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신화란 무엇인가
2.우리나라의 신화
3.왜 신화에 주목하는가?
4.우리 신화 연구의 흐름
5.마치며
6.참고문헌
2.우리나라의 신화
3.왜 신화에 주목하는가?
4.우리 신화 연구의 흐름
5.마치며
6.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연행론과 구술문학적 관점에 입각한 연구가 주를 이루며, 비교 신화학에 입각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 신화 연구의 경향을 보여주는 논문과 서적들이다.
김영일, 「한국무속서사시의 서사구조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86
이수자, 「제주도 무속과 신화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898
박경신, 「무가작시 원리에 대한 현장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1
황패강, 『한일신화의 연구』, 지식산업사, 1996
김재용·이종주 『왜 우리 신화인가』, 동아시아, 1999
최원오, 『동아시아 비교서사시학』,월인 , 2001
한국구비문학회 편, 『동아시아 제 민족의 신화』, 박이정 , 2001
조현설, 『동아시아 건국 신화의 역사와 논리』,문학과 지성사, 2003
5.마치며
앞에서 살펴본 것같이 신화는 ‘장기지속 역사’라 할 수 있다. 이는 역사적 인식에서뿐만 아니라, 홍익인간의 이념이나, 개천절을 기념하는 우리의 실제적 삶의 모습에서도 알 수 있다. 즉, 신화는 몇 천년 전에 쓰여진 이야기이지만, 우리는 아직 신화에 시대에 살고 있다. 미래의 우리 후손들도 이 점에서 우리와 그리 다르지 않을 것이다. 우리 민족사가 계속되는 한 단군신화의 세계관 또한 여전히 표방될 것이 틀림없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사실과는 달리 신화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서양 신화에 더 쏠려있다. 그리스·로마 신화에 대해서는 그 안에서 새로운 의미를 꺼내 읽지만 우리의 신화는 아직은 그저 대중에겐 역사적 사실이요 사건이다. 우리 신화에 대한 연구도 유명한 신화 작품들에 대한 연구만 거듭 될 뿐, 우리 민족 신화의 유산들을 포괄적으로 조망할 엄두를 내지 못한다고 한다. 국문학도로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신화를 독창적으로 읽으려는 노력일 것이다. 어떤 오랜 선입견을 깨고 독창적으로 읽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한 노력의 결실로 나온 서적과 논문또는 수업을 통해 조금씩 우리의 사고를 여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다행이도 다양한 방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니 신화 연구의 미래를 기대해 볼 만하다.
6.참고도서
1.김화경, 한국 신화의 원류, 지식산업사, 2005
2.오세정, 한국 신화의 생성과 소통원리, 2005
3.임재해, 민족신화의 건국영웅들, 민속원, 2006
4.김문태,되새겨 보는 우리 건국신화, 보고사, 2006
5.김의숙외1, 한국신화와 스토리텔링, 북스힐, 2008
김영일, 「한국무속서사시의 서사구조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86
이수자, 「제주도 무속과 신화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898
박경신, 「무가작시 원리에 대한 현장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1
황패강, 『한일신화의 연구』, 지식산업사, 1996
김재용·이종주 『왜 우리 신화인가』, 동아시아, 1999
최원오, 『동아시아 비교서사시학』,월인 , 2001
한국구비문학회 편, 『동아시아 제 민족의 신화』, 박이정 , 2001
조현설, 『동아시아 건국 신화의 역사와 논리』,문학과 지성사, 2003
5.마치며
앞에서 살펴본 것같이 신화는 ‘장기지속 역사’라 할 수 있다. 이는 역사적 인식에서뿐만 아니라, 홍익인간의 이념이나, 개천절을 기념하는 우리의 실제적 삶의 모습에서도 알 수 있다. 즉, 신화는 몇 천년 전에 쓰여진 이야기이지만, 우리는 아직 신화에 시대에 살고 있다. 미래의 우리 후손들도 이 점에서 우리와 그리 다르지 않을 것이다. 우리 민족사가 계속되는 한 단군신화의 세계관 또한 여전히 표방될 것이 틀림없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사실과는 달리 신화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서양 신화에 더 쏠려있다. 그리스·로마 신화에 대해서는 그 안에서 새로운 의미를 꺼내 읽지만 우리의 신화는 아직은 그저 대중에겐 역사적 사실이요 사건이다. 우리 신화에 대한 연구도 유명한 신화 작품들에 대한 연구만 거듭 될 뿐, 우리 민족 신화의 유산들을 포괄적으로 조망할 엄두를 내지 못한다고 한다. 국문학도로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신화를 독창적으로 읽으려는 노력일 것이다. 어떤 오랜 선입견을 깨고 독창적으로 읽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한 노력의 결실로 나온 서적과 논문또는 수업을 통해 조금씩 우리의 사고를 여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다행이도 다양한 방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니 신화 연구의 미래를 기대해 볼 만하다.
6.참고도서
1.김화경, 한국 신화의 원류, 지식산업사, 2005
2.오세정, 한국 신화의 생성과 소통원리, 2005
3.임재해, 민족신화의 건국영웅들, 민속원, 2006
4.김문태,되새겨 보는 우리 건국신화, 보고사, 2006
5.김의숙외1, 한국신화와 스토리텔링, 북스힐, 2008
키워드
추천자료
금오신화에 관하여
커피역사를 뒤바꾼 기업 스타벅스
<길 위에서 듣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고
신화속 탄생의례 와 오늘날의 통과의례
삼국의 신화와 건국과정
여성과신화 9~14주차 ppt 한글정리 및 동영상필기정리 기말고사대비
에로스와 문명(각국의 신화를 중심으로)
단군신화의 종합적 이해
건국신화의 신성성과 교육적 의미
한국문학사 (김시습과 <금오신화> , 허균(許筠)과 <홍길동전>, 김만중의 <구운몽> &#8231...
A+(100/98) (창원대) 국문학사 요약본 (원시시대, 신화란, 단군신화, 박혁거세 신화, 동명왕 ...
[일상생활사] 차와 커피의 역사 - 차의 어원과 우리나라에 전래된 역사 및 고려시대와 조선시...
[가족생활교육]우리나라 가족생활교육의 역사 - 우리나라 가족향상 모델과 가족생활교육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