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물류의 개념
Ⅰ. 유통의 역할과 활동
1. 유통의 역할
2. 유통활동의 구성
Ⅱ. 물류의 의미와 목표
1. 물류의 의미와 목표
2. 물류의 목표
3. 물류의 역할
4. 물류의 영역
Ⅲ. 물류와 로지스틱스의 차이점
Ⅳ. 물류의 활동담당자
Ⅰ. 유통의 역할과 활동
1. 유통의 역할
2. 유통활동의 구성
Ⅱ. 물류의 의미와 목표
1. 물류의 의미와 목표
2. 물류의 목표
3. 물류의 역할
4. 물류의 영역
Ⅲ. 물류와 로지스틱스의 차이점
Ⅳ. 물류의 활동담당자
본문내용
및 포장재, 수송용기류 등 각종의 물품에 의해 발생된 폐기물을 관리하기 위한 물류를 말한다. 이들은 조달, 생산, 판매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매일 대량으로 폐기물화 되고 있다.
나) 폐기물의 처리 : 폐기물은 일반폐기물과 특정폐기물로 구분되는데, 물류와 관련된 사항으로는, 가정이나 기업 등에서 발생된 폐기물을 폐기물처리업자가 수집, 운반, 보관, 매립, 소각하거나, 재활용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다.
다) 폐기물류 대처방안 : 물자는 자연에서 와서 자연으로 돌아가게 되는데, 많이 조달한 것은 많은 쓰레기를 생산하고, 쓰레기는 다시 자연으로 되돌려 보내게 된다.
하지만, 자연의 복원력에도 한계가 있어 쓰레기처리에 따른 환경문제가 전세계적인 문제점으로 되고 있으므로, 환경친화적인 물품생산을 통하여 폐기물류의 감소를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3. 물류와 로지스틱스의 차이점
1) 세 가지 해석의 차이점
(1) 제1의 설
"물류를 근사하게 바꾸어 말하는 것뿐이다"라는 설(說). 상당히 뿌리깊게 자리잡고 있으나 잘못된 설. 이렇게 이해를 하면 로지스틱스는 물론 물류도 보이지 않게 된다.
(2) 제2의 설
로지스틱스쪽이 물류보다 영역이 넓다는 설. 이것도 신봉자가 많은 해석.
물류는 공장에서 완성된 제품 또는 매입한 상품을 고객에게 배달하는 활동으로 그리고 로지스틱스는 원자재 부품, 상품 등의 조달에서 고객납품까지를 일관된 시스템으로 보는 개념이 된다. 이 제2의 설은 틀린 것은 아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이것은 왜 지금 로지스틱스가 커다란 관심을 모으고 있는가 라는 점에 대한 설명으로는 조금 미흡하다. 그래서 제3의 설이 등장한다.
(3) 제3의 설
시장과 생산 매입의 동기화(同期化)를 도모하기 위한 관리
가) 시장과의 부조화가 초래한 커다란 낭비
기업과 시장과의 접점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 즉 "매상손실" 과 "비용증대" 는 기업에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 문제의 온상이 재고이다. 재고가 있으면 팔리지만, 재고가 없기 때문에 매상손실을 초래하고, 반대로 팔리지 않는 재고를 많이 보유하면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한다.
나) 시장의 변화와 생산 매입을 조화시킨다.
이러한 낭비는 시장에서의 매기를 보지 않고 마음대로 생산하거나 매입하는 것에서 발생한다. 그래서 시장의 매기에 맞추어 생산 및 매입, 물류를 하려는 발상이 대두된다. 이것이 로지스틱스의 기본을 이룬다. 시장의 매기를 맞추기 위해서는 시장에서의 판매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이 없으면 진행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 동향에 맞추어 생산 및 매입을 행하는 것이다. 이것을 실무적으로 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적정재고 유지관리"이다.
