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른 시료들 경우에는 부유물질이 너무 적어 여과후 양이 맞지 않았다
-저울: 측정시 바닥에 다른 힘이 줘줬을 때 측정 하기도 하고 밀폐되지 않고 공기가 통하는 저울 내부 때문에 측정 오차에 많은 영향을 준 것 같다.
-외부 부유물질: 공기중의 물질들이나 호일 위에 부유 물질들이 묻어 있어서 측정 오차가 났을 겄이다.
< 부유물질 - SS (Suspended Solid) >
총 고형물 = 부유물질 + 용존 물질
TS = SS + DS (Dissolved Solid)
∥
VS = VSS + VDS
+
FS = FSS + FDS
총 고형 물질(TS Total Solid)
↓박테리아
2mm 1∼5um 0.1um 0.001um
부유물질 콜로이드(colloid)
용존 물질(DS:Disolved solid)
SS: 여과기에 거른후 105℃에서 건조후 남은 것
증발 고형물(유기물, 유기성분):550℃에서 태운후 소모된것(VS:Volatile Solid)
잔류 고형물(무기물, 무기성분):550℃에서 태운후 남아 있는것(FS:Fixed Solid)
SS의 양과 VS의 양을 보고 미생물을 사용할지 아님 화학 약품을 사용할지 적정 처리법을 설정한다.
예)SS가 많은 경우: 침전, 여과
DS가 많은 경우: 활성탄 흡착, 응집
VS가 많은 경우: 미생물 처리, 소독
FS가 많은 경우: 응집 화학적 친전
-부유물질은 어떻게 발생하나?
부유물질은 물의 색깔을 흐리게 하여 강물이 오염되어 있음을 금방 알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부유물질이 반드시 유독한 것은 아니며 적당한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발생원을 살펴보면 자연수 중의 현탁물질은 빗물에 지표가 씻길 때 유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무기성 물질은 토양의 점토성 물질이며 유기성 물질은 초목, 낙엽이나 퇴비의 분해물 또는 호수나 저수지내 번식하는 플랑크톤이다.
이 외에도 도시하수나 공장, 폐수 속에 부유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부유물질(SS)을 제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부유물질은 물 속에 함유되어 가만히 두어도 가라앉지 않고 그대로 있는 입자성 물질이므로 이를 제거하려면 약품을 투입해야 한다. 응집제는 입자들을 서로 뭉치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약품이다 가라앉은 입자 덩어리들을 제거하면 맑은 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부유물질이 많이 들어있는 하수는 관료내에 퇴적해서 물의 흐름을 방해하고 유기물 부유물질(음식물 찌꺼기 등)은 썩어서 냄새가 나기도 하므로 꼭 제거가 필요한 오염물질이다.
-저울: 측정시 바닥에 다른 힘이 줘줬을 때 측정 하기도 하고 밀폐되지 않고 공기가 통하는 저울 내부 때문에 측정 오차에 많은 영향을 준 것 같다.
-외부 부유물질: 공기중의 물질들이나 호일 위에 부유 물질들이 묻어 있어서 측정 오차가 났을 겄이다.
< 부유물질 - SS (Suspended Solid) >
총 고형물 = 부유물질 + 용존 물질
TS = SS + DS (Dissolved Solid)
∥
VS = VSS + VDS
+
FS = FSS + FDS
총 고형 물질(TS Total Solid)
↓박테리아
2mm 1∼5um 0.1um 0.001um
부유물질 콜로이드(colloid)
용존 물질(DS:Disolved solid)
SS: 여과기에 거른후 105℃에서 건조후 남은 것
증발 고형물(유기물, 유기성분):550℃에서 태운후 소모된것(VS:Volatile Solid)
잔류 고형물(무기물, 무기성분):550℃에서 태운후 남아 있는것(FS:Fixed Solid)
SS의 양과 VS의 양을 보고 미생물을 사용할지 아님 화학 약품을 사용할지 적정 처리법을 설정한다.
예)SS가 많은 경우: 침전, 여과
DS가 많은 경우: 활성탄 흡착, 응집
VS가 많은 경우: 미생물 처리, 소독
FS가 많은 경우: 응집 화학적 친전
-부유물질은 어떻게 발생하나?
부유물질은 물의 색깔을 흐리게 하여 강물이 오염되어 있음을 금방 알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부유물질이 반드시 유독한 것은 아니며 적당한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발생원을 살펴보면 자연수 중의 현탁물질은 빗물에 지표가 씻길 때 유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무기성 물질은 토양의 점토성 물질이며 유기성 물질은 초목, 낙엽이나 퇴비의 분해물 또는 호수나 저수지내 번식하는 플랑크톤이다.
이 외에도 도시하수나 공장, 폐수 속에 부유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부유물질(SS)을 제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부유물질은 물 속에 함유되어 가만히 두어도 가라앉지 않고 그대로 있는 입자성 물질이므로 이를 제거하려면 약품을 투입해야 한다. 응집제는 입자들을 서로 뭉치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약품이다 가라앉은 입자 덩어리들을 제거하면 맑은 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부유물질이 많이 들어있는 하수는 관료내에 퇴적해서 물의 흐름을 방해하고 유기물 부유물질(음식물 찌꺼기 등)은 썩어서 냄새가 나기도 하므로 꼭 제거가 필요한 오염물질이다.
추천자료
농축조 측정
SS측정실험보고서
CVA Introduction (뇌졸중, 중풍에 대하여)
사회문제가 되는 주거건축물 및 건축물의 예
중랑천의문제
유체역학 실험 - 수조 오리피스 유동실험
[일산화탄소 영향][담배 독성물질 일산화탄소][배기가스 독성물질 일산화탄소][일산화탄소 노...
와인테이스팅
유량측정실험
총 부유세균이란 무엇이며 그 측정방법에 대해 논하시오.
[수자원관리][수자원][자원관리][수자원관리 유형][수자원관리 성격][수자원관리 정책과정]수...
콘크리트 재료 및 콘크리트 기본 실험 결과 정리
2016년 2학기 소비자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가습기살균제 피해사건, 소비자 권리와 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