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 3P
2. 이론 ……………………………………… 3P
3. 필요부품 및 기기 ……………………… 5P
4. 실험순서 ……………………………… 5P
5. Timer IC 555란? …………………… 6P
6. 실험과정 ……………………………… 6~7P
7. 소감 및 고찰 …………………………… 7P
2. 이론 ……………………………………… 3P
3. 필요부품 및 기기 ……………………… 5P
4. 실험순서 ……………………………… 5P
5. Timer IC 555란? …………………… 6P
6. 실험과정 ……………………………… 6~7P
7. 소감 및 고찰 …………………………… 7P
본문내용
키게 된다. 전압제어
단자의 전압이 Vcon 이라면 Vut = Vcon, Vlt = 1/2Vcon이 된다. 외부에서 공급된
전압을 이용하여 Vcon을 변화시키므로서 C의 충방전시간이 변화되어 출력 구형파의
주기가 변화한다. Vcon이 높아지면 비교기 1의 드래쉬홀드 전압이 올라가므로 콘덴서
C의 충전시간이 길어져 출력주파수가 낮아진다. 반대로 Vcon이 낮아지면 C의 충전
시간이 짧아져 출력주파수가 높아진다. Vcon을 연속가변전원으로 대체하면 출력은 입력
변화에 대응하여 펄스폭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펄스진폭변조(PWM)파가 된다.
<그림 17.9> <그림 17.10>
<타이머를 이용한 전압제어 발진회로>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 구성에
전압제어단자 전압을 제어하여 만든 VCO>
3. 필요부품 및 기기
- 디지털 회로 실험기, DCT - 201 1대
- Timer IC 555 1개
- 10K 2개
- 103F 1개
- 오실로스코프 1대
4. 실험순서
1) 타이머를 이용한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 D = 50%인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3) 타이머를 이용한 전압제어 발진회로
5. Timer IC 555란?
- Timer IC 555는 응용회로 설계에 사용하기에 아주 편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
- 8PIN으로 구성
- 동작하는 범위 4 ~ 15V로 신축성이 있어 까다롭지 안음
- 동작주파수 범위 : 1/50Hz에서 1MHz까지 넓은 영역에서 동작(1/20Hz - 30KHz 권장)
- 온도 특성 : 50ppm/c로 우수한 편
- 회로의 동작 : 555 외부에 자리잡은 저항(R), 콘덴서(C) 값과 연결방법 만으로 정해짐
- 555를 사용한 회로의 안정성과 정확도는, 555 IC 외부의 저항(R)과 콘덴서(C)의 특성
에만 의존하므로 쉽게 고급기능의 회로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음
6. 실험 과정
1) 타이머를 이용한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그림 1-1 회로구성> <그림 1-2 출력파형>
2) D=50%인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그림 1-3 회로구성> <그림 1-4 출력파형>
3) 타이머를 이용한 전압제어 발진회로
<그림 1-5 회로구성> <그림 1-6 출력파형>
7. 소감 및 고찰
- Time IC 555를 이용하여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구성하는 실험을 하였다.
적분기 회로구성을 통하여 콘덴서의 충전과 방전을 통하여 상태가 계속 반전
되는 구형파 발진을 오실로스코프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타이머를 이용한 비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 보다 듀티 사이클 D가 50%인
구형파를 만들기 위하여 충방전 주기가 거의 같도록 회로를 구성해서 주기가
좀 더 짧은 출력파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다이오드는 순바이어스
상태가 되며 순방향 저항(R)은 수십 Ohm 정도로 바로 밑에 있는 저항은 무시
될 수 있으므로 순방향 저항(R) - 다이오드 - C를 통해 콘덴서가 충전되고
이와 반대로 방전시에는 다이오드가 역바이어스 상태이므로 콘덴서 충전전압은
C와 R2를 통해 방전되고, 충전주기는 거의 R2와 C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자의 전압이 Vcon 이라면 Vut = Vcon, Vlt = 1/2Vcon이 된다. 외부에서 공급된
전압을 이용하여 Vcon을 변화시키므로서 C의 충방전시간이 변화되어 출력 구형파의
주기가 변화한다. Vcon이 높아지면 비교기 1의 드래쉬홀드 전압이 올라가므로 콘덴서
C의 충전시간이 길어져 출력주파수가 낮아진다. 반대로 Vcon이 낮아지면 C의 충전
시간이 짧아져 출력주파수가 높아진다. Vcon을 연속가변전원으로 대체하면 출력은 입력
변화에 대응하여 펄스폭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펄스진폭변조(PWM)파가 된다.
