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낯익은 이야기들
2. 황태자의 첫사랑
3. 국가적 시련 앞에서
4. 또 다른 시련 쟁총(爭寵)
5. 행복한 결말
6. 같지만 다른 이야기
2. 황태자의 첫사랑
3. 국가적 시련 앞에서
4. 또 다른 시련 쟁총(爭寵)
5. 행복한 결말
6. 같지만 다른 이야기
본문내용
위기에 빠뜨린다. 황후나 ‘정비’는 ‘양귀비’의 간악함을 알고 있지만 오직 황제만 모르고 있다. 상황이 그 지경에 이르기까지 황제는 속수무책(束手無策)이었다. 뿐만 아니라 조정의 제신(諸臣)들 역시 ‘양경’에 매수되거나 그를 두려워하는 인물들뿐이다. 누구 하나 나서 ‘양경’을 비난하지 못한다. 비난한 인물들은 모두 ‘정비’의 주위에 모여 있다. 황제나 조정의 신하들은 누구인가. 그들은 남성이었다. 이는 남성 위주 사회에 대한 비판이다.
『정비전』은 다른 여성 영웅 소설과 달리 이야기의 구성 면에서는 참신하기는 하다. 하지만 ‘정비’는 남성 중심 사회에 대한 비판의 전형에 머물고 있다. 그녀는 남성들의 전유물이었던 군신(君臣) 관계를 여성도 가질 수 있다고 보여줄 뿐이다. 그녀를 통해 남성이 출장입상(出將入相)이라면 여성은 전시에는 장수로 나서지만 평상시에는 내조의 여왕이 되는 것이 여성의 역할임을 알 수 있다. ‘정비’가 ‘이경춘’의 집에 잠시 머물면서, 그의 딸과 혼인하는 이야기가 있다. 결국 ‘정비’의 정체는 탄로 나지만 그녀는 ‘이경춘’의 딸을 태자의 후궁으로 생각한다. 이는 남성 중심 사회에 대해 암묵적으로 동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정비전』은 다른 여성 영웅 소설과 달리 이야기의 구성 면에서는 참신하기는 하다. 하지만 ‘정비’는 남성 중심 사회에 대한 비판의 전형에 머물고 있다. 그녀는 남성들의 전유물이었던 군신(君臣) 관계를 여성도 가질 수 있다고 보여줄 뿐이다. 그녀를 통해 남성이 출장입상(出將入相)이라면 여성은 전시에는 장수로 나서지만 평상시에는 내조의 여왕이 되는 것이 여성의 역할임을 알 수 있다. ‘정비’가 ‘이경춘’의 집에 잠시 머물면서, 그의 딸과 혼인하는 이야기가 있다. 결국 ‘정비’의 정체는 탄로 나지만 그녀는 ‘이경춘’의 딸을 태자의 후궁으로 생각한다. 이는 남성 중심 사회에 대해 암묵적으로 동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홍길동전 연구
영웅소설 유충렬전에 대한 고찰
영웅 소설 전반과 홍길동전. 조웅전에 관해서
A+레포트 고전소설
『조웅전(趙雄傳)』의 특징과 고전소설교육의 방향
조웅전, 유충렬전 - 이원론적 세계관과 가문의 영광
<이해룡전> 윤리소설의 실체, 동요하는 지배계층
고전소설의 미학, 고전소설의 민족미학, 미학적 영웅소설, 미학적 역사소설, 염상섭 소설의 ...
영웅소설 작품구조의 시대적 성격
허균과 ‘홍길동전(洪吉童傳)’
허균과 ‘홍길동전(洪吉童傳)’
숨겨진 욕망의 발현, 영웅소설 [고전민중문학사에서의 영웅이란]
[소설][단편소설][장편소설][영웅소설]소설과 단편소설, 소설과 장편소설, 소설과 영웅소설, ...
통속성과 영웅소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