시장에서의 판매동향은 출하, 즉 재고감소라는 형태로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생산 매입이라는 것은 재고의 증가형태로 나타난다. 그래서 재고가 감소한 만큼 보충하기 위한 생산 및 매입을 하는 메커니즘을 조성하여 시장과 동시 병행으로 움직이게 한다. 물론, 생산설비 및 매입처와의 거래조건 등의 제약, 시장을 예측하지 못하는 변동 등이 있으므로 반드시 적정한 재고유지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커다란 손실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 로지스틱스는 물류의 상위개념 : 로지스틱스라는 관리 하에 생산 매입, 물류가 있다.
4. 물류의 활동담당자
1) 물류 활동의 담당자
(1) 화주 그룹 : 상품의 소유권을 지니고 있는 생산자(메이커), 도매업자 및 소매업자
(2) 물류전업 그룹 : 화주로부터 운수활동을 위탁받은 트럭 운송회사, 철도회사, 선박회사, 항공회사 등의 운수업자, 그리고 화주로부터 보관을 위탁받은 창고업자 등
가) 물류활동은 화주 기업이 독자적으로 수행하거나, 물류 전업기업에게 완전 위탁하거나, 독자와 위탁의 병용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수행
나) 운수업이나 창고업
화주 기업으로부터 물류활동을 위탁받는, 소위 물류의 대리행위자
물류는 기능적으로는 화주 기업이 수행자이고, 활동적으로는 운수 기업이 수행자
다) 화주 기업측면에서 유통 기능은 일반적으로 메이커, 도매업자, 소매업자의 3자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물류기능도 이 3자의 분업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메이커는 도매업에 대해, 도매업은 소매업에 대해, 그리고 소매업은 소비자에 대해, 각각 물류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단계에서 주로 보관과 운송(배송)을 담당하고, 제3자의 보관과 운송(배송)의 분업에 의해, 생산된 상품은 소비자에게 보내어진다.
나) 폐기물의 처리 : 폐기물은 일반폐기물과 특정폐기물로 구분되는데, 물류와 관련된 사항으로는, 가정이나 기업 등에서 발생된 폐기물을 폐기물처리업자가 수집, 운반, 보관, 매립, 소각하거나, 재활용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다.
다) 폐기물류 대처방안 : 물자는 자연에서 와서 자연으로 돌아가게 되는데, 많이 조달한 것은 많은 쓰레기를 생산하고, 쓰레기는 다시 자연으로 되돌려 보내게 된다.
하지만, 자연의 복원력에도 한계가 있어 쓰레기처리에 따른 환경문제가 전세계적인 문제점으로 되고 있으므로, 환경친화적인 물품생산을 통하여 폐기물류의 감소를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3. 물류와 로지스틱스의 차이점
1) 세 가지 해석의 차이점
(1) 제1의 설
"물류를 근사하게 바꾸어 말하는 것뿐이다"라는 설(說). 상당히 뿌리깊게 자리잡고 있으나 잘못된 설. 이렇게 이해를 하면 로지스틱스는 물론 물류도 보이지 않게 된다.
(2) 제2의 설
로지스틱스쪽이 물류보다 영역이 넓다는 설. 이것도 신봉자가 많은 해석.
물류는 공장에서 완성된 제품 또는 매입한 상품을 고객에게 배달하는 활동으로 그리고 로지스틱스는 원자재 부품, 상품 등의 조달에서 고객납품까지를 일관된 시스템으로 보는 개념이 된다. 이 제2의 설은 틀린 것은 아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이것은 왜 지금 로지스틱스가 커다란 관심을 모으고 있는가 라는 점에 대한 설명으로는 조금 미흡하다. 그래서 제3의 설이 등장한다.
(3) 제3의 설
시장과 생산 매입의 동기화(同期化)를 도모하기 위한 관리
가) 시장과의 부조화가 초래한 커다란 낭비
기업과 시장과의 접점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 즉 "매상손실" 과 "비용증대" 는 기업에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 문제의 온상이 재고이다. 재고가 있으면 팔리지만, 재고가 없기 때문에 매상손실을 초래하고, 반대로 팔리지 않는 재고를 많이 보유하면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한다.
