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교육평가레포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교육목표 분류학의 발전 배경
◆ 교육목표 분류학의 원칙
◆ 교육목표 분류학 이점
◆ Bloom의 新 교육목표 분류학 배경
◆ Bloom의 新 교육목표 분류학 내용
◆ Bloom의 新 교육목표 분류학에서
얻을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

본문내용

영역에 제4의 영역으로 행동영역을 추가
- 각 영역들은 5개의 유목들을 각각 지님
- 각 유목들은 2~3개의 하위유목을 지님
- 수업에 융통성 있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다양한 통합방법을 시도 할 수 있음
- 구성주의적 시각이 반영
▶ 마르차노(Marzano, 2001)
- 정보처리 수준과 지식영역 차원으로 분류 시도
-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지식의 본질과 마음 간의 상호 작용이 어떻게 이 루어지는가에 대한 이해의 결과
- 지식의 인출, 이해, 분석, 지식활용, 메타인지, 자기체제 사고로 세분화
- 6가지 처리수준은 각각 3가지 지식차원을 포함(정보영역, 정신적 절차, 심동적 절 차)
- 정보영역은 다시 세부항목과 아이디어 조직으로 구성, 정신적 절차와 심동적 절차는 기능과 과정 영역을 포함.
- 블룸과 비슷하나 ‘자기체제 사고’와 ‘메타인지’영역을 추가.
- 처리수준 차원의 6개 수준과 지식차원의 3개 영역으로 설명.
※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
▶ 행동형을 분류하는 데만 관심을 두었을 뿐 교육과정의 내용이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전혀 언급이 없다.
▶ 내용과 행동 뿐 아니라 기술과 지식의 혼동이 나타나고, 나아가서는 교육과 훈련의 구분도 무시함
▶ 교육은 본질적으로 가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 교육에서 가치를 분리시키는 순간 이미 교육이 아니다
- 교육프로그램의 가치만을 강조하는 것은 명백히 중립적일 수 없으며 포괄적일 수 도 없다.
▶ 지식은 몇몇 조각들의 총체일 수도 없고, '인지적 영역=지식+이해+적용+분석+종합 +평가'라는 등식도 성립할 수 없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11.15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42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