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서 추출된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화학식은 C19H24O3이다. 웅성 호르몬으로서는 안드로스테론의 1/5 이하의 활성밖에 나타내지 않으며, 발정 호르몬 ·황체 호르몬으로서의 작용도 매우 약하다. 뇌하수체의 황체형성 호르몬의 지배를 받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생리작용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 남성의 정자생산 조절에 관하여
남성의 정자생산은 뇌와 정소에서 분비한 호르몬들이 서로 작용하여 정자를 생산하는 시기를 조절한다. 정자가 사정되거나 정자의 생산이 감소하면 황체형성호르몬(LH)과 여포자극호르몬(FSH)이 뇌로부터 혈액으로 분비된다. 이들 뇌 호르몬들은 혈관을 통하여 정소로 운반한다. 정소에 운반된 뇌 호르몬들은 정소 조직이 정자와 테스토스테론 생산을 시작하도록 자극 한다. 테스토스테론 농도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뇌로부터 호르몬들이 더 이상 방출되지 않는다. 한편 LH와 FSH의 농도가 낮으면 정자와 테스토스테론의 생산을 저하시킨다. 정자가 사정되면, 호르몬 수준이 기준점 이하로 내려가서 주기가 다시 시작된다.
5.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 호르몬
① 여포 자극 호르몬(FSH)
여포자극호르몬은 당단백질로 만들어져 있는 단백질 호르몬이다. 구조는 황체형성호르몬이나 융모성 생식선자극호르몬(HCG) 같은 다른 생식선자극호르몬과 비슷하다. 여성의 뇌하수체에서 분비된 호르몬은 난소에 영향을 끼쳐 여포를 성숙시킨다. 또한 여포가 자극되면 에스트로겐이 분비되어 여포자극호르몬의 분비량을 줄이게 된다. 이러한 피드백 과정을 통해 황체형성호르몬, 에스트로겐과 함께 생식주기를 조절한다. 남성에게서는 고환의 정소에 있는 세포를 자극하여 안드로겐 결합 단백질 생산을 늘린다. 이 단백질은 정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② 황체 형성 호르몬(LH)
황체형성호르몬은 당단백질로 만들어져 있는 단백질 호르몬이다. 여성의 뇌하수체는 에스트로겐에 자극을 받아 황체형성호르몬을 내놓는다. 이렇게 분비된 호르몬은 성숙한 여포를 자극하여 난자를 내어놓게 한다. 난자가 나온 뒤에 남은 여포는 황체로 발달한다. 또한 황체를 자극해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분비를 일으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황체형성호르몬은 생식주기를 조절하는 데 큰 역할을 맡고 있다. 남성에게서는 고환의 정소에 있는 세포를 자극하여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일으킨다.
6. 성호르몬과 관련된 질병
① 선천성 부신증식증(부신성기증후군)
선천성 부신증식증은 부신피질에서 性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남성이 여성화되거나 반대로 여성이 남성화되는 이상증세를 보이는 증세로 주로 소아에게서 많이 보인다. 그러나 최근에는 증상이 심하지 않아 특별한 문제없이 지내다가 사춘기를 지나면서 증상이 발현되는 비전형적 선천성 부신증식증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부신에 종양이 있거나 ‘코티졸’ 등의 부신피질 호르몬 합성에 관여하고 있는 효소의 선천적 결핍 등에서 기인한다.
증세는 남성의 여성유방화 및 여성의 과다월경이나 빈발월경 및 음핵의 비대 등이 나타나며 치료는 종양일 경우 제거를 하며 효소의 선천적 결핍의 경우 코티졸을 평생 복용해야 한다.
② 황체 자극 호르몬과 난포 자극호르몬 단독 결핍
뇌하수체에 이상 없이 황체 자극 호르몬 혹은 난포 자극 호르몬의 결핍성 질환이 드물게 발생된다. 난포 자극 호르몬 단독 결핍증 환자들은 외형상 정상이며 정상적인 고환을 갖고 있고 혈액 내 황체 자극 호르몬, 테스토스테론도 정상이지만 정액 검사에서 무정자증 또는 과정자증 ( oligospermia )을 나타낸다.
