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 3P
2. 서론 ……………………………………… 3P
3. 부품 및 기기 …………………………… 3P
4. 실험순서 ……………………………… 3P
5. 2진 계수기(Binary Counter)란? ,4 4P
6. 실험과정 ………………………………… 5P
8. 소감 및 고찰 ……………………… 6~7P
2. 서론 ……………………………………… 3P
3. 부품 및 기기 …………………………… 3P
4. 실험순서 ……………………………… 3P
5. 2진 계수기(Binary Counter)란? ,4 4P
6. 실험과정 ………………………………… 5P
8. 소감 및 고찰 ……………………… 6~7P
본문내용
데,
동기식/ 비동기식, 2진/ 10진, Up/Down 카운터로 나눌 수 있다.
동기식과 비동기식은 카운터의 출력이 하나의 입력 클록에 의해 동기 되는지의
여부에 의해 구분되며, 2진과 10진은 카운터의 계수의 범위에 의해서 결정된다.
마지막으로 Up Down카운터는 카운터의 계수 값이 증가하면 Up, 감소하면
Down카운터라고 할 수 있겠다.
동기식 카운터의 원리 및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었고, T-플립플롭은 2진 계수
동작을 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AND 게이트를 통하여
각 플립플롭의 T입력을 클럭 펄스와 동기시켜 동기식 가산 카운터를 구성할 수
있고 클럭 펄스 입력 Cp는 모든 단의 플립플롭 T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AND
게이트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어 클럭펄스가 변화될 때 동시에 각 플립플롭의
T입력도 변화하는 이론도 공부할 수 있었다.
우리가 실험한 4진 Up/Down 카운터라 하면은 입력되는 클럭수를 세어 0에
서 3까지 혹은 Down동작을 수행하는 회로를 말한다. 즉 하나의 입력신호에
의해서 플립플롭의 출력이 동시에 발생한다..
- 1개의 플립플롭은 Divide-by-2 (÷2) 카운터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리고 그림 24-1 (a)와 같이 JK master-slave 플립플롭을 고려해보자. J와 K 입력은 +Vcc로 연결되며, 간단한 T 플립플롭으로서의 실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 클럭이 음의 천이를 가질때마다 그것의 출력은 상태를 변화시킨다. 입력 클럭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과 플립플롭 출력결과 (Q에서)는 그림 24-1(b) 와 같다. 출력신호의 주파수가 정확히 입력클럭 주파수의 1/2이 된다는 것을 알 게 되었다.
- 이번 실험은 2진 계수기 up/down counter 이다. 일반적으로 카운터의 종류는 세가지 요소에 의해서 구분 동기식, 비동기식, / 2진, 10진, / Up , Down 카운 터로 나뉜다. 2진 계수기(binary counter)는 2진법에 의해 수를 헤아리는 계수 기 즉, 2개의 안정 상태 중에 어느 하나를 지정해서 그 상태가 될 때에만 수를 하나씩 증가시켜 가는 계수기이다. Up Down카운터는 카운터의 계수 값이 증가 하면 Up, 감소하면 Down카운터이다. 2진과 10진은 카운터의 계수의 범위에 의해서 결정된다. 실험한 4진 Up/Down 카운터는 입력되는 클럭수를 세어 0에 서 3까지 혹은 Down동작을 수행하는 회로 즉, 하나의 입력신호에 의해 플립플 롭 출력이 동시에 발생한다.
- 1개의 플립플롭은 Divide-by-2 (÷2) 카운터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입력 클럭이 음의 천이를 가질 때 마다 그것의 출력은 상태를 변화시킨다. 2진 계수기는 2진법을 이용하여 수를 세는 계수기이다. 하나의 입력신호에 의해 플립플롭 출력이 동시에 발생한다. 동기식 카운터를 이용하는 법을 알았고, T-플립플롭은 2진 계수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T-플립플롭을 이용하여 동기식 가산 카운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동기식/ 비동기식, 2진/ 10진, Up/Down 카운터로 나눌 수 있다.
