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론
ⅱ.............................6.25전쟁의 배경과 전개
ⅲ.............................전통주의적 관점
ⅳ.............................수정주의적 관점
ⅴ.............................신전통주의적 관점
ⅵ.............................결 론 : 6.25전쟁의 성격규명
ⅱ.............................6.25전쟁의 배경과 전개
ⅲ.............................전통주의적 관점
ⅳ.............................수정주의적 관점
ⅴ.............................신전통주의적 관점
ⅵ.............................결 론 : 6.25전쟁의 성격규명
본문내용
가지 근거를 들어(한국전쟁이전 북한과 중국의 관계가 좋지는 않았음, 조중비밀협정의 존재자체가 의문스러움) 옳지 않은 주장이라고 했다.
수정주의가 등장한 뒤로 한반도 내적인 상황이 한국전쟁을 발발했다는 주장도 심심치 않게 등장했다. 김일성과 이승만의 각각의 정치불안과 남한의 공산화, 남북간의 군비경쟁등이 6.25전쟁을 일으켰다는 주장이 수정주의자들에의 해 꾸준히 주장되어졌다.
ⅴ신전통주의적 관점
수정주의와 전통주의가 엎치락뒤치락하는 가운데 미국과 소련의 비밀 문서가 공개 되므로써 기존의 전통주의에 실증적인 근거가 마련되어 신전통주의적 관점이 생겨났다. 신전통주의적 관점은 대부분 전통주의적 관점을 계승하고 있으며 여러 문서를 통해 뒷받침 되고 있다. 모택동과 스탈린의 회담이나 김일성이 모스코바에 2차례나 방문하여 스탈린에게 전쟁을 일으켜도 되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한 것이 이를 알려준다. 신전통주의적 관점이 등장한 이래로 수정주의적 관점은 점점 힘을 잃고 있다.
ⅵ결론 : 한국전쟁의 성격규명
국내외의 많은 정치 사정을 고려해보면 전통주의적 관점이나 수정주의적 관점이 모두 옳고 모두 틀린 것은 아닌 것 같다. 소련은 확실히 한반도가 빨리 공산화 되어 아시아 대륙에서 영향력을 넓히려는 미국을 견제하려고 했던 것은 사실이고 미국이 전쟁발발이 예상되는 시점에서 자국의 군대를 철수시킨 것도 분명히 전쟁발발에 책임이 없다고 보기는 힘들다. 국내 정치의 불안과 좌우익의 이념적 대립도 결코 전쟁의 책임에서 벗어 날수 없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북한이 먼저 선제공격을 했다는 것이고 이에 대해 북한은 전쟁의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해 줬다는 점에서 책임을 피하기 힘들다. 그렇기에 나는 6.25전쟁의 성격을 ‘국내외 여러 가지 상황이 얽혀져서 만들어진 민족의 비극’이라고 하고 싶다. 한쪽의 일방적인 책임이 있는 것도 아니기에 아직 전쟁은 끝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런것이다. 어서 하루빨리 민족이 통일되어 이땅에서 총성이 멎길 바라며 보고서를 마치겠다.
참고문헌 - (‘한국전쟁 원인에 대한 역사학적 검토’ -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이재훈)
참고자료 - 네이버 백과사전(6.25전쟁), 네이버 지식인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3&dir_id=1306&eid=cmUGHZOH+Q37OuIenF9pywcjS/vmxZkl&qb=vcXA/MXrwdbAxyC68bnQua68rQ==)
수정주의가 등장한 뒤로 한반도 내적인 상황이 한국전쟁을 발발했다는 주장도 심심치 않게 등장했다. 김일성과 이승만의 각각의 정치불안과 남한의 공산화, 남북간의 군비경쟁등이 6.25전쟁을 일으켰다는 주장이 수정주의자들에의 해 꾸준히 주장되어졌다.
ⅴ신전통주의적 관점
수정주의와 전통주의가 엎치락뒤치락하는 가운데 미국과 소련의 비밀 문서가 공개 되므로써 기존의 전통주의에 실증적인 근거가 마련되어 신전통주의적 관점이 생겨났다. 신전통주의적 관점은 대부분 전통주의적 관점을 계승하고 있으며 여러 문서를 통해 뒷받침 되고 있다. 모택동과 스탈린의 회담이나 김일성이 모스코바에 2차례나 방문하여 스탈린에게 전쟁을 일으켜도 되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한 것이 이를 알려준다. 신전통주의적 관점이 등장한 이래로 수정주의적 관점은 점점 힘을 잃고 있다.
ⅵ결론 : 한국전쟁의 성격규명
국내외의 많은 정치 사정을 고려해보면 전통주의적 관점이나 수정주의적 관점이 모두 옳고 모두 틀린 것은 아닌 것 같다. 소련은 확실히 한반도가 빨리 공산화 되어 아시아 대륙에서 영향력을 넓히려는 미국을 견제하려고 했던 것은 사실이고 미국이 전쟁발발이 예상되는 시점에서 자국의 군대를 철수시킨 것도 분명히 전쟁발발에 책임이 없다고 보기는 힘들다. 국내 정치의 불안과 좌우익의 이념적 대립도 결코 전쟁의 책임에서 벗어 날수 없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북한이 먼저 선제공격을 했다는 것이고 이에 대해 북한은 전쟁의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해 줬다는 점에서 책임을 피하기 힘들다. 그렇기에 나는 6.25전쟁의 성격을 ‘국내외 여러 가지 상황이 얽혀져서 만들어진 민족의 비극’이라고 하고 싶다. 한쪽의 일방적인 책임이 있는 것도 아니기에 아직 전쟁은 끝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런것이다. 어서 하루빨리 민족이 통일되어 이땅에서 총성이 멎길 바라며 보고서를 마치겠다.
참고문헌 - (‘한국전쟁 원인에 대한 역사학적 검토’ -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이재훈)
참고자료 - 네이버 백과사전(6.25전쟁), 네이버 지식인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3&dir_id=1306&eid=cmUGHZOH+Q37OuIenF9pywcjS/vmxZkl&qb=vcXA/MXrwdbAxyC68bnQua68rQ==)
추천자료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1,2장 요약
동아시아의 근대사에서 아편전쟁의 의미
한국전쟁과 그 과제 - 끝나지 않은 전쟁
1950년대의 문학 -전후의 현실과 문학의 분열-
[이라크전쟁][9 11 테러][반전운동][이라크전쟁의 본질][9 11 사건][테러]이라크전쟁의 정치...
[911테러][911사태][911테러에 대한 미국 대응][911테러가 남북관계에 미친 영향]911테러에 ...
베트남(월남전)전쟁에 대한 고찰
[미국독립전쟁][미국독립혁명][독립전쟁][독립혁명]미국독립전쟁(미국독립혁명)의 의의와 미...
십자군 전쟁, 성전의 이면에서 본 유럽의 발전과 후퇴
논문요약-아편전쟁과문호개방에대한중국의역사교육과역사인식
유럽관련자료(사건)
제2차세계대전의 성격, 제2차세계대전의 전개과정, 제2차세계대전과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
콜라전쟁 사례 분석 [코카콜라 vs 펩시]
의병전쟁 (한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