<그림 17.9> <그림 17.10>
<타이머를 이용한 전압제어 발진회로>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 구성에
전압제어단자 전압을 제어하여 만든 VCO>
3. 필요부품 및 기기
- 디지털 회로 실험기, DCT - 201 1대
- Timer IC 555 1개
- 10K 2개
- 103F 1개
- 오실로스코프 1대
4. 실험순서
1) 타이머를 이용한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 D = 50%인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3) 타이머를 이용한 전압제어 발진회로
5. Timer IC 555란?
- Timer IC 555는 응용회로 설계에 사용하기에 아주 편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
- 8PIN으로 구성
- 동작하는 범위 4 ~ 15V로 신축성이 있어 까다롭지 안음
- 동작주파수 범위 : 1/50Hz에서 1MHz까지 넓은 영역에서 동작(1/20Hz - 30KHz 권장)
- 온도 특성 : 50ppm/c로 우수한 편
- 회로의 동작 : 555 외부에 자리잡은 저항(R), 콘덴서(C) 값과 연결방법 만으로 정해짐
- 555를 사용한 회로의 안정성과 정확도는, 555 IC 외부의 저항(R)과 콘덴서(C)의 특성
에만 의존하므로 쉽게 고급기능의 회로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음
6. 실험 과정
1) 타이머를 이용한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그림 1-1 회로구성> <그림 1-2 출력파형>
2) D=50%인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그림 1-3 회로구성> <그림 1-4 출력파형>
3) 타이머를 이용한 전압제어 발진회로
<그림 1-5 회로구성> <그림 1-6 출력파형>
7. 소감 및 고찰
- Time IC 555를 이용하여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구성하는 실험을 하였다.
적분기 회로구성을 통하여 콘덴서의 충전과 방전을 통하여 상태가 계속 반전
되는 구형파 발진을 오실로스코프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타이머를 이용한 비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 보다 듀티 사이클 D가 50%인
구형파를 만들기 위하여 충방전 주기가 거의 같도록 회로를 구성해서 주기가
좀 더 짧은 출력파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다이오드는 순바이어스
상태가 되며 순방향 저항(R)은 수십 Ohm 정도로 바로 밑에 있는 저항은 무시
될 수 있으므로 순방향 저항(R) - 다이오드 - C를 통해 콘덴서가 충전되고
이와 반대로 방전시에는 다이오드가 역바이어스 상태이므로 콘덴서 충전전압은
C와 R2를 통해 방전되고, 충전주기는 거의 R2와 C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천자료
기계공학실험 충격시험 실험보고서
[ 화공 실험 ] 액 액 추출 (LIQUID & LIQUID EXTRACTION) / McCabe 예비 자료 보고서(화...
접합공학 실험보고서
전기공학실험_보고서(BLDC모터).
전자공학실험 LC발진기(하틀리,콜피츠) 실험보고서
전자공학실험 구형파발진기(비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 실험보고서
전자공학실험 열안정실험보고서
전자공학실험 에미터접지증폭기의특성 실험보고서<에미터 접지 증폭기의 특성>
전자공학실험 상보전력증폭기(push-pull) 실험보고서 <상보전력증폭기의 특성>
전자공학실험 동조회로 실험보고서 < 동조회로 (Tank회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