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음성학과 음운론
Ⅱ. 국어 음운의 특징
1. 음운의 수가 많다.
2. 삼지적 상관속 형성
3. 어두 자음의 분포 제약
4. 음절 구성과 제약
5. 모음 조화의 제약
6. 음절 말 위치에서의 중화 현상
Ⅲ. 결론
<표 1> 국어 자음 체계
<표 2> 국어 단모음 체계
<표 3> 국어의 이중 모음 체계
Ⅱ. 국어 음운의 특징
1. 음운의 수가 많다.
2. 삼지적 상관속 형성
3. 어두 자음의 분포 제약
4. 음절 구성과 제약
5. 모음 조화의 제약
6. 음절 말 위치에서의 중화 현상
Ⅲ. 결론
<표 1> 국어 자음 체계
<표 2> 국어 단모음 체계
<표 3> 국어의 이중 모음 체계
본문내용
다. 모음조화는 앞 음절의 모음과 뒤 음절의 모음이 동계의 모음끼리 만나는 현상이다. 모음조화는 엄밀한 의미에서 동화는 아니다. 동화는 기본형이 전제되어 있고, 그 이후 다른 음운과 같거나 비슷한 성질 띠는 현상이다. 하지만 모음조화 현상은 처음부터 짝지어 만난 것이지 기본형이 주위환경에 의하여 동화되었다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중세 국어에서 모음조화는 체언과 조사에까지 철저하게 지켜졌으나(밥) 현대국어에 와서는 용언의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거나 의성어나 의태어의 경우에만 남아 있다. 이것마저 파괴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깡충깡충’
또한 ‘ㅂ’ 불규칙 용언에서 어간의 음절이 2음절 이상인 경우에도 어미 ‘-아(았)’가 결합한 결합한 경우에도 ‘워’로 적는다. 『국어어문규정집』, 61쪽, 문화관광부, 1996
이처럼 중세 국어에서 철저하게 지켜지던 모음조화 현상의 파괴의 원인은 모음 체계의 변화에 있다. 즉, ‘ㆍ’의 소실로 인해 양성과 음성 모음의 체계가 무너지면서 생긴 현상이다.
6. 음절 말 위치에서의 중화 현상
변별적 자질을 가진 음소들이 특정 환경에서 그 대립을 상실하는 현상을 중화 현상이라고 한다. 국어의 중화 현상은 국어의 폐쇄음이나 파찰음, 마찰음이 음절말 위치에서 불파음으로 실현되는 일과 관련이 있다. 이익섭, 『국어학개론』, 65쪽, 1996, 학연사
국어에서의 중화 현상은 음절 말 위치에서 일어나는데, ‘ㄱ, ㄴ, ㄷ, ㄹ, ㅁ, ㅂ, ㅅ’의 7자음만이 변별적 특질을 유지한다. 나머지는 대표음으로 발음된다. 중화 현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ㄲ, ㅋ → [ㄷ]/- C(자음) ㅅ, ㅆ, ㅈ, ㅊ, ㅌ → [ㄷ]/- C(자음)
#(휴지) #(휴지)
ㅍ → [ㅂ]/- C(자음)
#(휴지)
Ⅲ. 결론
지금까지 국어 음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국어 음운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음운의 수가 많다는 점이다. 국어는 자음 19자와 모음 21자로 구성되어 있어, 음운의 수가 많다는 점이 첫 번째 특징이다. 둘째, 파열음과 파찰음의 경우, 3지적 상관속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국어의 공통 조어라고 추측되는 알타이 제어의 경우 유기음과 무기음의 대립이 없다는 점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셋째, 어두 위치에서 자음의 분포상의 제약이 있는데, 자음군과 유음, 치조비음, 연구개 비음의 경우가 그러하다. 넷째, 음절 구성에도 제약이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다섯째, 모음조화가 존재하지만 중세 국어에 비해서 많이 약해져서 의성어와 의태어, 용언의 어간과 어미의 결합의 경우에만 남아 있다.
