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장군의 한산도 대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순신 장군의 한산도 대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16세기 후반기의 내외정세
 (2) 임진왜란과 이충무공
 (3) 한산도 대첩
 (4) 이충무공 정신과 교훈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통해 읽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일개변방의 무관으로 나가 있을 때나 한 나라의 수군을 모두 통제하는 총사령관으로 일할 때나, 또 억울한 누명을 쓰고 형장에 끌려가 온갖 천대와 모진 고문을 당하고 백의종군할 때나 한 결 같이 한 마디의 불만을 토로함이 없었고 오직 자나 깨나 나라를 지키고 백성을 안전하게 하는 데만 골몰했던 것이다. 이 같은 장군의 애국관과 애족정신은 초인적이며 위대한 것이다. 사람을 움직이며 지휘하는데 우리 역사상 가장 뛰어난 리더쉽을 가졌지만 그 같은 능력을 정치적으로 활용하려 하지 않았고 자시의 영달에 이용하지 않았으며 오직 국방을 위해 사용하였던 것이다. 그는 노량해전을 진두지휘하다가 적탄을 맞고 장렬한 최후를 마치는 순간에도 ‘싸움이 바야흐로 급하니 내가 죽었다는 말을 삼가라.’면서 적을 무찌르기를 당부했다. 54세를 일기로 세상을 살다간 장군에게 영의정에까지 추증되었지만 그는 결코 살아생전에 높은 벼슬이나 공을 탐낸 것이 아니라 나라와 민족을 목숨으로 수호하는 외로운 한 길만을 걸었던 것이다.
3. 결론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충무공 이순신 장군은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는 점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그리고 그분의 탁월한 선견지명과 유비무환의 생활철학을 비롯하여 거룩한 호국정신을 높이 평가해야한다는 사실도 잘 알고 있다. 경천위지지재를 다하여 보천욕일지공을 이룩한 불세출의 애국자이며 지도자였음은 새삼 언급할 나위가 없다.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는 정신을, 어떠한 난관에 직면해서도 헤쳐 나가는 정신을, 남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자력으로 해결해 나가는 자주정신 또한 모두가 높이 사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강조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만약 이충무공정신을 말로만이 아니라 실행을 통해 본받고 이를 생활화해 나가는데 게을리 한다면 그것은 오히려 그를 욕되게 하는 것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오늘날 격변하는 국제정세를 헤치고 조국의 평화적 통일과 번영을 앞당겨 이룩하기 위해서는 우리 민족은 물론 각계인사들이 앞장서서 이충무공정신을 실천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
● 박재광 외(2008), <충무공 이순신의 생애와 임진왜란>, 서울특별시역사편찬위원회
● 박재훈(2007), <충무공 리더십 계승 막강 ‘충무해군’ 건설>, 국방홍보원

키워드

이순신,   장군,   한산도,   대첩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1.17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4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