에서의 Q값과 다를 것이다. L과 C가 병렬인 회로에 저항이 추가 되지 않는다면 병렬 공진회로의 Q값은 인덕터의 Q값과 같게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R-L-C 공진회로
직렬공진회로(기초전자통신)
직렬공진회로
기초전기전자공학실험 19장 예비보고서
기초회로실험 결과레포트 - RLC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
오실로스코프 및 공진회로
설계실습 11. 공진회로(Resonant Circuit)와 대역여파기설계 - 결과보고서
설계실습 11. 공진회로(Resonant Circuit)와 대역여파기설계 - 예비보고서
R L C 직렬공진회로
[기초회로실험] 10주차 실험 47, 53장 결과보고서입니다.
[기초회로실험] 10주차 실험 47, 53장 예비보고서입니다.
[결과] 전기전자실험 주파수 응답 및 공진 회로
주파수응답, 공진회로
필터(filter) 결과보고서 - 실험목적, 실험이론, 실험기구 및 재료, 실험방법, 결과, 결론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