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 환경
2. 서울 00 어린이집 실외놀이 환경
3. 내가 경험한 실외놀이 환경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 환경
2. 서울 00 어린이집 실외놀이 환경
3. 내가 경험한 실외놀이 환경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실제 3~5세 정도로 보이는 아이들은 미끄럼틀 타는 것을 꺼려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5세 이상으로 보이는 남자아이들은 곧잘 미끄럼틀을 탔지만 높은 기울기 때문인지 미끄럼틀을 탄 후 바로 일어서지를 못했다.
나. 분석
우리나라 안정행정부 생활안전과의 미끄럼틀 안전기준법에 의하면, 미끄럼틀 하강 높이가 1.0 m 를 초과하는 연결(부착) 미끄럼틀의 경우, 접근 개방구(입구)를 가로지르는 가로대를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가로대는 플랫폼 보호난간과 활강 지점이 시작되는 부분 사이 또는 울타리와 활강 지점이 시작되는 부분 사이에 설치해야 한다. 가로대의 설치 높이는 700 ~ 900 mm 이어야 한다.
미끄럼틀 활강 지점의 기울기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모든 지점에서 60° 를 초과하거나, 전체 기울기의 평균이 40° 를 넘어서도 안 된다. 활강 지점의 기울기는 중앙선에서 측정한다. 출발지점과 활강지점사이의 전환부위를 제외하고 미끄럼틀의 기울기의 변화정도가 15°를 초과하면, 다음 처럼 둥글려져야 한다.
그러나 조카가 다니는 서울특별시 송파동 어린이집의 실외 놀이터 미끄럼틀은 미끄럼틀 전체 기울기가 언뜻 보아도 50° 이상을 초과하고 있었는데, 미끄럼틀 기울기가 너무 과하게 높아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진 않나 생각해 보았다.
3. 내가 경험한 실외놀이 환경
가. 사례
마지막 사례는 본인이 어릴 적에 실제 경험한 실외 놀이터 안전사고 사례다. 과거 내가 아파트에는 총 4량의 철제 시소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나는 항상 동네 친구들과 시소를 즐겨 타곤 하였다. 그러나 시소를 탈 때마다 몇몇 친구들은 엉덩방아를 찢곤 하였으며, 몇몇 아이들은 울기 까지 한 기억이 있다.
나. 원인분석
우리나라 안정행정부 생활안전과의 시소 안전기준법에 의하면, 시소의 낙하지점에는 반드시 충격흡수재를 깔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 내가 살던 아파트의 시소는 물론 아직까지도 많은 실외 놀이터의 시소 놀이기구 하단에는 충격흡수재를 마련하지 않은 시소 놀이기구가 많아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보았다.
Ⅲ. 결론
영유아들은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이에 적절히 대처할 능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영유아 놀이기구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놀이기구들이 안전기준과 설치법에 따라 적법하게 설치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Ⅳ. 참고자료
어린이집 운영관리 문혁준 저 | 창지사 | 2015.02.12.
나. 분석
우리나라 안정행정부 생활안전과의 미끄럼틀 안전기준법에 의하면, 미끄럼틀 하강 높이가 1.0 m 를 초과하는 연결(부착) 미끄럼틀의 경우, 접근 개방구(입구)를 가로지르는 가로대를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가로대는 플랫폼 보호난간과 활강 지점이 시작되는 부분 사이 또는 울타리와 활강 지점이 시작되는 부분 사이에 설치해야 한다. 가로대의 설치 높이는 700 ~ 900 mm 이어야 한다.
미끄럼틀 활강 지점의 기울기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모든 지점에서 60° 를 초과하거나, 전체 기울기의 평균이 40° 를 넘어서도 안 된다. 활강 지점의 기울기는 중앙선에서 측정한다. 출발지점과 활강지점사이의 전환부위를 제외하고 미끄럼틀의 기울기의 변화정도가 15°를 초과하면, 다음 처럼 둥글려져야 한다.
그러나 조카가 다니는 서울특별시 송파동 어린이집의 실외 놀이터 미끄럼틀은 미끄럼틀 전체 기울기가 언뜻 보아도 50° 이상을 초과하고 있었는데, 미끄럼틀 기울기가 너무 과하게 높아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진 않나 생각해 보았다.
3. 내가 경험한 실외놀이 환경
가. 사례
마지막 사례는 본인이 어릴 적에 실제 경험한 실외 놀이터 안전사고 사례다. 과거 내가 아파트에는 총 4량의 철제 시소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나는 항상 동네 친구들과 시소를 즐겨 타곤 하였다. 그러나 시소를 탈 때마다 몇몇 친구들은 엉덩방아를 찢곤 하였으며, 몇몇 아이들은 울기 까지 한 기억이 있다.
나. 원인분석
우리나라 안정행정부 생활안전과의 시소 안전기준법에 의하면, 시소의 낙하지점에는 반드시 충격흡수재를 깔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 내가 살던 아파트의 시소는 물론 아직까지도 많은 실외 놀이터의 시소 놀이기구 하단에는 충격흡수재를 마련하지 않은 시소 놀이기구가 많아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보았다.
Ⅲ. 결론
영유아들은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이에 적절히 대처할 능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영유아 놀이기구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놀이기구들이 안전기준과 설치법에 따라 적법하게 설치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Ⅳ. 참고자료
어린이집 운영관리 문혁준 저 | 창지사 | 2015.02.12.
추천자료
놀이의 특성과 중요성에 대한 고찰
치료적 놀이 활동 보고서
놀이 이론에 대한 이해
교실놀이 사례1(장님칼싸움, 검지칼싸움), 교실놀이 사례2(사회자 놀이, 앞따따따, 연상놀이,...
[놀이][운동놀이][극화놀이][연극놀이][전통놀이][사고놀이][협동놀이][공작놀이][운동][극화...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팽이치기, 제기차기,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실뜨기놀...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개념, 분류,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중요성, 한국 전통민속놀이와 학습활...
[아동 놀이활동][특수교육아동][정신지체아동][자폐아동]특수교육아동 놀이활동, 정신지체아...
[영유아교수론]영유아에게 있어서 자유놀이(자유선택놀이)가 주는 이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 ...
영아기와 유아기의 자유선택(놀이)활동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자신의 교육 신념...
[놀이지도] 만 3세 유아의 놀이발달 및 놀이특징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놀이)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영유아의 놀이행동을 분석하고, 실내외 흥미영역에서의 영유아 관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