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통신네트워크
Ⅰ. 통신네트워크의 구성
Ⅱ. 인터넷 상의 접속
1. 통신 네트워크상의 연결
2. IP주소와 도메인이름
Ⅰ. 통신네트워크의 구성
Ⅱ. 인터넷 상의 접속
1. 통신 네트워크상의 연결
2. IP주소와 도메인이름
본문내용
TCP/IP 통신프로토콜과 라우터(router)라는 통신장비에 의해 인터넷에 접속하며, 인터넷에 의해 두 번째 페이지 그림(단위 네트워크와 인터넷의 구성)과 같이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가 된다. 인터넷에 접속된 전 세계 컴퓨터는 인터넷을 통하여 거대한 정보 네트워크를 통한 가상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다.
(2) IP주소와 도메인이름
인터넷에 연결된 각 지역의 단위 네트워크는 라우터(router)로 연결되어 있고, 인터넷에 접속한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들은 유일한 IP(internet Protocol) 주소(address)를 갖는다. 사용자는 IP주소를 통하여 목적지 컴퓨터에 접속이 가능하다. 단위 네트워크의 연결통로가 되는 라우터 이외에 인터넷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인 ISP는 ISP간 협조 하에 주요 통신라인을 관리하며 주요 통신라인의 연결점에 라우터를 설치하여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통신경로를 설계한다.
인터넷 프로토콜 등록정보 사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개별 컴퓨터는 32개의 이진수로 구성되는 IP주소를 0-255 사이 값을 가지는 4개의 십진수(205.255.8.207 등)로 표현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숫자로 표현되는 IP주소 값의 사용을 편하게 하기 위하여, JP주소의 컴퓨터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 서버(DNS : domain name server)가 등록한 호스트 이름을 연결시켜 준다. 즉, 인터넷에 접속한 서버컴퓨터(server computer)는 ISP에서 제공하는 DNS(domain name server) 또는 도메인(domain) 내에서 관리되는 DNS에 자신의 IP와 호스트 이름을 등록함으로써,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가 호스트이름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다.
참고로 인터넷 상의 호스트 이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인터넷 상의 호스트 이름 : (서버 이름 : server name) + (도메인 이름 : domain name)
위 페이지 그림 개별 컴퓨터에서 관리하는 인터넷 주소에 관한 내용이다. 위 그림의 사례에서 자신의 IP주소는 '203.255.8.207'이며, 서브넷마스크(subnet mask)를 통하여 단위 네트워크를 분할하여 접속할 수 있다(위 그림의 사례에서는 분할되지 않음). 그리고 기본 게이트웨이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통신장치(라우터 등)의 IP주소를 의미한다. DNS서버는 앞에서 언급한 IP주소와 호스트이름을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는 컴퓨터의 IP주소이다.
(2) IP주소와 도메인이름
인터넷에 연결된 각 지역의 단위 네트워크는 라우터(router)로 연결되어 있고, 인터넷에 접속한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들은 유일한 IP(internet Protocol) 주소(address)를 갖는다. 사용자는 IP주소를 통하여 목적지 컴퓨터에 접속이 가능하다. 단위 네트워크의 연결통로가 되는 라우터 이외에 인터넷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인 ISP는 ISP간 협조 하에 주요 통신라인을 관리하며 주요 통신라인의 연결점에 라우터를 설치하여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통신경로를 설계한다.
인터넷 프로토콜 등록정보 사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개별 컴퓨터는 32개의 이진수로 구성되는 IP주소를 0-255 사이 값을 가지는 4개의 십진수(205.255.8.207 등)로 표현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숫자로 표현되는 IP주소 값의 사용을 편하게 하기 위하여, JP주소의 컴퓨터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 서버(DNS : domain name server)가 등록한 호스트 이름을 연결시켜 준다. 즉, 인터넷에 접속한 서버컴퓨터(server computer)는 ISP에서 제공하는 DNS(domain name server) 또는 도메인(domain) 내에서 관리되는 DNS에 자신의 IP와 호스트 이름을 등록함으로써,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가 호스트이름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다.
참고로 인터넷 상의 호스트 이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인터넷 상의 호스트 이름 : (서버 이름 : server name) + (도메인 이름 : domain name)
위 페이지 그림 개별 컴퓨터에서 관리하는 인터넷 주소에 관한 내용이다. 위 그림의 사례에서 자신의 IP주소는 '203.255.8.207'이며, 서브넷마스크(subnet mask)를 통하여 단위 네트워크를 분할하여 접속할 수 있다(위 그림의 사례에서는 분할되지 않음). 그리고 기본 게이트웨이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통신장치(라우터 등)의 IP주소를 의미한다. DNS서버는 앞에서 언급한 IP주소와 호스트이름을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는 컴퓨터의 IP주소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창업의 유형] 창업(사업)의 종류 -일반창업, 벤처창업, 소호창업
상권분석(입지선정) - 상권과 업종의 적합성, 수요잠재력 조사, 유형별 입지조건, 상권분석방...
[디자인권]산업재산권 - 디자인권(디자인제도)
[사업계획서작성]사업계획서(창업계획서)의 의의와 용도, 사업계획서 작성방법(요령), 사업타...
[입지선정_입지영향인자] 입지선정에 있어서 입지의 영향인자
[EU의 통화동맹과 유로화의 도입] 경제통화동맹(EMU), 유로화의 도입이유, 유로화 도입에 따...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해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함
자본주의와 시장에 관해 논하시오. - 생활속의경제-2A형
품질경영
[생물과학]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를 읽고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진...
[기업윤리감사] 윤리감사(ethical audit)의 목적과 내용 및 방법
[생활환경과 삶의 질(quality of life or living)] 국가적 문제로서의 환경오염, 환경오염에 ...
[기술투자자금의 조달] 기술투자자금조달 (기술투자의 포트폴리오, 기술 투자 자금조달, 금융...
[윤리경영시대] 국가기반시설로서의 기업윤리, 부패라운드(Corruption Round)의 전개와 대응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