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발문전략에서의 인지적 영역체계와 정의적 영역체계 설명과 Bloom의 인지적 영역체계-미리보기 확인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독서발문전략에서의 인지적 영역체계와 정의적 영역체계 설명과 Bloom의 인지적 영역체계

본문내용

. 첫째, 내적 준거에 의한 판단이다. 이것은 의사소통의 정확성과 일관성이라는 내적 준거에 의해 판단하는 능력이다. 둘째는 외적 준거에 의한 판단이다. 이것은 설정된 준거에 비추어 자료, 사물, 정책 등을 판단하는 능력이다.
예) 자료의 논리적 일관성을 판단하기
내적 준거에 따라 작품의 가치를 판단하기
범주
특성(학습과제의 예 )
지식
학습된 정보를 기억해내는 능력
(중력의 정의를 말할 수 있다.)
지적능력과 기능



이해
자료의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으로 번역, 해석, 추론 능력이 포함됨
(기체의 온도와 부피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적용
학습된 정보를 구체적인 상황에 이용하는 능력
(용액의 몰농도와 부피가 주어지면 용질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분석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자료를 그 요소로 나누는 능력
(중력장에서 포물선 운동하는 물체의 운동을 분석할 수 있다.)
종합
전체를 구성하기 위해 요소를 모으는 능력, 창의력과 유사함
(진자 운동을 하는 물체가 받는 여러 가지 힘을 합성할 수 있다.)
평가
준거를 세우고 적용하여 자료의 가치를 판단하는 능력
(산소와 수소의 결합을 통한 수증기 합성 반응을 나타낸 몇 가지
모형을 보고, 질량 보존의 법칙, 기체 반응의 법칙, 돌턴의 원자설에
근거하여 이들이 적합한 모형인지 판단할 수 있다.)
■ 참고문헌
1. 권대훈, 《교육평가》, 안동대학교, 2002.
2. 김종서 외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1997
3. 변창진 외저, 《교육평가》, 학지사, 1998
4. 최동근 외, 《교육방법의 공학적 접근》, 교육과학사, 2004.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97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