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1장 법원의 조직과 원리
제12장 법원의 권한과 운영
-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
제12장 법원의 권한과 운영
-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
본문내용
제11장 법원의 조직과 원리
1. 법원의 헌법상 지위
(1) 개요
1) 제 101조
① 사법권은 법관으로 구성된 법원에 속한다.
- 법원사법의 원칙을 규정한 것
- 권력분립에 관한 규정
- 법원은 입법부와 행정부뿐만 아니라 헌법재판소와의 관계 속에서 일정한 헌법적 지위를 가지고 있음
(2) 사법기관으로서의 지위
① 법원은 헌법재판소와 더불어 넓은 의미의 사법권을 행사하는 기관
② 법관으로 구성, 소송절차에 따라 사법권을 행사하는 것이 그 본래의 직무
③ 사법권
- 법률을 만들거나 정책을 형성하고 집행하는 것과는 달리 법을 판단하고 유지하는 소극적인 권한
- 헌법 제 101조 제 1항에 따라 원칙적으로 법원이 행사
④ 법원사법의 원칙에 대한 예외
- 헌법재판 중 위헌법률 심판 ․ 탄핵심판 ․ 위헌정당해산심판 ․ 권한쟁의심판 ․ 헌법소원 심판은 헌법재판소의 관할로 하고 있음
- 국회의원에 대한 자격심사와 징계처분은 국회의 자율에 맡기고 있음
- 행정쟁송에 있어서 행정심판은 행정기관이 다룰 수 있도록 하고 있음
- 사면 ․ 복권 ․ 감형은 대통령의 권한으로 하고 있음
(3) 중립적 권력기관으로서의 지위
1) 사법작용의 핵심
① 분쟁 당사자나 이해관계자의 어느 일방에 기울지 않은 독립 된 기관이 제3자적 입장에서 판단한다는 점 에 있음: 사법작용을 관장하는 기관으로서 법원은 중립적이어야 함
② 특히 정당국가적 경향이 짙어감에 따라 의회와 집행부가 정당을 통해 서로 통합됨으로써 법원의 정치적 중립성은 그 의미가 더욱 커지고 있음
③ 사법권의 독립과 법원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 헌법 제103조
2) 법원이 집행부와 입법부 등 그 밖의 국가기관으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해서 다른 모든 국가기관으로부터 아무런 통제도 받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아님
① 우리 헌법은 대법원장과 대법관은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토록 하고 있음
② 법원의 예산안을 정부가 편성하고 국회가 확정(헌법 제154조)
③ 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할 수 있는 방안들이 실현되어야 함: 독자적인 예산편성권 부여, 법관선거인단에 의한 법원구성 등
- 중 략 -
1. 법원의 헌법상 지위
(1) 개요
1) 제 101조
① 사법권은 법관으로 구성된 법원에 속한다.
- 법원사법의 원칙을 규정한 것
- 권력분립에 관한 규정
- 법원은 입법부와 행정부뿐만 아니라 헌법재판소와의 관계 속에서 일정한 헌법적 지위를 가지고 있음
(2) 사법기관으로서의 지위
① 법원은 헌법재판소와 더불어 넓은 의미의 사법권을 행사하는 기관
② 법관으로 구성, 소송절차에 따라 사법권을 행사하는 것이 그 본래의 직무
③ 사법권
- 법률을 만들거나 정책을 형성하고 집행하는 것과는 달리 법을 판단하고 유지하는 소극적인 권한
- 헌법 제 101조 제 1항에 따라 원칙적으로 법원이 행사
④ 법원사법의 원칙에 대한 예외
- 헌법재판 중 위헌법률 심판 ․ 탄핵심판 ․ 위헌정당해산심판 ․ 권한쟁의심판 ․ 헌법소원 심판은 헌법재판소의 관할로 하고 있음
- 국회의원에 대한 자격심사와 징계처분은 국회의 자율에 맡기고 있음
- 행정쟁송에 있어서 행정심판은 행정기관이 다룰 수 있도록 하고 있음
- 사면 ․ 복권 ․ 감형은 대통령의 권한으로 하고 있음
(3) 중립적 권력기관으로서의 지위
1) 사법작용의 핵심
① 분쟁 당사자나 이해관계자의 어느 일방에 기울지 않은 독립 된 기관이 제3자적 입장에서 판단한다는 점 에 있음: 사법작용을 관장하는 기관으로서 법원은 중립적이어야 함
② 특히 정당국가적 경향이 짙어감에 따라 의회와 집행부가 정당을 통해 서로 통합됨으로써 법원의 정치적 중립성은 그 의미가 더욱 커지고 있음
③ 사법권의 독립과 법원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 헌법 제103조
2) 법원이 집행부와 입법부 등 그 밖의 국가기관으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해서 다른 모든 국가기관으로부터 아무런 통제도 받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아님
① 우리 헌법은 대법원장과 대법관은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토록 하고 있음
② 법원의 예산안을 정부가 편성하고 국회가 확정(헌법 제154조)
③ 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할 수 있는 방안들이 실현되어야 함: 독자적인 예산편성권 부여, 법관선거인단에 의한 법원구성 등
- 중 략 -
추천자료
조선로동당의 북한 통치체계에 대한 연구
[비교정치행정론] 근대입헌주의 헌법질서와 현대복지국가 헌법질서의 비교.PPT자료
한국의 정부형태와 대통령제 - 제도와 현실
2014년 1학기 상담심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상담심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상담심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의원내각제와 대통령중심제의 차이를 설명하고, 우리나라 헌법상의 통치형태에 대해서 언급.
2017년 1학기 상담심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상담심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상담심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통치의 기본구조 A형] 사법권의 범위를 설명하시기 바랍니다
(통치의 기본구조 B형) 탄핵제도에 관하여 설명하시기 바랍니다
(통치의 기본구조 C형) 국정감사권을 설명하시기 바랍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