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병 스터디
서론
<문헌고찰>
1. 천식
2. 원인
3. 병태생리
4. 분류
5. 증상
6. 진단 검사
7. 치료
8. 간호
9. 예방
2. 대상자 간호 사정
1. 일반적 사항
2. 간호력
3. 진단검사 소견
4. 약물
5. 간호과정
서론
<문헌고찰>
1. 천식
2. 원인
3. 병태생리
4. 분류
5. 증상
6. 진단 검사
7. 치료
8. 간호
9. 예방
2. 대상자 간호 사정
1. 일반적 사항
2. 간호력
3. 진단검사 소견
4. 약물
5. 간호과정
본문내용
활력징후 측정 한다.
2. 객담의 양상을 사정한다.
3.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4. 심호흡 후 효과적인 기침을 격려한다.
5. 분무요법을 통해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6. 필요시 suction이나 O2를 지원해 준다.
7. 수분섭취를 권장 한다.
8. 호흡하기 편한 자세를 취하도록 권장한다.
간호중재 수행
① 활력징후를 6시간마다 측정하여 대상자의 호흡의 양상 을 사정하고 기록하였다.
② duty시 대상자의 객담의 양상을 사정하였다.
(객담의 농도, 색깔 등을 사정하여 대상자의 질병 상태 와 호흡의 용이성을 파악한다.)
③ 처방이 된 약물을 정확한 시간에 투여하고 부작용을 관찰하였다.(처방된약물로는 주로 에포세린1g 1일 3번 설포라제캅셀, 아젭틴정1정 2정, 엘스탄트캡슐1알 3번, 아미노 필린 주사액10ml 1번 이 투여되었다.)
④ 효과적인 기침을 하게하여 객담배출을 증진시키도록 격려하였다.(효과적인 기침을 유도하는 방법은 천천히 호기를 한 후 흡입 공기가 폐에 잘 분포되도록 하기 위해 환자에게 심호흡을 하고 2초 동안 호흡을 참게 한 후 연속으로 2~3회 기침을 하도록 한다.)
⑤ nebulizer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고 처방된 흡입약물을 투여하여 호흡기 치료를 실시하였다.(흡입약물로는 아 벤트로 흡입액2ml를1일 3회, 뮤코미스트액을 4ml를 1 일 3회, salbutamol sulfate를 1ml씩 하루3회 사용하였다.)
⑥ 수분을 자주 섭취하도록 권장하였다.
(수분을 많이 섭취하면 객담이 묽어져서 객담 배출 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2L정도 마셔주는 것이 좋다.)
⑦ 호흡하기 편한 자세를 교육하였다.
(호흡을 용이하게 하는 자세로는 머리를 약간 숙이고 어깨는 편안하게 이완하며 무릎을 굽힌 상태의 좌위를 알려주었다. )
간호평가
객관적:
- 대상자의 호흡음 청진 시 천명음이 들리지 않는다.
- V/S측정시 1분에 26회->18회로 빈호흡 양상이
사라 졌다.(11/3)
- 대상자가 호흡 시 불편감이 사라졌다고 말함.
주관적:
“ 이제는 가래가 거의 없어서 목에 갑갑한것이 사라지고 호흡하기도 한결 편해졌어요.”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저녁엔 기침이 더 심해져서 숨쉬기도 힘들고 잠을 자기가 힘 들고 잠이 들어도 자주 깨요.”
“아침에 일어나면 몸이 너무 피곤하고 목이 아파요.”
“요근래 낮과 밤이 바뀐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1. 밤에 잠이 드는데 1시간 이상 소요됨.
2. 눈이 빨갛게 충혈되있고 무기력 함.
3. 낮에 잠을 3시간 이상 잠.
간호진단
과도한 기침으로 인한 호흡곤란과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계획
목표
단기:
- 대상자는 3일이내 수면결핍의 신체적증상이 나타나지않는다.
- 대상자는 3일이내 대상자는 잘 잤다는 느낌을 표현한다.
