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유아의 놀이행동 분석
1) 인지적 놀이행동 유형
2) 사회적 놀이행동 유형
3) 사회․인지적 놀이행동 유형
2. 실내외 흥미영역에서의 영유아 관찰사례
1) 실내 흥미영역에서의 영유아 관찰사례
2) 실외 흥미영역에서의 영유아 관찰사례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영유아의 놀이행동 분석
1) 인지적 놀이행동 유형
2) 사회적 놀이행동 유형
3) 사회․인지적 놀이행동 유형
2. 실내외 흥미영역에서의 영유아 관찰사례
1) 실내 흥미영역에서의 영유아 관찰사례
2) 실외 흥미영역에서의 영유아 관찰사례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쳐다보거나 피한다.
(실외놀이 관찰, 2017, 4. 12)
위의 두 사례에서 나타나듯이, 만 3세 유아들은 같은 유치원에 다니지만 평소에는 잘 만나지 못하는, 실외놀이 시간에 마주치는 유아들에 대하여 관심과 두려움을 동시에 갖고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형들이 하는 놀이나 행동을 유심히 살펴보고 호기심을 보이면서도, 막상 형들이 자신들의 놀이하는 장소에 다가오면 바로 놀이가 중단되거나, 놀던 놀잇감을 다 놓고 도망가버리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었다.
3. 시사점
영아가 낯선 환경에 접하는 것은 일상생활 중의 한 부분이며, 그 환경에 적응하면서 환경에 대한 탐색과 놀이는 시작된다. 그런데 환경에서의 탐색과 놀이에 관해 논할 때 이 둘을 같은 의미로 볼 것인가, 아니면 분리된 의미로 볼 것인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탐색과 놀이를 같은 의미로 보는 입장은 이 모든 과정들이 결국은 놀이라는 전체 속에 포함되며 이것이 결국은 학습과 연결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탐색과 놀이를 구분하는 입장은 탐색을 놀이가 일어나기 전의 행동으로 규정하고, 신중하고 긴장된 마음과 태도로써 대상을 살피는 행동을 탐색으로 보고, 탐색이 이루어지고 난 후 ‘그 대상으로 무엇을 할까’를 생각하며 자유롭게 다양한 유형으로 조작해 보는 것을 놀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영유아의 놀이행동을 분석하고, 실내외 흥미영역에서의 영유아 관찰사례를 제시해 보았다. 인지발달과 관련하여 놀이유형을 분류하고 있는 대표적인 학자로는 Piaget(1962)가 있다. 그는 놀이를 단순한 동작만 반복하는 연습놀이, 표상을 사용하는 상징놀이, 약속과 규칙을 사용하여 놀이를 하는 규칙있는 놀이로 나누고 있다. 그 외에도 Smilansky(1968), Frost & Klein(1979), Parker(1984) 등이 이와 비슷하게 놀이유형을 분류하고 있으며, 이들은 초기 영아기, 즉 감각 운동기에는 아이들이 단순한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즐거움을 얻는 시기이며, 점점 표상을 사용하여 사물을 대치할 수 있는 상징놀이가 발달되어 간다고 보았다.
참고문헌
김희진 외(2004). 영아를 위한 프로그램의 실제. 창지사.
김재숙(2004). 유아교사를 위한 실외놀이 가이드북. 정민사.
문경미 외(2011). 바깥놀이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태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박성주 외(2012). 유아의 혼자놀이와 외로움 및 자아인식과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실외놀이 관찰, 2017, 4. 12)
위의 두 사례에서 나타나듯이, 만 3세 유아들은 같은 유치원에 다니지만 평소에는 잘 만나지 못하는, 실외놀이 시간에 마주치는 유아들에 대하여 관심과 두려움을 동시에 갖고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형들이 하는 놀이나 행동을 유심히 살펴보고 호기심을 보이면서도, 막상 형들이 자신들의 놀이하는 장소에 다가오면 바로 놀이가 중단되거나, 놀던 놀잇감을 다 놓고 도망가버리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었다.
3. 시사점
영아가 낯선 환경에 접하는 것은 일상생활 중의 한 부분이며, 그 환경에 적응하면서 환경에 대한 탐색과 놀이는 시작된다. 그런데 환경에서의 탐색과 놀이에 관해 논할 때 이 둘을 같은 의미로 볼 것인가, 아니면 분리된 의미로 볼 것인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탐색과 놀이를 같은 의미로 보는 입장은 이 모든 과정들이 결국은 놀이라는 전체 속에 포함되며 이것이 결국은 학습과 연결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탐색과 놀이를 구분하는 입장은 탐색을 놀이가 일어나기 전의 행동으로 규정하고, 신중하고 긴장된 마음과 태도로써 대상을 살피는 행동을 탐색으로 보고, 탐색이 이루어지고 난 후 ‘그 대상으로 무엇을 할까’를 생각하며 자유롭게 다양한 유형으로 조작해 보는 것을 놀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영유아의 놀이행동을 분석하고, 실내외 흥미영역에서의 영유아 관찰사례를 제시해 보았다. 인지발달과 관련하여 놀이유형을 분류하고 있는 대표적인 학자로는 Piaget(1962)가 있다. 그는 놀이를 단순한 동작만 반복하는 연습놀이, 표상을 사용하는 상징놀이, 약속과 규칙을 사용하여 놀이를 하는 규칙있는 놀이로 나누고 있다. 그 외에도 Smilansky(1968), Frost & Klein(1979), Parker(1984) 등이 이와 비슷하게 놀이유형을 분류하고 있으며, 이들은 초기 영아기, 즉 감각 운동기에는 아이들이 단순한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즐거움을 얻는 시기이며, 점점 표상을 사용하여 사물을 대치할 수 있는 상징놀이가 발달되어 간다고 보았다.
참고문헌
김희진 외(2004). 영아를 위한 프로그램의 실제. 창지사.
김재숙(2004). 유아교사를 위한 실외놀이 가이드북. 정민사.
문경미 외(2011). 바깥놀이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태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박성주 외(2012). 유아의 혼자놀이와 외로움 및 자아인식과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추천자료
정신지체아와 치료레크리에이션의 적용 (놀이치료)
유아의 연령차이에 따른 극놀이 진행의 차이
정신지체아 사회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놀이치료
인성교육 시범운영 보고서 - 극놀이를 통한 더불어 사는 태도 함양
연구계획서 - 영아의 언어발달과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관계: 놀이상황을 중심으로
테라플레이에 대하여 서술, 테라플레이(Theraplay, 치료놀이)의 개념, 기본가정, 기본 목적, ...
영유아 발달과 놀이의 발달
유아와 아동에 적합한 놀이 환경 구성
유아와 아동 놀이이론
유아 아동 대상 쌓기 놀이 지도
[자폐][전반적 발달장애][자폐아동]자폐(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동)의 특성, 반향어, 자폐(...
영아(~만 2세)의 애착발달에 놀이가 필요한 이유
[보육교사론] 실내 자유놀이 영역(블록, 역할, 수과학, 언어, 미술)중 한 영역을 선택하...
[신지체아 언어치료][정신지체 치료][정신지체아 언어치료] 정신지체 - 정신지체 특징, 정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