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copd환자
1.COPD란?
2.발병인자
3.병리생태
4.특징
5.진단
6.약물치료
7.재활치료
2.파킨슨병
1.파킨슨병이란?
2.원인
3.증상
4.파킨슨병과 감별해야할 질환
5.약물치료
6.수술적치료
7.재활치료
8.교육자료
1.COPD란?
2.발병인자
3.병리생태
4.특징
5.진단
6.약물치료
7.재활치료
2.파킨슨병
1.파킨슨병이란?
2.원인
3.증상
4.파킨슨병과 감별해야할 질환
5.약물치료
6.수술적치료
7.재활치료
8.교육자료
본문내용
더욱 쉽습니다.
지팡이나 보행기가 항상 도움이 되지는 않으며 어떤 환자에게는 지팡이의 사용이 더욱 불편할 수 있고 보행기는 꾸부정한 자세를 더욱 조장할 수도 있습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마치 군인들이 행진하듯이 의식적으로 팔을 흔들고 무릎을 높이 올리면서 큰 보폭으로 걸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마음속으로 하나 둘 하나 둘 구령을 외우면서 걸으면 도움이 됩니다.
5. 방향 바꾸기
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 한 발을 축으로 다리를 꼬아서 도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항상 반원을 그리며 넓게 회전하면서 천천히 방향을 바꾸도록 하십시오
6. 보행 동결
걷다가 갑자기 발이 바닥에서 떨어지지 못하고 꼼짝 못하는 현상으로 특히 좁은 길로 진입하려고 할 때 잘 생깁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환자들은 대개 꾸부정하게 무릎을 약간 굽히고 땅에서 뒤꿈치를 약간 들고 있는 자세를 취하는데 움직이려고 할수록 균형을 잃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대처하십시오.
· 계속 걸으려고 애쓰지 마십시오.
· 발 뒤꿈치를 바닥에 대십시오.
· 무릎과 엉덩이, 몸을 펴되 뒤쪽으로 기대지 마십시오.
· 천천히 좌우로 몸을 흔들어 보십시오.
· 제자리에서 몇 번 발을 떼어 보십시오.
· 한발 앞으로 내밀면서 뒤꿈치가 바닥에 닿도록 하십시오
· 발 사이의 간격이 30센티미터 정도 유지되도록 하고 자세를 바르게 하십시오.
7. 앉았다가 일어나기
의자에 앉았다가 일어날 때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에는 일단 의자 앞 모서리에 걸터앉아 다리를 약 20센티미터 정도로 벌리고 약간 앞뒤로 교차하게 하십시오. 몸통을 앞뒤로 세번 움직인 후 세번째에 어깨를 무릎보다 앞으로 내밀고 팔로 의자를 밀면서 일어나도록 하십시오
▶파킨슨 병의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질환
파킨슨병 환자 중 다른 질환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간혹 이러한 질환이나 이를 위한 약물이 파킨슨병의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 녹내장
녹내장은 안압이 높아지는 병으로서 항콜린성 약물에 의하여 악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킨슨병과 녹내장을 동시에 앓고 있는 환자는 이러한 약물의 사용에 주의를 요하며, 정기적인 안과의사의 검진이 필요합니다.
2. 심장질환
최근에 심장 발작이 있거나 부정맥이 있을 때 파킨슨병 치료 약물에 민감한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치료 약물의 투여 여부는 이러한 점에서 득실을 잘 따져 결정하여야 합니다.
3. 고혈압
드물게 고혈압 치료 약제 중 일부가 파킨슨병의 증상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카타프레스라는 혈압강하제가 이에 속하며, 알도메트는 역시 혈압강하제인데 씨네메트와 상호작용을 일으켜 씨네메트의 약효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뇨제는 고혈압이나 심장병 환자에게 흔히 사용되는 약제인데 체액을 감소시킴으로써 어지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씨네메트나 도파민 효능제를 복용하는 환자에게 잘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위장관 질환
씨네메트나 도파민 효능제의 복용 시 간혹 위액이 식도로 역류되어 식도염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식후에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좋으며 제산제 등을 투여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습니다.
황달, 간염 등 기타 간 질환의 병력이 있는 환자는 치료 약물을 복용하면서 정기적으로 간 기능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소변장애
항콜린성 약물, 씨네메트, 항우울제 등은 소변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특히 전립선 비대증이 있는 환자에게 현저하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6. 정형외과적 문제
균형 유지에 장애가 있는 파킨슨병 환자는 잘 넘어지고 이로 인하여 골절상을 입는 경우가 있습니다. 떨림이나 불수의 운동이 심한 환자는 고정에 어려움이 있어 골절의 치유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7. 암
일반적으로 악성종양과 파킨슨병 혹은 치료 약제와의 상호관계는 뚜렷하게 알려진 바는 없습니다. 그러나 엘-도파제가 흑색종(피부 종양의 일종)의 증식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어 흑색종이 동반된 환자에 있어서 엘-도파제의 투여는 주의를 요합니다.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
▶몸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고 호흡을 깊게 해 주는 운동
준비 자세
매트 위에 등을 대고 똑바로 누우십시오.
