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공][이순신장군][거북선][충무공 이순신장군 거북선 화력][판옥선]충무공 이순신장군 거북선 의의, 충무공 이순신장군 거북선 구조, 충무공 이순신장군 거북선 화력, 판옥선 특징, 판옥선 유래, 판옥선 구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충무공][이순신장군][거북선][충무공 이순신장군 거북선 화력][판옥선]충무공 이순신장군 거북선 의의, 충무공 이순신장군 거북선 구조, 충무공 이순신장군 거북선 화력, 판옥선 특징, 판옥선 유래, 판옥선 구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충무공 이순신장군 거북선의 의의

Ⅲ. 충무공 이순신장군 거북선의 구조
1. 주요 길이
2. 배의 내부구조

Ⅳ. 충무공 이순신장군 거북선의 화력

Ⅴ. 판옥선의 특징

Ⅵ. 판옥선의 유래

Ⅶ. 판옥선의 구조

참고문헌

본문내용

편이다. 일반적으로 약간의 현호를 주는 편이 전체적인 배의 성능을 좋게함에도, 판옥선에 현호를 거의 주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이물(선수)에 화포를 쉽게 설치하기 위해 선수현호를 작게 만들었다고 해석하는 학자들도 있다.
판옥선과 거북선의 이물비우(船首材)는 세로로 결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다른 한국 전통 배의 이물비우는 가로로 결합되어 있지만, 판옥선의 이물비우는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세로로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 각선도본의 판옥선 그림을 보면 배 이물의 판자가 세로로 결합된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판옥선 이물비우(船首材)에는 귀신그림(鬼面)이 그려져 있는 것이 있는데, 이것이 단순한 그림인지, 아니면 적선을 파괴하기 위해 배로 충돌할때 사용하는 충각용 돌기(Ram)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많은 학자들이 단정적인 결론을 내리고 있으나, 대부분 단순한 추정에 불과한 것이다. 판옥선의 갑판 가운데에는 장대(將臺)가 위치하고 있다. 장대는 현대 군함의 함교와 유사하게 갑판 위에 높게 만들어진 구조물로 지휘관이 높은 곳에서 지휘할 수도 있도록 만든 시설이다. 판옥선 그림에 그려진 장대의 위치가 그림마다 조금식 차이가 있어서, 장대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각선도본 속의 판옥선은 두 돛대가 모두 눕혀진 상태이다. 다른 한선과 마찬가지로 판옥선의 돛대도 눕힐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판옥선에는 돛대 외에 신호용 깃발을 올리는 별도의 깃대(승기죽:昇旗竹)도 세워져 있다. 각선도본 상의 판옥선에는 상층갑판에 키를 조작하는 키 손잡이(舵柄)가 보이지 않는다. 키 손잡이가 하층갑판(1층)에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으나, 다른 판옥선 그림에는 상층갑판(2층)에 키 손잡이가 설치된 경우도 있다. 각선도본의 판옥선 그림에는 닻을 조작하는 닻줄물레도 보이지 않는다. 닻줄물레가 없었다고 생각할 수 없으므로, 닻줄물레가 단순히 생략된 것이거나, 하층갑판(1층)에 닻줄물레가 존재할 것이다. 상층갑판과 하층갑판을 오르내리는 출입구도 분명하지 않다.
참고문헌
김재근 - 우리배의 역사, 서울대 출판부
김용국 - 거북선의 기원과 발달, 국방사학회보, 1977
김종대 - 이순신 평전, 지평, 2003
김재근 - 거북선, 정우사, 1992
김정진·남경완 - 거북선: 신화에서 역사로, 랜덤하우스중앙, 2005
남천우 - 유물의 재발견, 정음사, 1987
이순신 역사연구회 - 이순신과 임진왜란, 비봉출판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8.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3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