장기: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정상적인 수면을 유지한다.
기대되는 결과
- 대상자는 밤 동안 7시간 이상 수면을 취한다.
- 대상자는 낮과 밤에 맞는 생활패턴으로 회복한다.
- 무력감이나 안구 충혈 등의 증상이 없어진다.
간호중재 설정
1. 매일 수면 양상에 대하여 사정한다.
2. 수면방해 요인을 경감 시킨다.
3. 기관지를 자극하는 요인이 없도록 한다.
4. 과도한 낮잠은 피하도록 설명한다.
5.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교육시킨다.
간호중재 수행
① 매일 전날 밤의 수면의 질에 대해 질문을 하였다.
(“박oo님 오늘은 좀 어떠신가요? 밤에는 잘 주무셨나요?”)
②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 약물을 투여 하였다.
(기관지 확장제로는
③ 객담 배출을 위해 nebulizer로 호흡기 치료를 하였다.
④ 하루에 2L정도의 수분섭취를 권장하였다.
(객담을 배출시킴으로써 기도의 자극을 줄여 기침을 줄여줌)
⑤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수면 2시간 전부터는 환자가 격렬한 움직임이나 스트레스 받는 일은 되도록 없도록 교육하고 방안은 따뜻하고 적당한 습도를 유지시켰다.
⑥ 낮에 주무시지 않도록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하였다.
⑦ 수면 전 침상을 45도 정도 올려주면 수면 시 원활한 호흡을 할 수 있다고 설명 하였다.
(앙와위에서 45도 정도 올려주면 반좌위형태가 되어 원활한 호흡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간호평가
객관적:
- 수면 양상 질문시 대상자가 잘 잤다는 느낌을 표현하였다.
- 대상자는 밤동안 7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였다.
- 수면 결핍의 신체적 증상이 사라졌다.
주관적:
“요세는 잠잘때 기침을 많이하지 않아서 잠을 잘 자고 있어요.”
#2. 과도한 기침으로 인한 호흡곤란과 관련된 수면장애
#3. 과도한 기침과 관련된 질식감으로 인한 불안.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심한 기침을 계속하면서 숨이 쉬어지지 않을 땐 정말 죽을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어요.”
“아직도 좀 무서워요.”
객관적 자료
- 기침 후 얼굴이 빨갛고 과 호흡 양상을 보임.
간호진단
과도한 기침과 관련된 질식감으로 인한 불안
간호계획
목표
- 대상자는 이완법을 적용 할 수 있다.
- 대상자는 불안이 감소되었다는 표현을 한다.
기대되는 결과
- 심한 기침을 하지 않고 호흡곤란 증세를 보이지 않는다.
- 불안유발시 스스로 심호흡이나 좌위나 반좌위를 취한다.
간호중재 설정
1.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2. 불안의 원인을 경감 시킨다.
3.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4. 조용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5. 호흡이 편해지도록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간호중재 수행
① duty시 대상자에게 불안 정도에 대해 질문하였다.
② 처방된 기관지 확장 약물을 투여해 주고 수분섭취를 권장 하였다.(투여된 약물과 꾸준한 수분 섭취로 기침을 감소 시키고 호흡곤란을 완화시켜 질식감에 대한 대상자의 불안감을 감소 시켜준다.)
③ 도움이 필요 시 콜벨을 누르도록 교육하였다.
④ 대상자와 대화 시 대상자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고 대 상자가 불안에 대해 표현하도록 격려하였다.
⑤대상자에게 호흡에 용이한 이완요법과 체위를 교육하였다.
(이완 요법으로는 심호흡과 복식호흡을 알려주었고 체위로는 좌위와 반좌위를 알려주었다.)
간호평가
주관적:
“기침이 심할 때 심호흡을 하니까 좀 나아요.”
“이제는 기침도 전처럼 심하지도 않고 호흡하는 것도 좋아져서 별로 불안하지 않아요.”
