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1. 실험동물의 정의
2. 동물실험의 특징
3. 동물실험과 윤리성
< 본론 >
1. 쥐 (rat) 사육
2. 쥐 사육
3. 쥐 마취
(1) 마취법
(2) 본 실험에서 사용한 마취법
4. 쥐 해부
(1) 혈액 체혈
(2) 간
(3) 위
(4) 소장
(5) 신장
(6) 심장
(7) 대퇴골
< 결론 및 고찰 >
(1) 해부 결론
(2) 고찰
(1) 세균성 질병
(2) 바이러스 질병
(3) 기생충성 질병
(4) 곰팡이성 질병
(5) 살모넬
< 참고문헌 >
1. 실험동물의 정의
2. 동물실험의 특징
3. 동물실험과 윤리성
< 본론 >
1. 쥐 (rat) 사육
2. 쥐 사육
3. 쥐 마취
(1) 마취법
(2) 본 실험에서 사용한 마취법
4. 쥐 해부
(1) 혈액 체혈
(2) 간
(3) 위
(4) 소장
(5) 신장
(6) 심장
(7) 대퇴골
< 결론 및 고찰 >
(1) 해부 결론
(2) 고찰
(1) 세균성 질병
(2) 바이러스 질병
(3) 기생충성 질병
(4) 곰팡이성 질병
(5) 살모넬
< 참고문헌 >
본문내용
동물이 특허를 취득하기 시작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생쥐의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쥐는 가격이 저렴하고 사육관리비가 적게 들어 경제적이며 체구가 작아 다루기 쉽고, 연간 번식률이 높다. 가장 큰 이점은 인간과 생리적 유전학적으로 가장 유사하다는 점이다.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랫이나 마우스 등의 실험동물은 유전적 형질을 동일화하기 위해 근친 교배 되어 순종만을 교배시켜 무균 환경 아래서 사육된다. 따라서 실험에 사용되는 쥐들은 종마다 유전형질이 확정되어 있어 실험시 신뢰성이나 재현성이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환경에 적응력이 떨어지고 병에 약한 것이 단점이다.
실험에 사용된 쥐는 SD rat 6주령, Male을 사용했다. 수컷을 사용한 이유는 암컷의 경우 생리와 같은 호르몬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호르몬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개복하여 장기들을 보았을 때 간이 6엽으로 되어있고 다른장기에 비해 가장 큰 것이 눈에 띄었다. 실험에서 장기 적출 전 심장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혈을 하였는데 혈액이 체중의 5~8% 정도로 8~10ml 이 나오는 것이 정상이나 완전히 하지 못하여 실험을 하는 동안 계속해서 피가 나와 솜으로 닦아주어야 했다. rna 실험의 경우 동물의 털에도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다음에 실험할 기회가 있다면 확실하게 해야 할 것 같다.
사육한 쥐가 걸린 질병이 무엇인지 알아보려 하였으니 쉽지 않았다.
임상적인 증세로 다음 몇 가지를 추측해보았다.
(1) 세균성 질병
세균성 질병에는 연쇄상구균 감염증 (감염부위에 따라 식욕결핍, 침울, 사경, 관절염, 피하농양 등의 증상), Diplococcosis(Diplococcus pneumoniae) (임상증상은 거친 피모, 식욕결핍, 삭수, 활모양으로 구부린 자세, 호흡곤란, 복식호흡, 피가 섞인 화농성 비루), 포도상구균 감염증 (피하와 내장의 다수의 농양, 침울, 호흡곤란, 임파선염, 삭수, 귀나 머리 주위에서 농), 살모넬라 감염증 (장염, 거친 피모, 식욕결핍, 삭수, 결막염, 침울, 엷고 연한 변, 비장 종대, 사망)등 기타 여러 가지 질병이 많이 있다.
하지만 증상이 8번 쥐와 거의 일치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세균성 질병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2) 바이러스 질병
바이러스 질병에는 광견병이 있는데 야생 설치류에서 문제가 되고 실제 발생은 몇 경우뿐이다. 증상은 침울, 공격, 케이지 안의 금속을 물어 끊는다. 스스로 다리를 절단하기도 한다.
바이러스 질병의 임상 증상은 8번쥐와 일치하는 것이 하나도 없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3)기생충성 질병
① 내부기생충
여러 가지의 선충류가 보고되어 있다.
설사, 빈혈, 전신쇠약, 사망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다양한 원충에 감염이 될 수 있으나 대부분 임상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톡소플라즈마에 감염된 동물은 조용히 있거나 뇌염을 일으킨다.
콕시듐에 감염된 경우는 식욕결핍, 석사, 건조한 피모, 체중감소, 사망을 일으킨다.
기아디아에 감염되면 연변, 설사, 식욕결핍, 무관심, 삭수, 폐사를 일으킨다.
