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간의 변화에 따른 인물의 심리
2. 소설의 시간
3. 인물의 성격
4. 세 가지 아이러니
2. 소설의 시간
3. 인물의 성격
4. 세 가지 아이러니
본문내용
마실 수 있고, 아내를 위해 ‘설렁탕’을 사 줄 수도 있었다. 하지만 그 ‘돈’이 자신의 그렇게 만들고 있음도 안다. 한 인간으로 평가되지 않고, ‘돈’이 있고 없음에 따라 평가받는 사회에 대한 분노이다. 그렇다고 그것 없이 산다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제 자식 뻘밖에 안 되는 어린 손님에게 몇 번 허리를 굽히며” 인사를 해야 하고, 아픈 아내를 두고, 이 비 오는 날에 인력거를 끌어야 했다.
그렇지만 ‘김첨지’는 자신의 가난과 비극이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임을 깨닫지는 못하고, ‘운수’의 탓으로 돌린다. 이 소설에서 가난은 인간의 숙명이지 1920년대 식민지 현실과 관련을 맺을 수 있는 단서는 발견할 수 없다. 다만 하층민이 만난 순간의 ‘행운’이 그들의 운명을 바꿀 수 없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김첨지’는 자신의 가난과 비극이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임을 깨닫지는 못하고, ‘운수’의 탓으로 돌린다. 이 소설에서 가난은 인간의 숙명이지 1920년대 식민지 현실과 관련을 맺을 수 있는 단서는 발견할 수 없다. 다만 하층민이 만난 순간의 ‘행운’이 그들의 운명을 바꿀 수 없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