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 3P
2. 서론 ……………………………………… 3P
3. 필요부품 및 기기 ……………………… 3P
4. 실험순서 ……………………………… 3~4P
5. Shift, Counter register란? ……, 5~7P
6. 실험과정 ………………………………… 5P
7. 소감 및 고찰 ……………………… 6~7P
2. 서론 ……………………………………… 3P
3. 필요부품 및 기기 ……………………… 3P
4. 실험순서 ……………………………… 3~4P
5. Shift, Counter register란? ……, 5~7P
6. 실험과정 ………………………………… 5P
7. 소감 및 고찰 ……………………… 6~7P
본문내용
de의 4가지
순서로 실험을 진행 하였다. 먼저 binary 스위치를 “11”로 하고 펄스 값을 입력
하면 LED가 모두 ON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clear mode에서는 binary 스위치의 값을 “10”으로 하고 logic
switch의 펄스 값을 입력하면 왼쪽 시프트(자리이동) 동작이 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레지스터는 clear되어 0으로 된다. 즉, LED가 좌측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씩 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unt mode에서는 binary data(스위치)의 값 “11”으로 하고 logic switch의
펄스 값을 입력하면 LED불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ON 되는걸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shift return에서는 첫 번째 LED의 불만 켜지는 것을 확인한 후
binary data(스위치)값을 “00”으로 하고 logic switch의 펄스 값을 입력하면
LED 불이 순차적으로 좌측에서 오른쪽으로 Shift 되고 4번째 LED후 재순환이
되는 것도 확인 할 수 있었다.
IC 칩으로 여러 가지 동작 확인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shift, counter register에 대해 실험을 했는데, 이 실험에서 사용되는 회로는 7495 shift register를 사용했는데 shift register란 저장되어 있는 이진 정보를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shift register의 각 플립플롭들은 각각의 입력과 출력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공통의 클럭펄스가 다음 상태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번 실험에서 스위치 값을 확인, clear, count, shift return mode 순서대로 실험하였다. 각각의 방법으로 모두 실험 했을때 불이 켜지는것을 확인하였다.
- 이번은 시프트, 카운터 레지스터에 관한 실험을 했다. 7495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사용 클리어 카운터 시프트 리턴의 4가지 순서로 실험을 진행 먼저 binary 스위치를 “11”로 하고 펄스 값을 입력하면 LED가 모두 ON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클리어 모드는 LED가 좌측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씩 꺼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카운트 모드에서는 LED불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ON 되는걸 확 인했으며 마지막으로 시프트 리턴에서는 재순환이 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 한 IC 칩으로 여러 가지 동작을 확인할 수 있는걸 알았다.
- 시프트와 카운터 레지스터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매 클록 주기로 모든 비트를 한 자리 옮기게 하는 레지스터이다. 레지스터가 선형인 경우에는 한 비트가 한쪽 끝에서 삽입되고 반대쪽 끝에서 한 비트가 떨어져 나간다. 레 지스터가 순환형인 경우에는 한쪽 끝에서 떨어져 나간 비트가 시작에서 다시 삽 입 된다. 시프트 레지스터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는 데 유용하다. 클리 어 카운터 시프트 리턴의 4가지 순서로 실험을 진행 하였다. 순서대로 LED가 순 서대로 불이 켜지고, 꺼지고 하는 것을 실험하였다. 한 레지스터로 여러 가지 실 험을 할 수 있는걸 알았다.
순서로 실험을 진행 하였다. 먼저 binary 스위치를 “11”로 하고 펄스 값을 입력
하면 LED가 모두 ON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clear mode에서는 binary 스위치의 값을 “10”으로 하고 logic
switch의 펄스 값을 입력하면 왼쪽 시프트(자리이동) 동작이 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레지스터는 clear되어 0으로 된다. 즉, LED가 좌측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씩 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unt mode에서는 binary data(스위치)의 값 “11”으로 하고 logic switch의
펄스 값을 입력하면 LED불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ON 되는걸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shift return에서는 첫 번째 LED의 불만 켜지는 것을 확인한 후
binary data(스위치)값을 “00”으로 하고 logic switch의 펄스 값을 입력하면
LED 불이 순차적으로 좌측에서 오른쪽으로 Shift 되고 4번째 LED후 재순환이
되는 것도 확인 할 수 있었다.
IC 칩으로 여러 가지 동작 확인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shift, counter register에 대해 실험을 했는데, 이 실험에서 사용되는 회로는 7495 shift register를 사용했는데 shift register란 저장되어 있는 이진 정보를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shift register의 각 플립플롭들은 각각의 입력과 출력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공통의 클럭펄스가 다음 상태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번 실험에서 스위치 값을 확인, clear, count, shift return mode 순서대로 실험하였다. 각각의 방법으로 모두 실험 했을때 불이 켜지는것을 확인하였다.
- 이번은 시프트, 카운터 레지스터에 관한 실험을 했다. 7495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사용 클리어 카운터 시프트 리턴의 4가지 순서로 실험을 진행 먼저 binary 스위치를 “11”로 하고 펄스 값을 입력하면 LED가 모두 ON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클리어 모드는 LED가 좌측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씩 꺼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카운트 모드에서는 LED불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ON 되는걸 확 인했으며 마지막으로 시프트 리턴에서는 재순환이 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 한 IC 칩으로 여러 가지 동작을 확인할 수 있는걸 알았다.
- 시프트와 카운터 레지스터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매 클록 주기로 모든 비트를 한 자리 옮기게 하는 레지스터이다. 레지스터가 선형인 경우에는 한 비트가 한쪽 끝에서 삽입되고 반대쪽 끝에서 한 비트가 떨어져 나간다. 레 지스터가 순환형인 경우에는 한쪽 끝에서 떨어져 나간 비트가 시작에서 다시 삽 입 된다. 시프트 레지스터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는 데 유용하다. 클리 어 카운터 시프트 리턴의 4가지 순서로 실험을 진행 하였다. 순서대로 LED가 순 서대로 불이 켜지고, 꺼지고 하는 것을 실험하였다. 한 레지스터로 여러 가지 실 험을 할 수 있는걸 알았다.
추천자료
기계공학실험 충격시험 실험보고서
[ 화공 실험 ] 액 액 추출 (LIQUID & LIQUID EXTRACTION) / McCabe 예비 자료 보고서(화...
접합공학 실험보고서
전기공학실험_보고서(BLDC모터).
전자공학실험 LC발진기(하틀리,콜피츠) 실험보고서
전자공학실험 구형파발진기(비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 실험보고서
전자공학실험 열안정실험보고서
전자공학실험 에미터접지증폭기의특성 실험보고서<에미터 접지 증폭기의 특성>
전자공학실험 상보전력증폭기(push-pull) 실험보고서 <상보전력증폭기의 특성>
전자공학실험 동조회로 실험보고서 < 동조회로 (Tank회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