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산업혁명은 서양에서 발생했는가 -산업혁명의 네 가지 요인에 비추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왜 산업혁명은 서양에서 발생했는가 -산업혁명의 네 가지 요인에 비추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서양의 정의, 동양의 정의
(2) 산업혁명의 내용과 원인

2. 본론
(1) 농업변화
(2) 공업변화
(3) 상업변화
(4) 사회변화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청시대에는 소작농의 항조운동, 노동자의 직용의 변, 노비들의 노변 등 많은 항쟁운동들이 있었다. 일본에서는 막부와 장원영주의 지배에 반발하는 다수의 잇키(봉기)들이 발생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가가 현에서 발생한 잇코잇키이다. 또한 의식적 측면에서도 동양은 자본주의적 노동양식을 형성할 수 있었다. 유교의 절약과 절제, 의무, 책임 등의 덕목은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일면 통한다고 볼 수 있다. 유교윤리와 자본주의가 결합되어 눈부신 발전을 이룬 동아시아 국가를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아시아의 네 마리 용, 또는 아시아의 네 마리 호랑이는 아시아에서 일본에 이어 근대화에 성공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가 급속도로 성장한 동아시아의 네 국가(홍콩은 지역), 대한민국, 싱가포르, 중화민국(대만), 홍콩을 일컫는 말이다. 이 나라들은 신흥공업국, 즉 준선진국 수준이었으나 빠른 경제성장으로 현재는 모두 선진국이 된 상태이다.
이라고 한다. 이에서 볼 수 있듯이 동양 내부에서도 자본주의와 결합되어 산업혁명을 이끌 수 있는 의식구조가 형성되어 있었다.
3. 결론
위의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사실상 산업혁명의 요인은 동서양 양자에게 존재했다. 그렇다면 그 결과를 판이하게 만들어 마치 산업혁명이 서양만의 문화적 특권인양 행세하게 된 원인은 어디에 있었을까? 이에 대해 철학점 관점과 역사점 관점에서 재조명해 볼 수 있다. 먼저 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서양의 합리주의가 산업혁명을 발생시켰다고 말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문화적인 토양이 물질기반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전제를 요한다. 이에 반해 상대적으로 합리주의적 전통이 미약했던 동양은 이에 따른 물질기반을 변화시키지 못한 것이다.
다음으로 역사적 관점에서 보자면, 서양은 로마제국 이래로 나라와 나라사이에 균열과 통합이 잦았다. 예컨대 오스트리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이었다가 독립했고,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도 원래는 프랑크제국이라는 하나의 국가였다. 이러한 이유로 서양 국가들은 복잡한 국가 간의 관계 속에서 전쟁, 무역 등의 이유로 물품을 교역하고 물품을 대량생산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반해 동양은 대체로 일국을 중심으로 정권교체가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역사를 진행시켜왔다. 때문에 소비, 생산, 교역의 틀이 크게 변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동양의 산업 혁명적 요인들은 묵살되어왔다. 역사에 만약은 있을 수 없지만, 그래도 만약 서양이 합리주의를 발달시키지 않았다면, 서양이 먼저 동양을 발견하지 않았다면, 서양이 유럽중심주의적 시각을 내세우지 않았다면 산업혁명은 동양에서 먼저 일어날 수도 있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영국 산업혁명의 재조명』 김종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유럽의 재발견』 Wolfgang Schmale, 을유문화사, 2008
-『일본역사』 연민수, 보고사, 2009
-『고등학교 세계사』 오윤성 외 4인, 금성출판사, 2008
-이미지 출처 ; http://blog.naver.com/992kne04?Redirect=Log&logNo=90050662681

키워드

산업혁명,   서양,   발생,   혁명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1.22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6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