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1. 유병율
2. 발병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과 징후
5. 치료 및 간호
1) 약물
① 기관지 확장제
2) 물리치료&호흡운동
3) 산소요법
4) 수분과 전해질 교정
6. 질환
(가)폐기종(Emphysema)
(나)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다)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라)기관지 천식(bronchial asthma)
<간호력>
1.일반적 정보
2.투약 및 처치
3. 간호진단
1. 유병율
2. 발병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과 징후
5. 치료 및 간호
1) 약물
① 기관지 확장제
2) 물리치료&호흡운동
3) 산소요법
4) 수분과 전해질 교정
6. 질환
(가)폐기종(Emphysema)
(나)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다)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라)기관지 천식(bronchial asthma)
<간호력>
1.일반적 정보
2.투약 및 처치
3. 간호진단
본문내용
안은 환자께서 호흡곤란에 대한 호소가 없으며 분당 22회로 규칙적으로 호흡을 하였다. 입을 오므린 호흡도 교육한 대로 잘 수행하였다.(시범을 보여 달라고 하였을 때 교육한 대로 정확히 수행하였다.)
#2.산소 요구와 관련된 활동내구성 장애
자료수집
주 : “움직이면 피곤하고 숨차서 움직이기 귀찮어”
객: 대소변보고 난 후 많이 힘들어 하시는 모습을 보이심.
호흡시 헥헥거리는 모습을 보이심.
주로 침대에 계심.
호흡수 증가(분당 30~40회)
빈맥(분당100회 이상)
간호목적
단기목적: 점진적으로 활동수준을 증가시킬 필요성을 이해한다.
장기목적: 최적의 안녕을 증진시키는 활동에 참여한다.
간호계획
1.환자의 활동양상을 사정한다.
2.병실내에서 할 수 있는 간호(운동)를 실시한다.
간호수행
1-①환자의 과거와 현재의 운동능력, 자가간호, 여가활동 등의 활동양상을 사정해 보았다.
2-①환자가 앉아있을 때는 팔운동을 하도록 하며 팔을 아래위로 돌리고 주먹을 쥐었다 폈다 반복하도록 하는 운동을 권장하였다.
2-②활동수준의 증가로 인한 생리적인 반응을 관찰하였다.
-심박동수, 심장리듬, 혈압 등
2-③활동과 휴식을 교대로 할 것을 권유해 드렸다.
2-④환자가 좋아하는 운동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같이 이야기 해 보고 그 중에서 폐의 기능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알아보았다.
-보행, 헬스에 있는 자전거 타기, 수영
합리적 근거
1-①환자에게 필수적으로 간주되는 활동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 위함이다.
2-①피로를 느끼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당한 운동을 권장한다.
2-②과도한 활동은 피로감, 빈호흡, 혈압상승등을 유발시킨다.
2-③최적의 활동단계를 사정하여 환자가 견딜 수 있는 범위내에서 활동량을 증가시켜 나가기 위함이다.
2-④환자의 기호를 중심으로 운동양상을 조사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낼 수 있다.
간호평가
1-①예전에는 가끔 헬스나 수영을 했었고 등산도 간간히 다녔다고 하셨다.
2-①계속적으로 침대에만 있으면 몸이 불고 활동장애를 초래한다고 이야기 해드리고 앉아 계실 때 팔운동이라도 하시라고 이야기 해드리자 자주 시행하셨다.
2-②팔 운동 후 혈압은 약간 상승하였으나 약간 숨이 찰 뿐 호흡곤란증세는 나타나지 않았다.
2-③자주 팔 운동을 하겠다고 하셨다.
2-④환자분께서 예전에 하셨던 여가활동들이 폐의 기능에 도움이 되는 운동이라고 말씀드리고 퇴원 후에도 꾸준히 하시도록 하라고 말씀드렸다.
#2.산소 요구와 관련된 활동내구성 장애
자료수집
주 : “움직이면 피곤하고 숨차서 움직이기 귀찮어”
객: 대소변보고 난 후 많이 힘들어 하시는 모습을 보이심.
호흡시 헥헥거리는 모습을 보이심.
주로 침대에 계심.
호흡수 증가(분당 30~40회)
빈맥(분당100회 이상)
간호목적
단기목적: 점진적으로 활동수준을 증가시킬 필요성을 이해한다.
장기목적: 최적의 안녕을 증진시키는 활동에 참여한다.
간호계획
1.환자의 활동양상을 사정한다.
2.병실내에서 할 수 있는 간호(운동)를 실시한다.
간호수행
1-①환자의 과거와 현재의 운동능력, 자가간호, 여가활동 등의 활동양상을 사정해 보았다.
2-①환자가 앉아있을 때는 팔운동을 하도록 하며 팔을 아래위로 돌리고 주먹을 쥐었다 폈다 반복하도록 하는 운동을 권장하였다.
2-②활동수준의 증가로 인한 생리적인 반응을 관찰하였다.
-심박동수, 심장리듬, 혈압 등
2-③활동과 휴식을 교대로 할 것을 권유해 드렸다.
2-④환자가 좋아하는 운동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같이 이야기 해 보고 그 중에서 폐의 기능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알아보았다.
-보행, 헬스에 있는 자전거 타기, 수영
합리적 근거
1-①환자에게 필수적으로 간주되는 활동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 위함이다.
2-①피로를 느끼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당한 운동을 권장한다.
2-②과도한 활동은 피로감, 빈호흡, 혈압상승등을 유발시킨다.
2-③최적의 활동단계를 사정하여 환자가 견딜 수 있는 범위내에서 활동량을 증가시켜 나가기 위함이다.
2-④환자의 기호를 중심으로 운동양상을 조사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낼 수 있다.
간호평가
1-①예전에는 가끔 헬스나 수영을 했었고 등산도 간간히 다녔다고 하셨다.
2-①계속적으로 침대에만 있으면 몸이 불고 활동장애를 초래한다고 이야기 해드리고 앉아 계실 때 팔운동이라도 하시라고 이야기 해드리자 자주 시행하셨다.
2-②팔 운동 후 혈압은 약간 상승하였으나 약간 숨이 찰 뿐 호흡곤란증세는 나타나지 않았다.
2-③자주 팔 운동을 하겠다고 하셨다.
2-④환자분께서 예전에 하셨던 여가활동들이 폐의 기능에 도움이 되는 운동이라고 말씀드리고 퇴원 후에도 꾸준히 하시도록 하라고 말씀드렸다.
추천자료
만성질환자의 성생활에 대한 연구
간질성 폐질환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 DILD
직업성 폐질환 Occupational Lung Diseases
흉막질환 pleural disease
천식,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만성폐쇄성폐질환)과 파킨슨병
판막질환
무기폐, 흉곽천자, 폐기능검사, 폐섬유증, 진폐증
DISEASE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ESRD(end stage renal disease) case study
성인간호학[심장의 주요 질환과 간호]
[질환][질병]질환(질병)과 만성폐쇄성폐질환, 질환(질병)과 감염성질환, 질환(질병)과 호흡기...
[질환][성인성질환]질환(질병)과 심장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 질환(질병)과 수인성식품매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