먼저 한 쪽 무릎을 올려 세우고 나머지 무릎도 올려 세워 양 발 바닥이 매트에 닿도록 하십시오.
양쪽 팔을 가능한 한 옆으로 벌려 뻗으십시오.
운동 방법
운동1
발바닥으로 매트를 누르면서 엉덩이를 들어 올리십시오.
준비자세로 서서히 돌아오십시오.
운동2
양쪽 무릎을 붙인 채 한쪽으로 돌려서 가능한 무릎이
매트에 닿도록 해 보십시오.
무릎을 다시 가운데로 세운 뒤 반대 쪽으로 실행하고,
무릎을 다시 서서히 가운데로 세웁니다.
운동3
오른쪽 팔을 왼쪽으로 크게 돌려서 오른쪽 손이 왼쪽 손에
닿도록 하십시오.
준비 자세로 돌아온 후 이번에는 왼쪽 팔을 오른쪽으로
돌려 같은 운동을 반복하십시오.
운동 2 & 3을 시행하는 동안, 뻗은 자세를 잠시 유지하므로써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도 있습니다.
운동4
침대에서 일어나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양 무릎과 팔을 한 쪽으로 모아서 팔과 손을 이용하여 몸무게를 지탱 하면서 일어납니다.
▶일반적인 동작을 개선하기 위한 운동
준비 자세
등받이와 팔걸이가 없는 걸상에 허리를 똑바로 펴서 앉고 어깨에 힘을 뺀 상태에서 양 팔을 몸 옆으로 늘어뜨리십시오.
운동 방법
한쪽 팔과 반대쪽 다리를 동시에 들었다가 다시 내려 놓으십시오.
반대쪽 팔과 다리로 같은 동작을 반복합니다.
이 운동을 하는 동안 가능한 발가락에 힘을 강하게 주면서 움직이고 팔은 앞, 뒤로 흔들어 주십시오.
▶일어서기를 도와주는 운동
준비 자세
등받이와 팔걸이가 없는 걸상에 앉아 양 발을 약간 벌리고 한쪽 발이 다른 쪽 발보다 약간 앞으로 나오게 합니다.
손은 깍지를 낍니다.
운동 방법
손은 깍지를 낀 상태로 양 팔을 앞으로 쭉 뻗으십시오.
걸상에서 일어나 똑바로 서십시오.
발에 체중을 실은 상태에서 몸을 앞으로 많이 뻗을
수록 보다 쉽게 일어설 수가 있습니다.
http://neurogate.pe.kr/ds-frame.htm
지팡이나 보행기가 항상 도움이 되지는 않으며 어떤 환자에게는 지팡이의 사용이 더욱 불편할 수 있고 보행기는 꾸부정한 자세를 더욱 조장할 수도 있습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마치 군인들이 행진하듯이 의식적으로 팔을 흔들고 무릎을 높이 올리면서 큰 보폭으로 걸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마음속으로 하나 둘 하나 둘 구령을 외우면서 걸으면 도움이 됩니다.
5. 방향 바꾸기
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 한 발을 축으로 다리를 꼬아서 도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항상 반원을 그리며 넓게 회전하면서 천천히 방향을 바꾸도록 하십시오
6. 보행 동결
걷다가 갑자기 발이 바닥에서 떨어지지 못하고 꼼짝 못하는 현상으로 특히 좁은 길로 진입하려고 할 때 잘 생깁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환자들은 대개 꾸부정하게 무릎을 약간 굽히고 땅에서 뒤꿈치를 약간 들고 있는 자세를 취하는데 움직이려고 할수록 균형을 잃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대처하십시오.
· 계속 걸으려고 애쓰지 마십시오.
· 발 뒤꿈치를 바닥에 대십시오.
· 무릎과 엉덩이, 몸을 펴되 뒤쪽으로 기대지 마십시오.
· 천천히 좌우로 몸을 흔들어 보십시오.
· 제자리에서 몇 번 발을 떼어 보십시오.
· 한발 앞으로 내밀면서 뒤꿈치가 바닥에 닿도록 하십시오
· 발 사이의 간격이 30센티미터 정도 유지되도록 하고 자세를 바르게 하십시오.
7. 앉았다가 일어나기
의자에 앉았다가 일어날 때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에는 일단 의자 앞 모서리에 걸터앉아 다리를 약 20센티미터 정도로 벌리고 약간 앞뒤로 교차하게 하십시오. 몸통을 앞뒤로 세번 움직인 후 세번째에 어깨를 무릎보다 앞으로 내밀고 팔로 의자를 밀면서 일어나도록 하십시오
▶파킨슨 병의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질환
파킨슨병 환자 중 다른 질환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간혹 이러한 질환이나 이를 위한 약물이 파킨슨병의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 녹내장
녹내장은 안압이 높아지는 병으로서 항콜린성 약물에 의하여 악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킨슨병과 녹내장을 동시에 앓고 있는 환자는 이러한 약물의 사용에 주의를 요하며, 정기적인 안과의사의 검진이 필요합니다.