혈중 난포 자극 호르몬이 낮으며 성선 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에 반응을 보이지 않지만 황체 자극 호르몬의 반응은 정상이다. 크로미펜 투여로 혈중 난포 자극 호르몬이 증가 되며, 성선 자극 호르몬의 투여로 정자 형성 작용 및 수정 능력을 정상화 시킬 수 있다. 이 질환은 시상하부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분비 촉진 물질의 결핍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황체 자극 호르몬 단독 결핍증은 1950년 처음 보고 되었는데 난포 자극 호르몬 단독 결핍증과는 대조적으로 고환의 크기는 정상이거나 커져 있고, 고환 조직 검사상 왕성한 정자 형성 작용을 관찰할 수 있으며 소량의 정액과 정자가 존재한다. 외형적으로 남성화가 덜된 내시형을 보이면서 여성화 유방이 있어 가임성 환관증( fertile eunuch ) 이라는 용어도 사용된다. 혈중 난포 자극 호르몬은 정상이며, 황체 자극 호르몬과 테스토스테론은 낮으며,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의 투여 후 테스토스테론은 증가하나 크로미펜 투여 후 황체 자극 호르몬의 증가는 관찰되지 않는 소견으로 성선자극 호르몬 결핍성 성선 부전증의 소견을 진단할 수 있다.
③성 조숙증
사춘기의 발현이 여아에서 8세 이전, 남아에서 9세 이전에 시작될 경우 성조숙증이라고 한다. 성조숙증은 진성 성조숙증(true precocious puberty)과 위성조숙증 (pseudoprecocious puberty)으로 분류된다.
진성 성조숙증은 중추성 성조숙증 이라고도 하며,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 축의 활성화가 일찍 발현되어 발생한다. 반면 위성조숙증은 사춘기적 변화를 일으키는 성선 호르몬이 정상적인 뇌하수체 성선 자극호르몬의 자극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 아닌 경우이다. 이 경우 성선 호르몬은 내인적 원인이나 외인적인 원인으로 증가되며, 내인적 원인일 경우 성호르몬은 성선이나 성선 이외 조직에서 생성된다. 위성조숙증에는 조기 유방발달(premature thelarche), 조기 음모발달(premature pubarche) 등이 포함된다.
7. 참고 문헌
생리학 - 김종규 편저 - < 정문각 >
인체생리학 - 강화정외 다수 공저 - < KMS출판사 >
생명과학 - Postlthewait Hopson 원저 - <광림사>
인체해부학 - 신문균외 다수 공저 - < 현문사>
사람발생학 - T. W. Sadler 원저 - < 범문사 >
두산사이버 백과사전 http://www.encyber.com/index.html
김영실교수의 내분비 교실 http://www.khmc.or.kr/~youngkmc/frame3.htm
◎ 남성의 정자생산 조절에 관하여
남성의 정자생산은 뇌와 정소에서 분비한 호르몬들이 서로 작용하여 정자를 생산하는 시기를 조절한다. 정자가 사정되거나 정자의 생산이 감소하면 황체형성호르몬(LH)과 여포자극호르몬(FSH)이 뇌로부터 혈액으로 분비된다. 이들 뇌 호르몬들은 혈관을 통하여 정소로 운반한다. 정소에 운반된 뇌 호르몬들은 정소 조직이 정자와 테스토스테론 생산을 시작하도록 자극 한다. 테스토스테론 농도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뇌로부터 호르몬들이 더 이상 방출되지 않는다. 한편 LH와 FSH의 농도가 낮으면 정자와 테스토스테론의 생산을 저하시킨다. 정자가 사정되면, 호르몬 수준이 기준점 이하로 내려가서 주기가 다시 시작된다.
5.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 호르몬
① 여포 자극 호르몬(FSH)
여포자극호르몬은 당단백질로 만들어져 있는 단백질 호르몬이다. 구조는 황체형성호르몬이나 융모성 생식선자극호르몬(HCG) 같은 다른 생식선자극호르몬과 비슷하다. 여성의 뇌하수체에서 분비된 호르몬은 난소에 영향을 끼쳐 여포를 성숙시킨다. 또한 여포가 자극되면 에스트로겐이 분비되어 여포자극호르몬의 분비량을 줄이게 된다. 이러한 피드백 과정을 통해 황체형성호르몬, 에스트로겐과 함께 생식주기를 조절한다. 남성에게서는 고환의 정소에 있는 세포를 자극하여 안드로겐 결합 단백질 생산을 늘린다. 이 단백질은 정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② 황체 형성 호르몬(LH)
황체형성호르몬은 당단백질로 만들어져 있는 단백질 호르몬이다. 여성의 뇌하수체는 에스트로겐에 자극을 받아 황체형성호르몬을 내놓는다. 이렇게 분비된 호르몬은 성숙한 여포를 자극하여 난자를 내어놓게 한다. 난자가 나온 뒤에 남은 여포는 황체로 발달한다. 또한 황체를 자극해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분비를 일으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황체형성호르몬은 생식주기를 조절하는 데 큰 역할을 맡고 있다. 남성에게서는 고환의 정소에 있는 세포를 자극하여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일으킨다.