2. 객담의 양상을 사정한다.
3.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4. 심호흡 후 효과적인 기침을 격려한다.
5. 분무요법을 통해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6. 필요시 suction이나 O2를 지원해 준다.
7. 수분섭취를 권장 한다.
8. 호흡하기 편한 자세를 취하도록 권장한다.
간호중재 수행
① 활력징후를 6시간마다 측정하여 대상자의 호흡의 양상 을 사정하고 기록하였다.
② duty시 대상자의 객담의 양상을 사정하였다.
(객담의 농도, 색깔 등을 사정하여 대상자의 질병 상태 와 호흡의 용이성을 파악한다.)
③ 처방이 된 약물을 정확한 시간에 투여하고 부작용을 관찰하였다.(처방된약물로는 주로 에포세린1g 1일 3번 설포라제캅셀, 아젭틴정1정 2정, 엘스탄트캡슐1알 3번, 아미노 필린 주사액10ml 1번 이 투여되었다.)
④ 효과적인 기침을 하게하여 객담배출을 증진시키도록 격려하였다.(효과적인 기침을 유도하는 방법은 천천히 호기를 한 후 흡입 공기가 폐에 잘 분포되도록 하기 위해 환자에게 심호흡을 하고 2초 동안 호흡을 참게 한 후 연속으로 2~3회 기침을 하도록 한다.)
⑤ nebulizer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고 처방된 흡입약물을 투여하여 호흡기 치료를 실시하였다.(흡입약물로는 아 벤트로 흡입액2ml를1일 3회, 뮤코미스트액을 4ml를 1 일 3회, salbutamol sulfate를 1ml씩 하루3회 사용하였다.)
⑥ 수분을 자주 섭취하도록 권장하였다.
(수분을 많이 섭취하면 객담이 묽어져서 객담 배출 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2L정도 마셔주는 것이 좋다.)
⑦ 호흡하기 편한 자세를 교육하였다.
(호흡을 용이하게 하는 자세로는 머리를 약간 숙이고 어깨는 편안하게 이완하며 무릎을 굽힌 상태의 좌위를 알려주었다. )
간호평가
객관적:
- 대상자의 호흡음 청진 시 천명음이 들리지 않는다.
- V/S측정시 1분에 26회->18회로 빈호흡 양상이
사라 졌다.(11/3)
- 대상자가 호흡 시 불편감이 사라졌다고 말함.
주관적:
“ 이제는 가래가 거의 없어서 목에 갑갑한것이 사라지고 호흡하기도 한결 편해졌어요.”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저녁엔 기침이 더 심해져서 숨쉬기도 힘들고 잠을 자기가 힘 들고 잠이 들어도 자주 깨요.”
“아침에 일어나면 몸이 너무 피곤하고 목이 아파요.”
“요근래 낮과 밤이 바뀐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1. 밤에 잠이 드는데 1시간 이상 소요됨.
2. 눈이 빨갛게 충혈되있고 무기력 함.
3. 낮에 잠을 3시간 이상 잠.
간호진단
과도한 기침으로 인한 호흡곤란과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계획
목표
단기:
- 대상자는 3일이내 수면결핍의 신체적증상이 나타나지않는다.
- 대상자는 3일이내 대상자는 잘 잤다는 느낌을 표현한다.
장기: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정상적인 수면을 유지한다.
기대되는 결과
- 대상자는 밤 동안 7시간 이상 수면을 취한다.
- 대상자는 낮과 밤에 맞는 생활패턴으로 회복한다.
- 무력감이나 안구 충혈 등의 증상이 없어진다.
간호중재 설정
1. 매일 수면 양상에 대하여 사정한다.
2. 수면방해 요인을 경감 시킨다.
3. 기관지를 자극하는 요인이 없도록 한다.
4. 과도한 낮잠은 피하도록 설명한다.
5.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교육시킨다.
간호중재 수행
① 매일 전날 밤의 수면의 질에 대해 질문을 하였다.