2. 심장질환
최근에 심장 발작이 있거나 부정맥이 있을 때 파킨슨병 치료 약물에 민감한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치료 약물의 투여 여부는 이러한 점에서 득실을 잘 따져 결정하여야 합니다.
3. 고혈압
드물게 고혈압 치료 약제 중 일부가 파킨슨병의 증상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카타프레스라는 혈압강하제가 이에 속하며, 알도메트는 역시 혈압강하제인데 씨네메트와 상호작용을 일으켜 씨네메트의 약효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뇨제는 고혈압이나 심장병 환자에게 흔히 사용되는 약제인데 체액을 감소시킴으로써 어지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씨네메트나 도파민 효능제를 복용하는 환자에게 잘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위장관 질환
씨네메트나 도파민 효능제의 복용 시 간혹 위액이 식도로 역류되어 식도염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식후에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좋으며 제산제 등을 투여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습니다.
황달, 간염 등 기타 간 질환의 병력이 있는 환자는 치료 약물을 복용하면서 정기적으로 간 기능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소변장애
항콜린성 약물, 씨네메트, 항우울제 등은 소변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특히 전립선 비대증이 있는 환자에게 현저하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6. 정형외과적 문제
균형 유지에 장애가 있는 파킨슨병 환자는 잘 넘어지고 이로 인하여 골절상을 입는 경우가 있습니다. 떨림이나 불수의 운동이 심한 환자는 고정에 어려움이 있어 골절의 치유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7. 암
일반적으로 악성종양과 파킨슨병 혹은 치료 약제와의 상호관계는 뚜렷하게 알려진 바는 없습니다. 그러나 엘-도파제가 흑색종(피부 종양의 일종)의 증식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어 흑색종이 동반된 환자에 있어서 엘-도파제의 투여는 주의를 요합니다.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
▶몸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고 호흡을 깊게 해 주는 운동
준비 자세
매트 위에 등을 대고 똑바로 누우십시오.
먼저 한 쪽 무릎을 올려 세우고 나머지 무릎도 올려 세워 양 발 바닥이 매트에 닿도록 하십시오.
양쪽 팔을 가능한 한 옆으로 벌려 뻗으십시오.
운동 방법
운동1
발바닥으로 매트를 누르면서 엉덩이를 들어 올리십시오.
준비자세로 서서히 돌아오십시오.
운동2
양쪽 무릎을 붙인 채 한쪽으로 돌려서 가능한 무릎이
매트에 닿도록 해 보십시오.
무릎을 다시 가운데로 세운 뒤 반대 쪽으로 실행하고,
무릎을 다시 서서히 가운데로 세웁니다.
운동3
오른쪽 팔을 왼쪽으로 크게 돌려서 오른쪽 손이 왼쪽 손에
닿도록 하십시오.
준비 자세로 돌아온 후 이번에는 왼쪽 팔을 오른쪽으로
돌려 같은 운동을 반복하십시오.
운동 2 & 3을 시행하는 동안, 뻗은 자세를 잠시 유지하므로써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도 있습니다.
운동4
침대에서 일어나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양 무릎과 팔을 한 쪽으로 모아서 팔과 손을 이용하여 몸무게를 지탱 하면서 일어납니다.
▶일반적인 동작을 개선하기 위한 운동
준비 자세
등받이와 팔걸이가 없는 걸상에 허리를 똑바로 펴서 앉고 어깨에 힘을 뺀 상태에서 양 팔을 몸 옆으로 늘어뜨리십시오.
운동 방법
한쪽 팔과 반대쪽 다리를 동시에 들었다가 다시 내려 놓으십시오.
반대쪽 팔과 다리로 같은 동작을 반복합니다.
이 운동을 하는 동안 가능한 발가락에 힘을 강하게 주면서 움직이고 팔은 앞, 뒤로 흔들어 주십시오.
▶일어서기를 도와주는 운동
준비 자세
등받이와 팔걸이가 없는 걸상에 앉아 양 발을 약간 벌리고 한쪽 발이 다른 쪽 발보다 약간 앞으로 나오게 합니다.
손은 깍지를 낍니다.
운동 방법
손은 깍지를 낀 상태로 양 팔을 앞으로 쭉 뻗으십시오.
걸상에서 일어나 똑바로 서십시오.
발에 체중을 실은 상태에서 몸을 앞으로 많이 뻗을
수록 보다 쉽게 일어설 수가 있습니다.
http://neurogate.pe.kr/ds-frame.ht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