6. 성호르몬과 관련된 질병
① 선천성 부신증식증(부신성기증후군)
선천성 부신증식증은 부신피질에서 性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남성이 여성화되거나 반대로 여성이 남성화되는 이상증세를 보이는 증세로 주로 소아에게서 많이 보인다. 그러나 최근에는 증상이 심하지 않아 특별한 문제없이 지내다가 사춘기를 지나면서 증상이 발현되는 비전형적 선천성 부신증식증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부신에 종양이 있거나 ‘코티졸’ 등의 부신피질 호르몬 합성에 관여하고 있는 효소의 선천적 결핍 등에서 기인한다.
증세는 남성의 여성유방화 및 여성의 과다월경이나 빈발월경 및 음핵의 비대 등이 나타나며 치료는 종양일 경우 제거를 하며 효소의 선천적 결핍의 경우 코티졸을 평생 복용해야 한다.
② 황체 자극 호르몬과 난포 자극호르몬 단독 결핍
뇌하수체에 이상 없이 황체 자극 호르몬 혹은 난포 자극 호르몬의 결핍성 질환이 드물게 발생된다. 난포 자극 호르몬 단독 결핍증 환자들은 외형상 정상이며 정상적인 고환을 갖고 있고 혈액 내 황체 자극 호르몬, 테스토스테론도 정상이지만 정액 검사에서 무정자증 또는 과정자증 ( oligospermia )을 나타낸다.
혈중 난포 자극 호르몬이 낮으며 성선 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에 반응을 보이지 않지만 황체 자극 호르몬의 반응은 정상이다. 크로미펜 투여로 혈중 난포 자극 호르몬이 증가 되며, 성선 자극 호르몬의 투여로 정자 형성 작용 및 수정 능력을 정상화 시킬 수 있다. 이 질환은 시상하부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분비 촉진 물질의 결핍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황체 자극 호르몬 단독 결핍증은 1950년 처음 보고 되었는데 난포 자극 호르몬 단독 결핍증과는 대조적으로 고환의 크기는 정상이거나 커져 있고, 고환 조직 검사상 왕성한 정자 형성 작용을 관찰할 수 있으며 소량의 정액과 정자가 존재한다. 외형적으로 남성화가 덜된 내시형을 보이면서 여성화 유방이 있어 가임성 환관증( fertile eunuch ) 이라는 용어도 사용된다. 혈중 난포 자극 호르몬은 정상이며, 황체 자극 호르몬과 테스토스테론은 낮으며,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의 투여 후 테스토스테론은 증가하나 크로미펜 투여 후 황체 자극 호르몬의 증가는 관찰되지 않는 소견으로 성선자극 호르몬 결핍성 성선 부전증의 소견을 진단할 수 있다.
③성 조숙증
사춘기의 발현이 여아에서 8세 이전, 남아에서 9세 이전에 시작될 경우 성조숙증이라고 한다. 성조숙증은 진성 성조숙증(true precocious puberty)과 위성조숙증 (pseudoprecocious puberty)으로 분류된다.
진성 성조숙증은 중추성 성조숙증 이라고도 하며,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 축의 활성화가 일찍 발현되어 발생한다. 반면 위성조숙증은 사춘기적 변화를 일으키는 성선 호르몬이 정상적인 뇌하수체 성선 자극호르몬의 자극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 아닌 경우이다. 이 경우 성선 호르몬은 내인적 원인이나 외인적인 원인으로 증가되며, 내인적 원인일 경우 성호르몬은 성선이나 성선 이외 조직에서 생성된다. 위성조숙증에는 조기 유방발달(premature thelarche), 조기 음모발달(premature pubarche) 등이 포함된다.
7. 참고 문헌
생리학 - 김종규 편저 - < 정문각 >
인체생리학 - 강화정외 다수 공저 - < KMS출판사 >
생명과학 - Postlthewait Hopson 원저 - <광림사>
인체해부학 - 신문균외 다수 공저 - < 현문사>
사람발생학 - T. W. Sadler 원저 - < 범문사 >
두산사이버 백과사전 http://www.encyber.com/index.html
김영실교수의 내분비 교실 http://www.khmc.or.kr/~youngkmc/frame3.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