이 외에도 음절말 위치에서 자음군이 제약이 따르며, 모음 교체나 자음 교체가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다는 점도 국어가 가진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 참고 문헌 ※
1. 문화관광부, 『국어어문규정집』, 1996,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이관규, 『학교문법론』, 월인 1996
3. 이익섭, 『국어학개론』, 1996, 학연사
4. 허웅, 『국어 음운학』, 1989, 샘문화사
허웅, 『국어학』, 1984, 샘문화사
중세 국어에서 모음조화는 체언과 조사에까지 철저하게 지켜졌으나(밥) 현대국어에 와서는 용언의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거나 의성어나 의태어의 경우에만 남아 있다. 이것마저 파괴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깡충깡충’
또한 ‘ㅂ’ 불규칙 용언에서 어간의 음절이 2음절 이상인 경우에도 어미 ‘-아(았)’가 결합한 결합한 경우에도 ‘워’로 적는다. 『국어어문규정집』, 61쪽, 문화관광부, 1996
이처럼 중세 국어에서 철저하게 지켜지던 모음조화 현상의 파괴의 원인은 모음 체계의 변화에 있다. 즉, ‘ㆍ’의 소실로 인해 양성과 음성 모음의 체계가 무너지면서 생긴 현상이다.
6. 음절 말 위치에서의 중화 현상
변별적 자질을 가진 음소들이 특정 환경에서 그 대립을 상실하는 현상을 중화 현상이라고 한다. 국어의 중화 현상은 국어의 폐쇄음이나 파찰음, 마찰음이 음절말 위치에서 불파음으로 실현되는 일과 관련이 있다. 이익섭, 『국어학개론』, 65쪽, 1996, 학연사
국어에서의 중화 현상은 음절 말 위치에서 일어나는데, ‘ㄱ, ㄴ, ㄷ, ㄹ, ㅁ, ㅂ, ㅅ’의 7자음만이 변별적 특질을 유지한다. 나머지는 대표음으로 발음된다. 중화 현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ㄲ, ㅋ → [ㄷ]/- C(자음) ㅅ, ㅆ, ㅈ, ㅊ, ㅌ → [ㄷ]/- C(자음)
#(휴지) #(휴지)
ㅍ → [ㅂ]/- C(자음)
#(휴지)
Ⅲ. 결론
지금까지 국어 음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국어 음운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음운의 수가 많다는 점이다. 국어는 자음 19자와 모음 21자로 구성되어 있어, 음운의 수가 많다는 점이 첫 번째 특징이다. 둘째, 파열음과 파찰음의 경우, 3지적 상관속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국어의 공통 조어라고 추측되는 알타이 제어의 경우 유기음과 무기음의 대립이 없다는 점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셋째, 어두 위치에서 자음의 분포상의 제약이 있는데, 자음군과 유음, 치조비음, 연구개 비음의 경우가 그러하다. 넷째, 음절 구성에도 제약이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다섯째, 모음조화가 존재하지만 중세 국어에 비해서 많이 약해져서 의성어와 의태어, 용언의 어간과 어미의 결합의 경우에만 남아 있다.
이 외에도 음절말 위치에서 자음군이 제약이 따르며, 모음 교체나 자음 교체가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다는 점도 국어가 가진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 참고 문헌 ※
1. 문화관광부, 『국어어문규정집』, 1996,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이관규, 『학교문법론』, 월인 1996
3. 이익섭, 『국어학개론』, 1996, 학연사
4. 허웅, 『국어 음운학』, 1989, 샘문화사
허웅, 『국어학』, 1984, 샘문화사
추천자료
국어학의 공시론적,통시론적분류
2009년 2학기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09년 2학기 국어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1년 2학기 국어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1년 2학기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국어학개론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2년 2학기 국어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2년 2학기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2학기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2학기 국어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4년 하계계절시험 국어학개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국어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국어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