8번 쥐는 식욕결핍 등의 증상은 있었으나 설사는 보이지 않았음으로 내부 기생충에 의한 질병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② 외부기생충
벼룩은 동물사이나 동물과 사람사이에 질병을 전파시킬 수 있다.
감염 시에는 가려움이나 빈혈을 일으킨다.
이(lice>는 널리 발생한다.
가려움, 원형탈모, 식욕결핍을 일으킨다.
진드기가 감염이 되어 원형탈모, 발적, 비듬, 가려움, 가피형성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에 붙어 있거나 피부를 파고 들어가서 사는 것도 있다.
전신에 감염되어 쇠약해져서 죽는 경우도 있다.
귀속에 사는 진드기에 감염되면 이도내에 혈청과 피지가 축적되며 가려워한다.
분비물을 닦아내고 이도를 치료한다.
8번 쥐가 얼굴 부분을 긁는 것을 많이 목격하였고, 탈모 증세가 있었음으로 외부기생충에 의한 감염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4) 곰팡이성 질병
피부진균증에 감염이 되어 원형탈모증, 발적, 가려움, 비늘같은 부스러기(코, 귀뒤쪽, 다리 등)를 일으킨다. 사람에게 전염시킬 수도 있다.
8번 쥐는 탈모, 가려움 등의 증세로 보아 곰팡이성 질병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5) 살모넬라 감염증
몇 가지 형태로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장염이 특징이다. 거친 피모, 식욕결핍, 삭수, 결막염, 침울, 엷고 연한 변, 비장 종대, 사망 등의 증상을 보인다.
장염의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음으로 살모넬라에 의한 감염은 아닐 것이라고 본다.
(5) 피부병
털에 윤기가 없고 거칠거칠하고 마구 흐트려저 있다면 건강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털이 빠지고 피부가 빨갛게 부어 오르거나 주위로 번지면 피부병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로 많이 감염되는 부위는 등, 귀, 코, 생식기 등이며 증세는 많이 긁고, 털이 빠지며, 너무 긁어 피부에 상처가 나서 피가 나는 경우도 있다.
8번 쥐는 털에 윤기가 없고, 거칠고 눈 부위를 많이 긁고 털이 빠졌으며 나중엔 눈 부위에 상처가 나서 눈을 뜨지 못했다. 예상되는 가능성이 몇 가지 있었지만 임상적인 증상이 가장 많이 일치하는 피부병에 의한 질병이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
◎영양학 실험 / 수학사
◎http://vetmed.chonnam.ac.kr/cvmlabs/surgery/resp3/resp3-3.htm
◎http://my.netian.com/~roland/Dissect/Rat/Rat0.htm
◎http://mail.donga.ac.kr/~yjlim/ani_lab.htm
◎http://biozine.kribb.re.kr/study/kis11-11.html
◎http://sampgon.hihome.com/mousr.htm
◎http://myhome.netsgo.com/vetopia/hamster/hamster13.htm
◎http://puppydoctor.co.kr/animals/disease/hamster.htm
◎http://net-in.co.kr/makjang/hamill.htm
◎http://animalhospital.co.kr/ham/hurt_4.htm
실험에 사용된 쥐는 SD rat 6주령, Male을 사용했다. 수컷을 사용한 이유는 암컷의 경우 생리와 같은 호르몬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호르몬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개복하여 장기들을 보았을 때 간이 6엽으로 되어있고 다른장기에 비해 가장 큰 것이 눈에 띄었다. 실험에서 장기 적출 전 심장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혈을 하였는데 혈액이 체중의 5~8% 정도로 8~10ml 이 나오는 것이 정상이나 완전히 하지 못하여 실험을 하는 동안 계속해서 피가 나와 솜으로 닦아주어야 했다. rna 실험의 경우 동물의 털에도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다음에 실험할 기회가 있다면 확실하게 해야 할 것 같다.
사육한 쥐가 걸린 질병이 무엇인지 알아보려 하였으니 쉽지 않았다.
임상적인 증세로 다음 몇 가지를 추측해보았다.
(1) 세균성 질병
세균성 질병에는 연쇄상구균 감염증 (감염부위에 따라 식욕결핍, 침울, 사경, 관절염, 피하농양 등의 증상), Diplococcosis(Diplococcus pneumoniae) (임상증상은 거친 피모, 식욕결핍, 삭수, 활모양으로 구부린 자세, 호흡곤란, 복식호흡, 피가 섞인 화농성 비루), 포도상구균 감염증 (피하와 내장의 다수의 농양, 침울, 호흡곤란, 임파선염, 삭수, 귀나 머리 주위에서 농), 살모넬라 감염증 (장염, 거친 피모, 식욕결핍, 삭수, 결막염, 침울, 엷고 연한 변, 비장 종대, 사망)등 기타 여러 가지 질병이 많이 있다.
