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의 중세문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배경
 1. 역사적 배경
 2. 게르만 인의 특질과 서양문화
 3. 중세의 초민족적 문학사상의 배경
 4. 중세의 사회구조(봉건제도의 성립)

Ⅱ. 중세 문학
 1.중세 문학의 계열
 2. 교회 및 라틴문학
 3. 영웅서사시
 4. 서정시와 이야기

Ⅲ. 마치며

본문내용

은 13세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것 가운데 “여름이 왔네”라는 구절로 시작되는 이른바 <뻐꾸기의 노래>는 중고영어로 쓰인 최초의 서정시로 알려져 있다. 이 시는 음산한 겨울이 지나가고 초목이 싹트는 좋은 시절이 왔음을 소박하게 노래한 것이다. 14세기 후반에는 동일 작자에 의해 쓰인 것으로 보이는 4편의 시, <진주>, <순결>, <인내>, <게웨인 경과 푸른 옷의 기사>가 뛰어난 작품이다. 각기 취향을 달리하고 있으나 작자의 의도는 교훈적인 방면에 있었던 듯하다. 그러나 <캔터베리 이야기>를 제외하고 중고영어로 쓰인 것 가운데 가장 중요한 작품은 14세기 후반에 창작된 <농부 피어즈의 환상>이다. 작자는 하급의 성직자 랭랜드라고 하나 분명하지는 않다. 내용은 중세문학 특유의 우의적인 꿈 이야기로서 참된 믿음의 길을 설명한 두운의 장시이다. 또한 ‘종교개혁의 새벽별’이라 일컬어지는 신학자 위클리프가 라틴어의 성서를 영역한 것도 14세기 말경의 일이다.
5. 스페인
스페인의 중세문학 기간은 9세기부터 15세기까지이며 9세기부터 12세기까지를 전기중세, 그 이후를 후기 중세라고 한다. 스페인문학에서 도시의 중산문학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보면 거의 없는 편이며 프랑스 클뤼니 교단의 영향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종교적 믿음을 고양시킬 목적으로 종교적도덕적인 내용이 문학의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공통된 형식으로 쓰였다. 시 행이 각각 14음절을 이루면서 끝이 같은 음으로 운율을 이루는 4행시를 한 연으로 하며, 여러 연으로 구성된 장시 형태의 ‘꾸아데르나 비아’ 또는 알렉산더 대왕의 업적을 이 형식으로 이야기했다 하여 ‘알레한드리노’라고도 부르는 형태의 문학이다. 이러한 문학 장르를 ‘사제들의 일’이라고 부르는데, 승려들이 라틴어로 된 성서상의 내용을 대중들이 알기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대중어(로망스어, 스페인의 경우 까스떼야노)로 쓴 작품이기 때문이다. 서정시로부터 서사시, 풍자시에 두루 사용된 이 양식은 14세기까지 존재했다.
스페인 문학의 또 다른 장르는 ‘떠돌이 가수들의 일’이다. 앞선 장르보다 형식에 있어 덜 엄격하고, 덜 규칙적인 이 장르는 구두로 전해진 문학이라 듣는 이를 즐겁게 하기 위해 울림이 좋은 언어와 생생한 표현으로 현재의 TV나 신문과 같은 역할을 했다.
스페인 서사문학의 대작 <엘 시드의 노래>를 스페인 최초의 문학작품으로 보지만 아랍 지배하의 스페인 지역에 사는 기독교인들이 아랍시의 영향을 받아 로망스어인 모사라베어로 쓴 시 형식인 ‘하르차’를 스페인 최초의 문학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엘 시드의 노래>가 1140년의 작품인 반면 ‘하르차’는 9세기 것까지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분량이나 언어의 중요도에 있어 ‘하르차’가 <엘 시드의 노래>에 미치지 못하는 관계로 ‘하르차’를 문학사에서 <엘 시드의 노래>만큼 중요하게 다루지는 않고 있다.
중세 스페인의 경우, 시 그룹은 4개가 있다. 이베리아 반도 서북쪽의 가예고-포르투게스, 동부쪽의 까딸란, 남부의 안달루시아, 중부의 까스띠야이다. 까쓰띠야에는 까쓰떼야노로 쓴 시 ‘비얀시꼬’가 있다. 다른 지역보다 서정미가 약하고 사랑의 시보다 정치, 사회 인물이나 풍습에 관한 시가 많다. 12세기 중반에 지어진 작품은 스페인 국토회복전쟁 당시의 실제 영웅 로드리고 디아스 데 비바르의 삶에 대한 이야기이다. 13세기의 가장 대표적인 문인은 알폰소 현왕(1252~1280)이다. 문학과 과학에 특히 관심을 보였으며 왕 자신이 시인으로서 <성모마리아 송가집>을 엮었다. 14세기에는 알폰소 현왕의 조카인 돈 후안 마누엘(1282~1348)이 있다. 그의 작품 <루까노르 백작>은 산문으로 된 흥미로운 이야기로 가득한 인생 교훈서이다. 그와 동시대인으로 이따 지역의 사제인 후안 루이스(1283?~1350)가 있다. 그의 <좋은 사랑의 서>는 작가가 자신의 사랑의 전기를 쓴다는 구실 하에 만들어낸 문학적 이상과 세상사를 아주 우아하게 섞은 일련의 패러디 문학의 한 표본이다.
스페인의 까딸루냐 지역은 프랑스 남부와의 문화적정치적인 관계와 바르셀로나 도시 중산층의 정치적경제적 중요성으로 인하여 스페인의 다른 지역보다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래서 중산층의 윤리적 가치와 사회 양상을 보여주는 문학이 그곳에서 탄생될 수 있었다. 프로방스 서정시의 영향 아래 까딸루냐에는 15세기까지 음유시 양식의 서정시 학파가 발전했으나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영향으로 그 이후 사라졌다.
스페인의 북서쪽 지역인 갈리시아-포르투갈 지역에는 그 지역 자연과 주민들의 심성에 잘 어울리는 서정시 그룹이 있다. ‘깐띠가스 데 아미고’라는 ‘친구의 노래’로 번역되는 이 장르는 사랑하는 연인들의 애끓는 사랑의 시이다.
Ⅲ. 마치며
중세문학은 초기에는 게르만족의 전설에서 비롯된 영웅서사시가 주류를 차지하고 있지만, 뒤로 가면 중세의 봉건사회와 귀족문화를 반영한 기사도문학과 서정시가 주류를 이루게 된다. 이는 중세의 사회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후기로 가면, 서민들의 의식이 높아져 풍자와 같은 서민적 요소도 많이 첨가되고 있다. 중세의 각 나라의 문학발달을 살펴보면 눈에 띄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자국어로 문학작품을 기록했다는 것이다. 라틴어가 공용어로 사용되기는 했지만, 카롤링거 르네상스로 인해 성직자와 귀족층의 언어로 굳어지고, 민중들 사이에서는 속어가 발달하여 자국어가 형성되어 간 것이다. 스페인의 경우(<엘 시드의 노래>와 ‘하르차’)를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중세 문학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자국어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자료
김승옥, 『서양문학의 흐름』,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0.
이준섭, 『프랑스문학사Ⅰ』, 서울: 세손출판사, 1993.
이미영최예정, 『새로 배우는 영국문학사』, 경기: 한신문화사, 2000.
박상진, 『이탈리아 문학사』, 부산: 부산외국어대학 출판부, 1997.
김현창, 『스페인 문학사』, 경기: 범우사, 2004.
김희보, 『세계문학사 작은 사전』, 서울: 가람기획, 2002.
안영옥, 『스페인문화의 이해』,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0.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11.14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40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