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네트워크]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 인터넷 상의 접속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통신네트워크

Ⅰ. 통신네트워크의 구성

Ⅱ. 인터넷 상의 접속

1. 통신 네트워크상의 연결
2. IP주소와 도메인이름

본문내용

TCP/IP 통신프로토콜과 라우터(router)라는 통신장비에 의해 인터넷에 접속하며, 인터넷에 의해 두 번째 페이지 그림(단위 네트워크와 인터넷의 구성)과 같이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가 된다. 인터넷에 접속된 전 세계 컴퓨터는 인터넷을 통하여 거대한 정보 네트워크를 통한 가상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다.
(2) IP주소와 도메인이름
인터넷에 연결된 각 지역의 단위 네트워크는 라우터(router)로 연결되어 있고, 인터넷에 접속한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들은 유일한 IP(internet Protocol) 주소(address)를 갖는다. 사용자는 IP주소를 통하여 목적지 컴퓨터에 접속이 가능하다. 단위 네트워크의 연결통로가 되는 라우터 이외에 인터넷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인 ISP는 ISP간 협조 하에 주요 통신라인을 관리하며 주요 통신라인의 연결점에 라우터를 설치하여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통신경로를 설계한다.
인터넷 프로토콜 등록정보 사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개별 컴퓨터는 32개의 이진수로 구성되는 IP주소를 0-255 사이 값을 가지는 4개의 십진수(205.255.8.207 등)로 표현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숫자로 표현되는 IP주소 값의 사용을 편하게 하기 위하여, JP주소의 컴퓨터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 서버(DNS : domain name server)가 등록한 호스트 이름을 연결시켜 준다. 즉, 인터넷에 접속한 서버컴퓨터(server computer)는 ISP에서 제공하는 DNS(domain name server) 또는 도메인(domain) 내에서 관리되는 DNS에 자신의 IP와 호스트 이름을 등록함으로써,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가 호스트이름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다.
참고로 인터넷 상의 호스트 이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인터넷 상의 호스트 이름 : (서버 이름 : server name) + (도메인 이름 : domain name)
위 페이지 그림 개별 컴퓨터에서 관리하는 인터넷 주소에 관한 내용이다. 위 그림의 사례에서 자신의 IP주소는 '203.255.8.207'이며, 서브넷마스크(subnet mask)를 통하여 단위 네트워크를 분할하여 접속할 수 있다(위 그림의 사례에서는 분할되지 않음). 그리고 기본 게이트웨이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통신장치(라우터 등)의 IP주소를 의미한다. DNS서버는 앞에서 언급한 IP주소와 호스트이름을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는 컴퓨터의 IP주소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1.19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52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