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ASD: Allowable Stress Design - 허용응력 설계법
▷ LRFD: Load Resistance Factor Design - 하중저항계수 설계법
▷ ASD: Allowable Stress Design - 허용응력 설계법
▷ LRFD: Load Resistance Factor Design - 하중저항계수 설계법
본문내용
있다. (신뢰도)
② 파괴모드의 중요도에 따라 목표안전도를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계수 조정 가능. (안전률의 조정성)
③ 발생가능한 모든 한계상태를 고려 -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 (거동)
④ 구조물의 시공형식이나 재료에 무관하게 공통설계기준의 제시가 가능. (재료무관 시방서)
⑤ 통계자료에 기초하여 계수를 결정하므로 자료의 보완에 따라 설계기준 개정이 용이. (설계기준개정)
⑥ 고정하중이 지배적인 구조에서 보다 경제적이며 일관성 있는 안전수준을 보유. (경제성)
단점
① 기존설계법과 상이. (변화)
② 기존 설계시스템 개정에 노력과 비용이 필요. (설계시스템 개정)
③ 설계실무에의 적용에 설명이 불충분. (이론지향적)
④ 경제적인 면에서 동기부여가 아직까지는 미흡. (경제성)
② 파괴모드의 중요도에 따라 목표안전도를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계수 조정 가능. (안전률의 조정성)
③ 발생가능한 모든 한계상태를 고려 -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 (거동)
④ 구조물의 시공형식이나 재료에 무관하게 공통설계기준의 제시가 가능. (재료무관 시방서)
⑤ 통계자료에 기초하여 계수를 결정하므로 자료의 보완에 따라 설계기준 개정이 용이. (설계기준개정)
⑥ 고정하중이 지배적인 구조에서 보다 경제적이며 일관성 있는 안전수준을 보유. (경제성)
단점
① 기존설계법과 상이. (변화)
② 기존 설계시스템 개정에 노력과 비용이 필요. (설계시스템 개정)
③ 설계실무에의 적용에 설명이 불충분. (이론지향적)
④ 경제적인 면에서 동기부여가 아직까지는 미흡. (경제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