(“박oo님 오늘은 좀 어떠신가요? 밤에는 잘 주무셨나요?”)
②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 약물을 투여 하였다.
(기관지 확장제로는
③ 객담 배출을 위해 nebulizer로 호흡기 치료를 하였다.
④ 하루에 2L정도의 수분섭취를 권장하였다.
(객담을 배출시킴으로써 기도의 자극을 줄여 기침을 줄여줌)
⑤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수면 2시간 전부터는 환자가 격렬한 움직임이나 스트레스 받는 일은 되도록 없도록 교육하고 방안은 따뜻하고 적당한 습도를 유지시켰다.
⑥ 낮에 주무시지 않도록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하였다.
⑦ 수면 전 침상을 45도 정도 올려주면 수면 시 원활한 호흡을 할 수 있다고 설명 하였다.
(앙와위에서 45도 정도 올려주면 반좌위형태가 되어 원활한 호흡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간호평가
객관적:
- 수면 양상 질문시 대상자가 잘 잤다는 느낌을 표현하였다.
- 대상자는 밤동안 7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였다.
- 수면 결핍의 신체적 증상이 사라졌다.
주관적:
“요세는 잠잘때 기침을 많이하지 않아서 잠을 잘 자고 있어요.”
#2. 과도한 기침으로 인한 호흡곤란과 관련된 수면장애
#3. 과도한 기침과 관련된 질식감으로 인한 불안.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심한 기침을 계속하면서 숨이 쉬어지지 않을 땐 정말 죽을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어요.”
“아직도 좀 무서워요.”
객관적 자료
- 기침 후 얼굴이 빨갛고 과 호흡 양상을 보임.
간호진단
과도한 기침과 관련된 질식감으로 인한 불안
간호계획
목표
- 대상자는 이완법을 적용 할 수 있다.
- 대상자는 불안이 감소되었다는 표현을 한다.
기대되는 결과
- 심한 기침을 하지 않고 호흡곤란 증세를 보이지 않는다.
- 불안유발시 스스로 심호흡이나 좌위나 반좌위를 취한다.
간호중재 설정
1.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2. 불안의 원인을 경감 시킨다.
3.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4. 조용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5. 호흡이 편해지도록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간호중재 수행
① duty시 대상자에게 불안 정도에 대해 질문하였다.
② 처방된 기관지 확장 약물을 투여해 주고 수분섭취를 권장 하였다.(투여된 약물과 꾸준한 수분 섭취로 기침을 감소 시키고 호흡곤란을 완화시켜 질식감에 대한 대상자의 불안감을 감소 시켜준다.)
③ 도움이 필요 시 콜벨을 누르도록 교육하였다.
④ 대상자와 대화 시 대상자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고 대 상자가 불안에 대해 표현하도록 격려하였다.
⑤대상자에게 호흡에 용이한 이완요법과 체위를 교육하였다.
(이완 요법으로는 심호흡과 복식호흡을 알려주었고 체위로는 좌위와 반좌위를 알려주었다.)
간호평가
주관적:
“기침이 심할 때 심호흡을 하니까 좀 나아요.”
“이제는 기침도 전처럼 심하지도 않고 호흡하는 것도 좋아져서 별로 불안하지 않아요.”
추천자료
만성폐쇄성페질환환자간호
아토피피부염(태열)
소아천식 케이스 스터디
호흡기 알레르기 환자관리와 예방법jo
호흡기환자 간호
응급실케이스 (천식)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흡연][금연][담배][임산부흡연][니코틴][천식][폐암]흡연의 동향, 흡연으로 인한 사망자, 흡...
기관지염 천식 간호진단중재 case study( Asthmatic bronchiolitis )
기관지 천식 (Asthmatic bronchiolitis) 간호중재
기관지 천식 (Bronchial athma) 진단중재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종류 비교
[아동간호학] 폐렴(broncho pneumonia), 천식(Asthma) cas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