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부에서 승인돤 규격품으로 자동차 뒷자석에 등받이를 마주보게 안전의자에
앉혀서 수송
영아를 자동차 좌석이나 무릎에 앉히지 않음
영아가 탄 유모차를 주차된 차 뒤에 방치하지 않음
영아를 에어백이 부탁된 앞좌석에 앉히지 않음
신체 손상
날카롭고 뾰족한 물체를 치움
핀은 잠궈서 영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둠
② 연령 : 4~7개월
< 영아의 주요 발달사항 >
뒤집기를 함
순간적으로 앉음
작은 물체를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음
떨어진 물체를 찾음
눈과 손의 협응이 잘 발달됨
아주 작은 물체에 시선을 집중시켜 찾아 낼 수 있음
입 오물거림(mouthing)이 두드러짐
손과 무릎으로 밀면서 길 수 있음
뒤로 기어감
흡인
단추, 구슬, 주사기 뚜껑과 기타 작은 물체들이 영아의 손에 닿지 않게 함
딱딱한 사탕, 땅콩과 씨가 있는 음식, 핫도그를 통째로 삼킬 수 있으므로 주의
누워 있을 때 음식을 먹이지 않음
장난감에서 떨어져 나갈 수 있는 부분 확인
파우더는 사용 후 영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둠
세탁액, 페인트, 살충제 및 기타 유독성 물질을 집안에 필요이상 보관하지 않음
독극물을 담았던 빈 용기는 사용 후 버리며 독극물을 음식 용기에 보관하지 않음
단추 크기의 건전지는 사용 후 버리고 새로운 건전지는 안전한 곳에 보관
화상
담배, 양초, 향 같은 뜨거운 물체는 높은 곳에 둠
햇빛에 노출을 제한하고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줌
질식
모든 고무풍선은 영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
5개월 이상 되면 아기가 손이나 무릎으로 밀어 올리기 시작하므로 아기침대 이동식 놀이터의 난간을 가로질러 매달리는 장난감을 묶어두지 않음
낙상
높은 의자에 앉힐 때는 억제대를 함
아기침대 난간은 최대한 높이까지 올림
중독
가구나 장난감에 칠해진 페인트에 납성분이 포함되었는지 확인
유독성 물질은 높은 선반에 두거나 캐비닛에 넣고 잠궈야 함
화초는 걸어 두거나 마루보다 높은 위치에 둠
자동차 사고 ( 0~4개월과 같음 )
영아는 정부에서 승인돤 규격품으로 자동차 뒷자석에 등받이를 마주보게 안전의자에
앉혀서 수송
영아를 자동차 좌석이나 무릎에 앉히지 않음
영아가 탄 유모차를 주차된 차 뒤에 방치하지 않음
영아를 에어백이 부탁된 앞좌석에 앉히지 않음
신체 손상
부드럽고 둥글며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장난감을 줌
길고 뾰족한 물체를 장난감으로 주지 않음
날카로운 물체를 영아의 손에 닿지 않도록 함
지나치게 큰 소리가 나는 장난감은 피함
③ 연령 : 8~12개월
< 영아의 주요 발달사항 >
엎드려서 잘 기어다님
기구를 잡고 일어섬
혼자 일어섬
가구 주위를 돌아다님
걸음
기어올라감
물체를 잡아당김
물체를 던짐
작은물체를 집어올릴 수 있음
물체를 입안에 집어넣어 탐색함
억제당하는 것을 싫어함
부모에게서 떨어져 탐색함
간단한 명령과 구문에 대한 이해 증가
흡인
작은 물체를 마루나 가구에서 치우고 아동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둠
고형 식이를 줄 때 아주 작은 조각으로 만들어서 먹임
콩 주머니 장난감이나 마른 콩을 가지고 놀지 않도록 함
4~7개월 참조
화상
모든 난방기구, 난로, 아궁이 앞이나 주변에 안전장치 설치
전기선은 감추거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둠
전기 콘센트에 플라스틱 안전 덮개를 하거나 콘센트 앞에 배치
아기가 뜨거운 물이나 무겁고 날카로운 물체를 밑으로 잡아당길 수 있으므로 늘어진
식탁보가 영아의 손에 닿지 않게 함
질식 / 익사
오븐, 식기세척기,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의 문은 항상 닫아 둠
사용하지 않는 냉장고나 가구의 문은 떼어놓은 채 보관함
세탁용 양동이, 배수구, 화장실 등 물이 가까운 곳에서는 항상 감시
수영장 풀에 울타리 설치 / 불필요한 물은 뺌
목욕을 시키는 동안 영아는 항상 한 손으로 붙잡고 있을 것
낙상
계단의 맨 위와 아래를 막아서 영아의 접근에 대비함
영아에게 안전한 옷과 신발을 착용케 함 (바지 끝이 바닥에 닿지 않게 하며, 구두나 신발에 미끄러지지 않게 신발 끈을 묶어 줌)
특히 계단 근처에서 보행기를 사용하지 않으며, 가능한 한 보행기는 피함
가구는 영아가 혼자 잡아당겨도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견고한지 확인
중독
의사의 처방전 없이 약물을 투여하지 않음
약품과 독극물은 사용 즉시 안전한 자리에 도로 갖다 놓는데 아이가 쉽게 뚜껑을 열 수 없는 것이 적당 함
가정에 구토제인 토근시럽을 비상약으로 비치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한 후 사용
