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이론
2. 실험결과
1) 벤츄리관을 통한 유량 계산
2) 판오리피스관을 통한 유량측정 결과
2. 실험결과
1) 벤츄리관을 통한 유량 계산
2) 판오리피스관을 통한 유량측정 결과
본문내용
던 것 같다.
벤츄리 관과 오리피스는 같은 역할을 하지만, 벤츄리관이 오리피스보다 손실이 더 적도록 설계 되있다는 것 그리고 오리피스란 수조의 벽 또는 흐름을 막는 관에 구멍을 뚫어 유체를 유출시키는 구멍을 말하는 것 또한 알게 되었다.
벤츄리미터는 관의 단면적이 급격히 줄어들었다가 중앙부에서 최소단면적이 되고, 다시 관의 단면적이 완만하게 확대되는 구조이다. 그렇기 때문에 압력손실이 작으나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보통 이론적으로 10% 정도의 낮은 압력손실이 있다.
오차율은 비교적 오리피스에 비해 벤츄리관이 더 낮게 나왔으며, 실험 시 오차의 원인들은 시간을 재는데에 있어서의 미세한 오차와 물에 불순물이 많아서 관을 흐르면서 마찰로 인한 오차도 발생했을 수 있다. 그리고 벤츄리관의 경우는 마노미터의 물의 눈금들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서 마찬가지로 측정 시에 오차가 생겼을 수 있다. 계산 과정은 다소 복잡하였으나... 기초적 이론도 없던 상태에서 이 만큼의 유체에 대한 이해와 응용을 해볼 수 있어서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던 것 같다. 유체에 대해 정확히 배워본 다음에 한번 더 실험을 한다면 더욱 더 정확한 실험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벤츄리 관과 오리피스는 같은 역할을 하지만, 벤츄리관이 오리피스보다 손실이 더 적도록 설계 되있다는 것 그리고 오리피스란 수조의 벽 또는 흐름을 막는 관에 구멍을 뚫어 유체를 유출시키는 구멍을 말하는 것 또한 알게 되었다.
벤츄리미터는 관의 단면적이 급격히 줄어들었다가 중앙부에서 최소단면적이 되고, 다시 관의 단면적이 완만하게 확대되는 구조이다. 그렇기 때문에 압력손실이 작으나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보통 이론적으로 10% 정도의 낮은 압력손실이 있다.
오차율은 비교적 오리피스에 비해 벤츄리관이 더 낮게 나왔으며, 실험 시 오차의 원인들은 시간을 재는데에 있어서의 미세한 오차와 물에 불순물이 많아서 관을 흐르면서 마찰로 인한 오차도 발생했을 수 있다. 그리고 벤츄리관의 경우는 마노미터의 물의 눈금들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서 마찬가지로 측정 시에 오차가 생겼을 수 있다. 계산 과정은 다소 복잡하였으나... 기초적 이론도 없던 상태에서 이 만큼의 유체에 대한 이해와 응용을 해볼 수 있어서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던 것 같다. 유체에 대해 정확히 배워본 다음에 한번 더 실험을 한다면 더욱 더 정확한 실험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