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3. 실험기구 및 재료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결론 및 검토
7. 질문 및 토의
8. 참고문헌 및 출처
오차의 표기와 그래프 작성
2. 실험이론
3. 실험기구 및 재료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결론 및 검토
7. 질문 및 토의
8. 참고문헌 및 출처
오차의 표기와 그래프 작성
본문내용
3.54
15.2
3.44
15.3
3.54
15.3
3.44
실험3. LC 공진회로 (Band pass filter)
R
(KHz)
(mV)
(mV)
(KHz)
Q-factor
1㏀
4.93
540
380
2.22
500Ω
4.93
920
650.5
2.311
200Ω
4.93
1750
1237.4
2.417
Bandpass filter의 Q-factor를 실험을 통해 구하고 식을 통해 얻은 이론값과 비교 해본 결과 큰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실험4. Notch-filter
7. 질문 및 토의
교재나 실험시간에 부과되는 질문에 대해 구체적으로 답한다. 개인적인 의문에 대한 답도 쓴다.
8. 참고문헌 및 출처
보고서를 쓰는데 참고한 문헌 및 URL을 기록한다. 참고한 문헌은 제목, 판수, 저자, 출판사, 출판연도를 반드시 기록한다. 논문을 참고했다면 논문제목, 게재논문명, 저자, 권, 호, 페이지, 연도를 기록한다.
오차의 표기와 그래프 작성
1. 모든 측정값에 대한 오차를 표기해야 한다. 1회만 측정할 때 또는 여러 번 측정해도 값의 차이가 없을 때라도 오차를 표기해야 한다.
예1. 자(한 눈금 1mm)로 길이 측정: 0.5mm 또는 0.2mm 또는 0.1mm(개인 능력 또는 자 눈금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예2. digital display: 0.5 last digit
예외: 오차의 여지가 없는 횟수 또는 갯수 등
2. 측정결과 보고
a. () (단위) 여기서 : 평균 : 오차
b. 평균값과 오차의 유효숫자 마지막 자리수를 일치시켜야 한다.
예) 3.140.03(O), 3.140.025(X),
(2.30.5)105(O), 2.31050.5103(X)
c. 오차의 유효숫자는 1개만 사용한다.
단 유효숫자의 값이 1일 때엔 2개 사용
예) 2.710.03, 5.2520.016
*우연오차(random error)일 경우 오차의 유효숫자를 2개 이상 사용하려면 측정횟수가 50번 이상이어야 함.
d. 계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반올림오차(round-off error)를 줄이기 위해 계산과정 중에 있는 숫자의 유효숫자 갯수는 많아도 된다.
3. 그래프
a. 그래프의 캡션(설명문) 표시
b. x축, y축의 물리량과 단위 정확하게 표시
c. 그래프의 전 영역을 활용(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d. 그래프가 어떤 경향성을 가지면 추세선을 그리고 그 결과를 나타낼 것.
e. 에러바(error bar)를 표시한다.
15.2
3.44
15.3
3.54
15.3
3.44
실험3. LC 공진회로 (Band pass filter)
R
(KHz)
(mV)
(mV)
(KHz)
Q-factor
1㏀
4.93
540
380
2.22
500Ω
4.93
920
650.5
2.311
200Ω
4.93
1750
1237.4
2.417
Bandpass filter의 Q-factor를 실험을 통해 구하고 식을 통해 얻은 이론값과 비교 해본 결과 큰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실험4. Notch-filter
7. 질문 및 토의
교재나 실험시간에 부과되는 질문에 대해 구체적으로 답한다. 개인적인 의문에 대한 답도 쓴다.
8. 참고문헌 및 출처
보고서를 쓰는데 참고한 문헌 및 URL을 기록한다. 참고한 문헌은 제목, 판수, 저자, 출판사, 출판연도를 반드시 기록한다. 논문을 참고했다면 논문제목, 게재논문명, 저자, 권, 호, 페이지, 연도를 기록한다.
오차의 표기와 그래프 작성
1. 모든 측정값에 대한 오차를 표기해야 한다. 1회만 측정할 때 또는 여러 번 측정해도 값의 차이가 없을 때라도 오차를 표기해야 한다.
예1. 자(한 눈금 1mm)로 길이 측정: 0.5mm 또는 0.2mm 또는 0.1mm(개인 능력 또는 자 눈금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예2. digital display: 0.5 last digit
예외: 오차의 여지가 없는 횟수 또는 갯수 등
2. 측정결과 보고
a. () (단위) 여기서 : 평균 : 오차
b. 평균값과 오차의 유효숫자 마지막 자리수를 일치시켜야 한다.
예) 3.140.03(O), 3.140.025(X),
(2.30.5)105(O), 2.31050.5103(X)
c. 오차의 유효숫자는 1개만 사용한다.
단 유효숫자의 값이 1일 때엔 2개 사용
예) 2.710.03, 5.2520.016
*우연오차(random error)일 경우 오차의 유효숫자를 2개 이상 사용하려면 측정횟수가 50번 이상이어야 함.
d. 계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반올림오차(round-off error)를 줄이기 위해 계산과정 중에 있는 숫자의 유효숫자 갯수는 많아도 된다.
3. 그래프
a. 그래프의 캡션(설명문) 표시
b. x축, y축의 물리량과 단위 정확하게 표시
c. 그래프의 전 영역을 활용(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d. 그래프가 어떤 경향성을 가지면 추세선을 그리고 그 결과를 나타낼 것.
e. 에러바(error bar)를 표시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도플러효과 결과보고서
삼각측량 결과보고서
다짐시험 결과보고서
운동량보존 결과보고서
카운터 결과보고서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4.비중계(Hydrometer) 실험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6.다짐 완성(Compaction)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8.일축압축(Uniaxial Compression)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9.직접전단 시험(Direct-Shear)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3.체 가름(Sieve Analysis) 완성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1.함수비(Water Content)
물리학1실험 결과보고서#09.현의 진동
물리학1실험 결과보고서#05.일과 에너지
현장실습 결과보고서 (서영엔지니어링 회사 직업체험 후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