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병전쟁 (한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병전쟁 (한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의병전쟁

1. 의병전쟁의 시기구분

2.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
⑴ 을미의병 乙未義兵
⑵ 을사의병 乙巳義兵
⑶ 정미의병 丁未義兵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공주·회덕·연산·진잠 등지에서는 김동신(金東臣)이 유력한 의병진을 편성, 활약하였다.
한편, 북한지역에서도 이 시기에 들어와 의병항일전이 활발하게 펼쳐졌다. 황해도에서는 박정빈(朴正彬)·이진룡(李鎭龍)이 주축이 되어 평산에서 봉기하였고, 평민출신 김수민(金秀民)의병진이 경기도 장단에서부터 황해도 서흥일대에 이르기까지 막강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평안도의 경우에는 김여석(金汝錫) 의병진이 덕천·맹산 일대에서 활약하였으며, 채응언(蔡應彦)은 함경도·평안도 접경지대에서 항일전을 수행하였다. 함경도 의병항일전은 홍범도(洪範圖)·차도선(車道善) 등이 삼수·갑산 등지에서 산포수와 광산노동자들을 규합하여 강력한 의병진을 편성하였다. 최재형(崔在亨)은 경원에서 이범윤(李範允)·엄인섭(嚴仁燮)·안중근(安重根) 등과 함께 의병진을 편성, 일본군과 신아산전투(新牙山戰鬪)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정미의병이 전국적으로 확대, 발전함에 따라, 1908년초 이인영(李麟榮)을 주축으로 전국의병진의 연합에 의한 서울진공작전이 추진되기까지 하였다. 원주에서 봉기한 이구재(李求載)·이은찬(李殷贊) 등의 추대로 관동의병장(關東義兵將)이 된 이인영은 전국의병진의 연합을 호소하는 격문을 각지의 의병장들에게 보냈다. 이에 호응한 각 도의 의병들이 양주의 대진소로 모여들면서 총 48진, 1만여 명에 달하였다.
이어 이인영을 총대장으로 하는 13도창의군(十三道倡義軍)을 결성, 서울진공작전을 수립하였다. 1908년 1월 허위는 300여 명의 선발대를 거느리고 동대문 밖 30리 지점까지 이르렀으나, 일본군의 선제공격을 받고 후속부대와의 연락이 단절되면서 패퇴하고 말았다. 서울진공작전이 무산되면서 여러 의병들은 분산, 독자적인 항일전을 수행해갔다.
정미의병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항쟁이 보다 격화되어가자, 일제는 야만적인 초토화작전을 전개, 의병활동지역 안의 촌락들을 소각하고 주민들을 대량 살육함으로써 의병항일전의 근원을 봉쇄하려 하였다.
특히, 후기로 접어들면서 호남일대의 의병 항쟁이 치열해지자, 일제는 1909년 9월부터 약 2개월에 걸쳐 이른바 ‘남한대토벌작전’이라는 대공세를 펼쳤다. 그 결과 정미의병은 1909년 후반기부터 점차 예기가 꺾여 1910년을 지나면서부터는 전면항일전으로서의 의미가 상실되고 말았다.
정미의병은 이전 의병에 비해 다음과 같은 뚜렷한 특징이 있다. 첫째, 의병진 성원이 다양해진 점이다. 유생 이외에도 해산군인·평민·천민의병장 등이 대거 등장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상인·공인·노동자·농민 등 전 계층이 의병항일전에 동참함으로써 전면항일전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둘째, 해산군인이 의병에 합류함에 따라 무기와 편제가 정예화되어 전력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의병주도계층이 다양해짐에 따라 의병진이 점차 소규모화, 다원화되어 산간지대를 근거로 하는 유격전술을 효과적으로 전개할 수 있었다.
넷째, 1910년 경술국치 때까지 명맥을 이어오던 정미의병은 점차 북상, 남북만주·연해주 지역으로 활동무대를 옮겨 항전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갔다. 그리하여 1920년대의 독립전쟁론에 입각하여, 항일전을 전개한 독립군으로 계승, 발전되었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 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義兵運動史」(金義煥, 博英社, 1974)
「의병과 독립군」(윤병석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獨立軍運動史硏究」(朴成壽, 創作과 批評社, 1980)
「反日義兵의 歷史的展開」(姜在彦, 『韓國近代史硏究』, 한울, 1982)
「大韓帝國期 義兵硏究」(朴敏泳, 한울아카데미, 1998)
「義兵의 抗日戰」(尹炳奭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19, 1984)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4.10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5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