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금속 피막과 부식
가. 부동막 피막
나. 자연화 생성막
다. 녹 피막
2. 동 부식 화합물
3. 철 부식 화합물
4. 철 녹의 생성
가. 부동막 피막
나. 자연화 생성막
다. 녹 피막
2. 동 부식 화합물
3. 철 부식 화합물
4. 철 녹의 생성
본문내용
안정하다. 이러한 상태가 소위 녹이다.
그러나 실제의 부식은 평형상태, 즉 안정의 형태가 아니다. 철이 용해되어 이온이 되는 상태가 일어나기 쉬운지 아닌지는 용해의 속도가 관계된다. 금속을 전기적으로 양극으로 해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부식 속도를 조사하는 방법이 채택된다. 전류가 클수록 격렬하게 용해된다.
최초 천천히 녹이 슨 철은 내식성이 좋지만, 급속하게 녹이 슨 것은 좋지 않다고 하지만 실제는 급속하게 녹이 슬면 적청의 단계에서 변화가 종료되어 커다란 덩어리로 침전된다.
또한 무정형 옥시수산화철이 아주 천천히 숙성한 것같은 상태가 되어 α-FeOOH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지만 별로 내식성이 좋지 못하다. 무정형의 옥시수산화철이 가장 내식성이 좋다.
산화물의 생성에는 침전, 산화속도, 이온의 상황 등에 따라 복잡한 경로가 있으며, 각각의 산화물은 생성 경로가 다르다. 동일 물질이라도 생성 경로에 따라 다양한 산화물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보통강의 녹은 철위에 반드시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하층은 밀착층으로 강하게 부착되어 있어 브러쉬 등으로 마찰하여도 제거되지 않는다. 그위에 약하게 부착된 이른바 부청층이 있다. 양층 모두 옥시수산화철이 함유되어 있는데 치밀한 정도가 다르다(Fig. 9).
또한 녹층 밑에 FeSO4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녹의 미세한 틈사이에 물과 아황산가스가 녹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nest이다. 이 nest 구조의 기본은 조잡한 구조의 FeOOH중에 황산, 불순물이 결합되어 있으며, 염소 이온도 함유되어 있으며, 이 nest는 여간한 세척에도 제거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의 부식은 평형상태, 즉 안정의 형태가 아니다. 철이 용해되어 이온이 되는 상태가 일어나기 쉬운지 아닌지는 용해의 속도가 관계된다. 금속을 전기적으로 양극으로 해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부식 속도를 조사하는 방법이 채택된다. 전류가 클수록 격렬하게 용해된다.
최초 천천히 녹이 슨 철은 내식성이 좋지만, 급속하게 녹이 슨 것은 좋지 않다고 하지만 실제는 급속하게 녹이 슬면 적청의 단계에서 변화가 종료되어 커다란 덩어리로 침전된다.
또한 무정형 옥시수산화철이 아주 천천히 숙성한 것같은 상태가 되어 α-FeOOH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지만 별로 내식성이 좋지 못하다. 무정형의 옥시수산화철이 가장 내식성이 좋다.
산화물의 생성에는 침전, 산화속도, 이온의 상황 등에 따라 복잡한 경로가 있으며, 각각의 산화물은 생성 경로가 다르다. 동일 물질이라도 생성 경로에 따라 다양한 산화물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보통강의 녹은 철위에 반드시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하층은 밀착층으로 강하게 부착되어 있어 브러쉬 등으로 마찰하여도 제거되지 않는다. 그위에 약하게 부착된 이른바 부청층이 있다. 양층 모두 옥시수산화철이 함유되어 있는데 치밀한 정도가 다르다(Fig. 9).
또한 녹층 밑에 FeSO4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녹의 미세한 틈사이에 물과 아황산가스가 녹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nest이다. 이 nest 구조의 기본은 조잡한 구조의 FeOOH중에 황산, 불순물이 결합되어 있으며, 염소 이온도 함유되어 있으며, 이 nest는 여간한 세척에도 제거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