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환경이나 주택 주변 공원의 실외놀이 환경을 직접 사례로 제시하여 실외놀이 환경의 특징, 구성요인, 공간배치를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환경이나 주택 주변 공원의 실외놀이 환경을 직접 사례로 제시하여 실외놀이 환경의 특징, 구성요인, 공간배치를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 환경
2. 서울 00 어린이집 실외놀이 환경
3. 내가 경험한 실외놀이 환경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실제 3~5세 정도로 보이는 아이들은 미끄럼틀 타는 것을 꺼려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5세 이상으로 보이는 남자아이들은 곧잘 미끄럼틀을 탔지만 높은 기울기 때문인지 미끄럼틀을 탄 후 바로 일어서지를 못했다.
나. 분석
우리나라 안정행정부 생활안전과의 미끄럼틀 안전기준법에 의하면, 미끄럼틀 하강 높이가 1.0 m 를 초과하는 연결(부착) 미끄럼틀의 경우, 접근 개방구(입구)를 가로지르는 가로대를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가로대는 플랫폼 보호난간과 활강 지점이 시작되는 부분 사이 또는 울타리와 활강 지점이 시작되는 부분 사이에 설치해야 한다. 가로대의 설치 높이는 700 ~ 900 mm 이어야 한다.
미끄럼틀 활강 지점의 기울기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모든 지점에서 60° 를 초과하거나, 전체 기울기의 평균이 40° 를 넘어서도 안 된다. 활강 지점의 기울기는 중앙선에서 측정한다. 출발지점과 활강지점사이의 전환부위를 제외하고 미끄럼틀의 기울기의 변화정도가 15°를 초과하면, 다음 처럼 둥글려져야 한다.
그러나 조카가 다니는 서울특별시 송파동 어린이집의 실외 놀이터 미끄럼틀은 미끄럼틀 전체 기울기가 언뜻 보아도 50° 이상을 초과하고 있었는데, 미끄럼틀 기울기가 너무 과하게 높아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진 않나 생각해 보았다.
3. 내가 경험한 실외놀이 환경
가. 사례
마지막 사례는 본인이 어릴 적에 실제 경험한 실외 놀이터 안전사고 사례다. 과거 내가 아파트에는 총 4량의 철제 시소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나는 항상 동네 친구들과 시소를 즐겨 타곤 하였다. 그러나 시소를 탈 때마다 몇몇 친구들은 엉덩방아를 찢곤 하였으며, 몇몇 아이들은 울기 까지 한 기억이 있다.
나. 원인분석
우리나라 안정행정부 생활안전과의 시소 안전기준법에 의하면, 시소의 낙하지점에는 반드시 충격흡수재를 깔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 내가 살던 아파트의 시소는 물론 아직까지도 많은 실외 놀이터의 시소 놀이기구 하단에는 충격흡수재를 마련하지 않은 시소 놀이기구가 많아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보았다.
Ⅲ. 결론
영유아들은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이에 적절히 대처할 능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영유아 놀이기구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놀이기구들이 안전기준과 설치법에 따라 적법하게 설치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Ⅳ. 참고자료
어린이집 운영관리 문혁준 저 | 창지사 | 2015.02.12.
  • 가격4,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7.19
  • 저작시기201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5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