동기식과 비동기식은 카운터의 출력이 하나의 입력 클록에 의해 동기 되는지의
여부에 의해 구분되며, 2진과 10진은 카운터의 계수의 범위에 의해서 결정된다.
마지막으로 Up Down카운터는 카운터의 계수 값이 증가하면 Up, 감소하면
Down카운터라고 할 수 있겠다.
동기식 카운터의 원리 및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었고, T-플립플롭은 2진 계수
동작을 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AND 게이트를 통하여
각 플립플롭의 T입력을 클럭 펄스와 동기시켜 동기식 가산 카운터를 구성할 수
있고 클럭 펄스 입력 Cp는 모든 단의 플립플롭 T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AND
게이트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어 클럭펄스가 변화될 때 동시에 각 플립플롭의
T입력도 변화하는 이론도 공부할 수 있었다.
우리가 실험한 4진 Up/Down 카운터라 하면은 입력되는 클럭수를 세어 0에
서 3까지 혹은 Down동작을 수행하는 회로를 말한다. 즉 하나의 입력신호에
의해서 플립플롭의 출력이 동시에 발생한다..
- 1개의 플립플롭은 Divide-by-2 (÷2) 카운터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리고 그림 24-1 (a)와 같이 JK master-slave 플립플롭을 고려해보자. J와 K 입력은 +Vcc로 연결되며, 간단한 T 플립플롭으로서의 실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 클럭이 음의 천이를 가질때마다 그것의 출력은 상태를 변화시킨다. 입력 클럭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과 플립플롭 출력결과 (Q에서)는 그림 24-1(b) 와 같다. 출력신호의 주파수가 정확히 입력클럭 주파수의 1/2이 된다는 것을 알 게 되었다.
- 이번 실험은 2진 계수기 up/down counter 이다. 일반적으로 카운터의 종류는 세가지 요소에 의해서 구분 동기식, 비동기식, / 2진, 10진, / Up , Down 카운 터로 나뉜다. 2진 계수기(binary counter)는 2진법에 의해 수를 헤아리는 계수 기 즉, 2개의 안정 상태 중에 어느 하나를 지정해서 그 상태가 될 때에만 수를 하나씩 증가시켜 가는 계수기이다. Up Down카운터는 카운터의 계수 값이 증가 하면 Up, 감소하면 Down카운터이다. 2진과 10진은 카운터의 계수의 범위에 의해서 결정된다. 실험한 4진 Up/Down 카운터는 입력되는 클럭수를 세어 0에 서 3까지 혹은 Down동작을 수행하는 회로 즉, 하나의 입력신호에 의해 플립플 롭 출력이 동시에 발생한다.
- 1개의 플립플롭은 Divide-by-2 (÷2) 카운터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입력 클럭이 음의 천이를 가질 때 마다 그것의 출력은 상태를 변화시킨다. 2진 계수기는 2진법을 이용하여 수를 세는 계수기이다. 하나의 입력신호에 의해 플립플롭 출력이 동시에 발생한다. 동기식 카운터를 이용하는 법을 알았고, T-플립플롭은 2진 계수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T-플립플롭을 이용하여 동기식 가산 카운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추천자료
기계공학실험 충격시험 실험보고서
[ 화공 실험 ] 액 액 추출 (LIQUID & LIQUID EXTRACTION) / McCabe 예비 자료 보고서(화...
접합공학 실험보고서
전기공학실험_보고서(BLDC모터).
전자공학실험 LC발진기(하틀리,콜피츠) 실험보고서
전자공학실험 구형파발진기(비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 실험보고서
전자공학실험 열안정실험보고서
전자공학실험 에미터접지증폭기의특성 실험보고서<에미터 접지 증폭기의 특성>
전자공학실험 상보전력증폭기(push-pull) 실험보고서 <상보전력증폭기의 특성>
전자공학실험 동조회로 실험보고서 < 동조회로 (Tank회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