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모델] 관계 데이터베이스 모델과 계층 및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모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데이터베이스 모델

Ⅰ. 관계 데이터베이스 모델

1. 정규화
2. 관계 데이터 연산

Ⅱ. 계층 데이터베이스 모형

Ⅲ.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모형

본문내용

]과 프로젝션2[전공, 취미]를 조인하면 위의 표와 같은 테이블을 생성한다. 그리고 아래의 표는 두 번째 페이지의 표(학생 테이블의 예) 릴레이션에 선택 연산자를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선택’의 예
II. 계층 데이터베이스 모형
계층 모형은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계층적 관계인 트리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데이터관계는 속성 관계와 엔티티 관계를 갖는다. 계층 구조의 최상위에 위치한 계층 1을 뿌리(root)라 부르며, 특정 레코드 바로 위의 레코드를 부모(parent)또는 소유자(owner)라하고, 연결된 하위 레코드를 자녀(child)또는 구성원(member)이라 부른다.
부모는 하나 이상의 자녀를 가질 수 있으나 자녀는 단 하나의 부모만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1:n 대응 관계가 계층 구조의 특징이다.
교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계층 모형)
위의 그림에서는 데이터 관계들을 나타내고 있는데, 속성 관계는 속성 사이의 관계로 교수는 성명, 번호, 그리고 전공 등의 속성을 가지고 있고, 엔티티 관계는 엔터터 사이의 관계를 의미하는데, 교수와 경력, 교수와 강좌 그리고 강좌와 학생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가. 계층 모형의 장점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단순한 데이터 모형을 가지며, 제한사항이 많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다른 모형보다도 간단하다.
나. 계층 모형의 단점
첫째, 제한 사항으로 자료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한이 많은 구조로 인하여 레코드 추가와 삭제가 복잡하며, 둘째, 전체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자손 세그먼트에 속하는 정보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셋째, 선형 검색 방법으로 탐색하므로 동시에 양방향에서 대칭적 탐색이 어렵다.
자료 구조 다이어그램으로 망 모형 표현
III.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모형
네트워크 모형(network model)은 계층 모형에서 획일적인 트리 구조의 제약 사항을 탈피하여 서로 관련 있는 세그먼트(segment)들의 전체 구조를 하나의 망처럼 구성한 모형이다.
데이터베이스 내의 각 레코드들이 상호간에 m:n 대응 관계를 갖는 것으로 계층 구조가 갖는 1:n 대응 관계의 제약을 극복한 것이다. 위의 그림은 학과, 교수 그리고 학생간의 망구조를 예시하고 있는데, 각 교수는 지도하는 여러 명의 학생과 연결되어 있다.
네트워크 모형의 장점으로는 다양한 검색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프로그램 작성이 복잡하며, 제어가 복잡하여 데이터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1.19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5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