나) 시장의 변화와 생산 매입을 조화시킨다.
이러한 낭비는 시장에서의 매기를 보지 않고 마음대로 생산하거나 매입하는 것에서 발생한다. 그래서 시장의 매기에 맞추어 생산 및 매입, 물류를 하려는 발상이 대두된다. 이것이 로지스틱스의 기본을 이룬다. 시장의 매기를 맞추기 위해서는 시장에서의 판매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이 없으면 진행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 동향에 맞추어 생산 및 매입을 행하는 것이다. 이것을 실무적으로 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적정재고 유지관리"이다.
시장에서의 판매동향은 출하, 즉 재고감소라는 형태로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생산 매입이라는 것은 재고의 증가형태로 나타난다. 그래서 재고가 감소한 만큼 보충하기 위한 생산 및 매입을 하는 메커니즘을 조성하여 시장과 동시 병행으로 움직이게 한다. 물론, 생산설비 및 매입처와의 거래조건 등의 제약, 시장을 예측하지 못하는 변동 등이 있으므로 반드시 적정한 재고유지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커다란 손실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 로지스틱스는 물류의 상위개념 : 로지스틱스라는 관리 하에 생산 매입, 물류가 있다.
4. 물류의 활동담당자
1) 물류 활동의 담당자
(1) 화주 그룹 : 상품의 소유권을 지니고 있는 생산자(메이커), 도매업자 및 소매업자
(2) 물류전업 그룹 : 화주로부터 운수활동을 위탁받은 트럭 운송회사, 철도회사, 선박회사, 항공회사 등의 운수업자, 그리고 화주로부터 보관을 위탁받은 창고업자 등
가) 물류활동은 화주 기업이 독자적으로 수행하거나, 물류 전업기업에게 완전 위탁하거나, 독자와 위탁의 병용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수행
나) 운수업이나 창고업
화주 기업으로부터 물류활동을 위탁받는, 소위 물류의 대리행위자
물류는 기능적으로는 화주 기업이 수행자이고, 활동적으로는 운수 기업이 수행자
다) 화주 기업측면에서 유통 기능은 일반적으로 메이커, 도매업자, 소매업자의 3자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물류기능도 이 3자의 분업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메이커는 도매업에 대해, 도매업은 소매업에 대해, 그리고 소매업은 소비자에 대해, 각각 물류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단계에서 주로 보관과 운송(배송)을 담당하고, 제3자의 보관과 운송(배송)의 분업에 의해, 생산된 상품은 소비자에게 보내어진다.
추천자료
[창업의 유형] 창업(사업)의 종류 -일반창업, 벤처창업, 소호창업
상권분석(입지선정) - 상권과 업종의 적합성, 수요잠재력 조사, 유형별 입지조건, 상권분석방...
[디자인권]산업재산권 - 디자인권(디자인제도)
[사업계획서작성]사업계획서(창업계획서)의 의의와 용도, 사업계획서 작성방법(요령), 사업타...
[입지선정_입지영향인자] 입지선정에 있어서 입지의 영향인자
[EU의 통화동맹과 유로화의 도입] 경제통화동맹(EMU), 유로화의 도입이유, 유로화 도입에 따...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해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함
자본주의와 시장에 관해 논하시오. - 생활속의경제-2A형
품질경영
[생물과학]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를 읽고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진...
[기업윤리감사] 윤리감사(ethical audit)의 목적과 내용 및 방법
[생활환경과 삶의 질(quality of life or living)] 국가적 문제로서의 환경오염, 환경오염에 ...
[기술투자자금의 조달] 기술투자자금조달 (기술투자의 포트폴리오, 기술 투자 자금조달, 금융...
[윤리경영시대] 국가기반시설로서의 기업윤리, 부패라운드(Corruption Round)의 전개와 대응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