하지만 증상이 8번 쥐와 거의 일치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세균성 질병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2) 바이러스 질병
바이러스 질병에는 광견병이 있는데 야생 설치류에서 문제가 되고 실제 발생은 몇 경우뿐이다. 증상은 침울, 공격, 케이지 안의 금속을 물어 끊는다. 스스로 다리를 절단하기도 한다.
바이러스 질병의 임상 증상은 8번쥐와 일치하는 것이 하나도 없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3)기생충성 질병
① 내부기생충
여러 가지의 선충류가 보고되어 있다.
설사, 빈혈, 전신쇠약, 사망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다양한 원충에 감염이 될 수 있으나 대부분 임상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톡소플라즈마에 감염된 동물은 조용히 있거나 뇌염을 일으킨다.
콕시듐에 감염된 경우는 식욕결핍, 석사, 건조한 피모, 체중감소, 사망을 일으킨다.
기아디아에 감염되면 연변, 설사, 식욕결핍, 무관심, 삭수, 폐사를 일으킨다.
8번 쥐는 식욕결핍 등의 증상은 있었으나 설사는 보이지 않았음으로 내부 기생충에 의한 질병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② 외부기생충
벼룩은 동물사이나 동물과 사람사이에 질병을 전파시킬 수 있다.
감염 시에는 가려움이나 빈혈을 일으킨다.
이(lice>는 널리 발생한다.
가려움, 원형탈모, 식욕결핍을 일으킨다.
진드기가 감염이 되어 원형탈모, 발적, 비듬, 가려움, 가피형성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에 붙어 있거나 피부를 파고 들어가서 사는 것도 있다.
전신에 감염되어 쇠약해져서 죽는 경우도 있다.
귀속에 사는 진드기에 감염되면 이도내에 혈청과 피지가 축적되며 가려워한다.
분비물을 닦아내고 이도를 치료한다.
8번 쥐가 얼굴 부분을 긁는 것을 많이 목격하였고, 탈모 증세가 있었음으로 외부기생충에 의한 감염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4) 곰팡이성 질병
피부진균증에 감염이 되어 원형탈모증, 발적, 가려움, 비늘같은 부스러기(코, 귀뒤쪽, 다리 등)를 일으킨다. 사람에게 전염시킬 수도 있다.
8번 쥐는 탈모, 가려움 등의 증세로 보아 곰팡이성 질병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5) 살모넬라 감염증
몇 가지 형태로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장염이 특징이다. 거친 피모, 식욕결핍, 삭수, 결막염, 침울, 엷고 연한 변, 비장 종대, 사망 등의 증상을 보인다.
장염의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음으로 살모넬라에 의한 감염은 아닐 것이라고 본다.
(5) 피부병
털에 윤기가 없고 거칠거칠하고 마구 흐트려저 있다면 건강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털이 빠지고 피부가 빨갛게 부어 오르거나 주위로 번지면 피부병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로 많이 감염되는 부위는 등, 귀, 코, 생식기 등이며 증세는 많이 긁고, 털이 빠지며, 너무 긁어 피부에 상처가 나서 피가 나는 경우도 있다.
8번 쥐는 털에 윤기가 없고, 거칠고 눈 부위를 많이 긁고 털이 빠졌으며 나중엔 눈 부위에 상처가 나서 눈을 뜨지 못했다. 예상되는 가능성이 몇 가지 있었지만 임상적인 증상이 가장 많이 일치하는 피부병에 의한 질병이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
◎영양학 실험 / 수학사
◎http://vetmed.chonnam.ac.kr/cvmlabs/surgery/resp3/resp3-3.htm
◎http://my.netian.com/~roland/Dissect/Rat/Rat0.htm
◎http://mail.donga.ac.kr/~yjlim/ani_lab.htm
◎http://biozine.kribb.re.kr/study/kis11-11.html
◎http://sampgon.hihome.com/mousr.htm
◎http://myhome.netsgo.com/vetopia/hamster/hamster13.htm
◎http://puppydoctor.co.kr/animals/disease/hamster.htm
◎http://net-in.co.kr/makjang/hamill.htm
◎http://animalhospital.co.kr/ham/hurt_4.htm
추천자료
프로스타글란딘
환경위생학 요점정리
췌장과 인슐린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의 유사점, 차이점, 시사점
심장에 대하여
[척추측만증][척추측만증 증상][척추측만증 치료][척추측만증 예방][척추측만][척추]척추측만...
조작적,고적적 조건형성 사례
환경호르몬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란?
‘매운 보약’ 마늘, 면역세포요법
[인간과심리]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혹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는 심리학에...
반두라이론과 스키너이론의 차이
[생명공학] 동물 및 식물 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한 산업적 응용 및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