Ⅲ 결론 - Application
<우리아기 안전하게 키우기 프로그램 계획>
화상
모든 난방기구, 난로 앞과 주변에 안전장치 설치
전기선은 감추거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설치
연기 감지기를 점검하고 적절하게 조작함
온수 히터는 49℃ 이하로 설정
아동 근처에서 뜨거운 음식을 요리하거나 먹지 않음
뜨겁지 않은 찬 수증기가 나오는 가습기를 사용
성냥, 난로, 히터, 양초는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둠
질식/흡인
작은 물체들은 아동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함
음식을 줄 때 작은 조각으로 주되 원형으로 주지 않음
장난감 상자는 열린 상태에서 안전하게 고정시킴
질식이 일어났을 때 응급처치를 할 수 있어야 함
중독
건전지를 포함한 독성물질은 높은 선반 위에 두거나 캐비닛을
넣고 잠가야 함
세탁액, 살충제, 약품과 기타 독극물 등은 집안에 필요 이상으로 보관하지 않음
가정에 구토유발제를 아동이 두 번 먹을 분량만큼 준비함
아이가 있는 곳에서 금연함
낙상
목욕통, 샤워할 때 미끄럼 방지판, 천조각 등을 바닥에 깔아 놓음
계단과 복도는 밝게 함
높은 의자나 보행기 같이 아기용 기구를 사용할 때는 억제대를
사용하며, 특히 보행기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
방안 여기저기에 작은 융단을 깔거나 미끄럼 방지판이 덧대진 천 을 깔아 놓음
신체적 손상
칼, 동력기, 소화기 등은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잠금
애완동물은 적절한 훈련을 시키고 광견병 예방접종을 함
그네, 미끄럼틀과 기타 옥외 놀이시설은 안전한지 점검함
마당에는 유리조각, 못 박힌 핀, 기타 잡동사니가 없도록 치움
앉혀서 수송
영아를 자동차 좌석이나 무릎에 앉히지 않음
영아가 탄 유모차를 주차된 차 뒤에 방치하지 않음
영아를 에어백이 부탁된 앞좌석에 앉히지 않음
신체 손상
날카롭고 뾰족한 물체를 치움
핀은 잠궈서 영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둠
② 연령 : 4~7개월
< 영아의 주요 발달사항 >
뒤집기를 함
순간적으로 앉음
작은 물체를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음
떨어진 물체를 찾음
눈과 손의 협응이 잘 발달됨
아주 작은 물체에 시선을 집중시켜 찾아 낼 수 있음
입 오물거림(mouthing)이 두드러짐
손과 무릎으로 밀면서 길 수 있음
뒤로 기어감
흡인
단추, 구슬, 주사기 뚜껑과 기타 작은 물체들이 영아의 손에 닿지 않게 함
딱딱한 사탕, 땅콩과 씨가 있는 음식, 핫도그를 통째로 삼킬 수 있으므로 주의
누워 있을 때 음식을 먹이지 않음
장난감에서 떨어져 나갈 수 있는 부분 확인
파우더는 사용 후 영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둠
세탁액, 페인트, 살충제 및 기타 유독성 물질을 집안에 필요이상 보관하지 않음
독극물을 담았던 빈 용기는 사용 후 버리며 독극물을 음식 용기에 보관하지 않음
단추 크기의 건전지는 사용 후 버리고 새로운 건전지는 안전한 곳에 보관
화상
담배, 양초, 향 같은 뜨거운 물체는 높은 곳에 둠
햇빛에 노출을 제한하고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줌
질식
모든 고무풍선은 영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
5개월 이상 되면 아기가 손이나 무릎으로 밀어 올리기 시작하므로 아기침대 이동식 놀이터의 난간을 가로질러 매달리는 장난감을 묶어두지 않음
낙상
높은 의자에 앉힐 때는 억제대를 함
아기침대 난간은 최대한 높이까지 올림
중독
가구나 장난감에 칠해진 페인트에 납성분이 포함되었는지 확인
유독성 물질은 높은 선반에 두거나 캐비닛에 넣고 잠궈야 함
화초는 걸어 두거나 마루보다 높은 위치에 둠
자동차 사고 ( 0~4개월과 같음 )
영아는 정부에서 승인돤 규격품으로 자동차 뒷자석에 등받이를 마주보게 안전의자에
앉혀서 수송
영아를 자동차 좌석이나 무릎에 앉히지 않음
영아가 탄 유모차를 주차된 차 뒤에 방치하지 않음
영아를 에어백이 부탁된 앞좌석에 앉히지 않음
신체 손상
부드럽고 둥글며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장난감을 줌
길고 뾰족한 물체를 장난감으로 주지 않음
날카로운 물체를 영아의 손에 닿지 않도록 함
지나치게 큰 소리가 나는 장난감은 피함
③ 연령 : 8~12개월
< 영아의 주요 발달사항 >
엎드려서 잘 기어다님
기구를 잡고 일어섬
혼자 일어섬
가구 주위를 돌아다님
걸음
기어올라감
물체를 잡아당김
물체를 던짐
작은물체를 집어올릴 수 있음
물체를 입안에 집어넣어 탐색함
억제당하는 것을 싫어함
부모에게서 떨어져 탐색함
간단한 명령과 구문에 대한 이해 증가
흡인
작은 물체를 마루나 가구에서 치우고 아동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둠
고형 식이를 줄 때 아주 작은 조각으로 만들어서 먹임
콩 주머니 장난감이나 마른 콩을 가지고 놀지 않도록 함
4~7개월 참조
화상
모든 난방기구, 난로, 아궁이 앞이나 주변에 안전장치 설치
전기선은 감추거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둠
전기 콘센트에 플라스틱 안전 덮개를 하거나 콘센트 앞에 배치
아기가 뜨거운 물이나 무겁고 날카로운 물체를 밑으로 잡아당길 수 있으므로 늘어진
식탁보가 영아의 손에 닿지 않게 함
질식 / 익사
오븐, 식기세척기,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의 문은 항상 닫아 둠
사용하지 않는 냉장고나 가구의 문은 떼어놓은 채 보관함
세탁용 양동이, 배수구, 화장실 등 물이 가까운 곳에서는 항상 감시
수영장 풀에 울타리 설치 / 불필요한 물은 뺌
목욕을 시키는 동안 영아는 항상 한 손으로 붙잡고 있을 것
낙상
계단의 맨 위와 아래를 막아서 영아의 접근에 대비함
영아에게 안전한 옷과 신발을 착용케 함 (바지 끝이 바닥에 닿지 않게 하며, 구두나 신발에 미끄러지지 않게 신발 끈을 묶어 줌)
특히 계단 근처에서 보행기를 사용하지 않으며, 가능한 한 보행기는 피함
가구는 영아가 혼자 잡아당겨도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견고한지 확인
중독
의사의 처방전 없이 약물을 투여하지 않음
약품과 독극물은 사용 즉시 안전한 자리에 도로 갖다 놓는데 아이가 쉽게 뚜껑을 열 수 없는 것이 적당 함
가정에 구토제인 토근시럽을 비상약으로 비치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한 후 사용
Ⅲ 결론 - Application
<우리아기 안전하게 키우기 프로그램 계획>
화상
모든 난방기구, 난로 앞과 주변에 안전장치 설치
전기선은 감추거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설치
연기 감지기를 점검하고 적절하게 조작함
온수 히터는 49℃ 이하로 설정
아동 근처에서 뜨거운 음식을 요리하거나 먹지 않음
뜨겁지 않은 찬 수증기가 나오는 가습기를 사용
성냥, 난로, 히터, 양초는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둠
질식/흡인
작은 물체들은 아동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함
음식을 줄 때 작은 조각으로 주되 원형으로 주지 않음
장난감 상자는 열린 상태에서 안전하게 고정시킴
질식이 일어났을 때 응급처치를 할 수 있어야 함
중독
건전지를 포함한 독성물질은 높은 선반 위에 두거나 캐비닛을
넣고 잠가야 함
세탁액, 살충제, 약품과 기타 독극물 등은 집안에 필요 이상으로 보관하지 않음
가정에 구토유발제를 아동이 두 번 먹을 분량만큼 준비함
아이가 있는 곳에서 금연함
낙상
목욕통, 샤워할 때 미끄럼 방지판, 천조각 등을 바닥에 깔아 놓음
계단과 복도는 밝게 함
높은 의자나 보행기 같이 아기용 기구를 사용할 때는 억제대를
사용하며, 특히 보행기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
방안 여기저기에 작은 융단을 깔거나 미끄럼 방지판이 덧대진 천 을 깔아 놓음
신체적 손상
칼, 동력기, 소화기 등은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잠금
애완동물은 적절한 훈련을 시키고 광견병 예방접종을 함
그네, 미끄럼틀과 기타 옥외 놀이시설은 안전한지 점검함
마당에는 유리조각, 못 박힌 핀, 기타 잡동사니가 없도록 치움
추천자료
표중보육과정 구성 원칙 및 연령대별 내용
국가가 실시하고 있는 평가인증제가 보육시설과 종사자, 학부모, 영유아에게 주는 목적이 어...
표준교육과정 6가지
아동건강교육
아동을 위한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 조성
★유아를 위한 기본생활영역과 적합한 보육환경 구성★
최근 어린이집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아동학대의 발생현황과 원인을 제시하고 예방대책에 대...
표준보육과정의 교수법 (기본생활영역, 신체운동영역, 사회관계영역, 의사소통영역, 자연탐구...
우리나라 가족복지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을 서술.
[보육학개론] 보육교사의 의미, 보육교사의 역할, 유능한 교사가 되기 위한 조건, 보육교사의...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환경이나 주택 주변 공원의 실외놀이 환경을 직접 사례로 제시하여 ...
안전한 보육환경은 어떤 것인지 그리고 안전한 보육환경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 보고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