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대장암(Colon CA)
1.대장
2.대장암의 발생 원인
3.증 상
4.치 료
5. 치료 성적과 예후
6. 대장암의 예방
Ⅱ 대장암 증상에 따른 간호
1. 식욕부진
2. 구강간호
3. 구토
4. 변비
5. 설사
1.대장
2.대장암의 발생 원인
3.증 상
4.치 료
5. 치료 성적과 예후
6. 대장암의 예방
Ⅱ 대장암 증상에 따른 간호
1. 식욕부진
2. 구강간호
3. 구토
4. 변비
5. 설사
본문내용
좋음
(3) 고섬유식 (High Fiber Diet)
영양적으로 적합하면서 장기능을 정상화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식이 섬유소를 30-40g/일 정도 함유하도록 구성한다.
(4) 충분한 수분 섭취
˚ 수용성 섬유소의 효과적 이용을 위해 수분 섭취량의 증가가 권장됨 (2000-3000cc/일)
˚ 음료수 섭취가 모두 물일 필요는 없음
˚ 국, 주스, 물, 커피, 차, 음료, 맥주 등, 특히 사과 주스, 과일 주스 등이 효과적
3) 약물요법 - 완하제(Laxatives)
완하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자극성, 식염수성, 부피 형성 및 윤활유성 제제로 나뉜다. 자극성 완하제와 식염수성 완하제는 일반적으로 복통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액체성 배변을 유발한다.
(1) 부피 형성 완하제(Bulk-forming laxatives)
대장내에서 수분 및 이온과 결합하여 대변의 부피를 크게 하고 부드럽게 하는 물질로 부작용이 거의 없어 가장 효과적인 변비 치료제
부피 형성 완하제는 장폐쇄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충분한 양의 물(200cc 정도)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음
* 종류 : 식이성 섬유소 또는 반합성 다당류로서 현미, 씨앗 껍질, 해초, 밀기울(bran), 차전자 씨(psyllium), methylcellulose, carboxymethylcellulose 및 합성 polycarbophil 등
(2) 식염수성 완하제(saline laxatives)
대장 내에서 흡수가 잘 되지 않고 오히려 삼투성 활성 물질로 작용하여 대장내 수분 함량을 증기시키는 물질로서 삼투성
완하제 (osmotic laxatives)라고도 함. 삼투성 완하제는 수분 배설을 증가시키므로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충분한 양의 수분 섭취가 필요
* 종류 : 각종 magnesium 염(sulfate, hydroxide, citrate 등), 나트륨 또는 칼륨염, disaccharide lactulose, glycerin, sorbitol 등
(3) 자극성 완하제 (Irritant laxatives, stimulant laxatives)
대장 내에서 수분 및 전해질의 흡수를 억제하고 장 운동을 촉진하여 설사 작용을 나타냄
* 종류 : diphenylmethane 유도체(phenophtalein, bisacodyl), anthraquinones (danthrone 유도체로서 senna, cascara, aloe 등에 함유되어 있음), 피마자 기름, 담즙산 등
(4) 윤활성 완하제 (Lubricant laxatives)
위장관에서 잘 흡수되지 않고 대장 내용물에 윤활유와 같이 작용하여 대변을 부드럽게 하고 쉽게 배설하도록 함
* 종류 : 광유(mineral oil), docusate(dioctyl sodium sulfosuccinate)
* 관장에 사용되는 약
- 물, Glycerine, Phosphate, 비눗물, 등장액(saline solution)
- 비눗물 관장은 장 내 전해질 균형 방해의 위험이 있어 권장되지 않음
Oil retention enema는 단단한 변의 매복이 있을 때 유효
* 좌약으로 이용되는 약 - Bisacodyl suppository
4. 설사
예방과 치료를 위한 간호중재
대다수의 증상이 가볍고 기간이 짧은 설사의 경우 특별한 중재가 필요없다. 설사 증상을 관리하기 위한 중재가 필요할 때 간호사는 다양한 기술들을 갖고 대상자를 도울 수 있는데, 중재에 대한 결정은 대상자의 체중, 피부 상태, 수분/전해질 등 영양 상태에 관한 검사 결과를 기초로 한다.
1. 수액 보충 (fluid replacement)
(1) IV therapy
지속되는 구토 증상이 있거나 무의식인 상태에서 수분과 전해질의 보충을 위해 필요한 방법
(2) Oral Rehydration Therapy
설사에 의한 수액과 전해질 부족 증상을 보충하기 위해 더욱 선호되는 방법
근거 - 당분(glucose)의 흡수는 위장관 염증 상태에서도 가능
당분의 흡수가 sodium, 수분을 다시 재흡수시키는 잇점을 가짐
* Oral rehydration therapy를 위한 WHO solution이나 기타 상품화된 이온 음료 등 이용 가능
- 최적의 비율로 당분, 전해질 함유되어 있어 탈수에서 회복시켜주고 설사를 멈춤
* 콜라 등의 탄산 음료는 rehydration therapy로 권장되어 왔으나, 전해질 함유는 적고 삼투성이 높아 실제로 설사를 악화시킴
2. 식이 요법
최근 설사 기간 동안 장의 휴식을 위한 음식 섭취의 제한은 불필요하다고 알려짐
(1) 치료식
˚ 소화 흡수가 좋은 것으로 소량씩 취하며 잘 씹어서 섭취하도록 함
˚ 연하게 조리하여 충분한 양의 당질식품과 양질의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을 취하며 지방은 흡수가 나쁘므로 피함
˚ 음주, 찬 음식 금지
3. 약물 요법 - 지사제 (Antidiarrheals)
설사는 장내 자극성 물질 및 독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소화관의 생리적 방어기전이므로 치료하지 않아도 대부분 12-72 시간 안에 끝난다. 그러나 오래 지속할 경우 설사의 원인을 규명하며, 탈수, 전해질 평형 장애를 교정해야함은 물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사제를 쓸 필요가 있다.
(1) 장운동 억제 약물
˚ Morphine을 비롯한 모든 아편 유사 약물
˚ 장 운동을 억제, 수분 흡수가 일어날 수 있는 시간을 길게 하며, 항문 괄약근 수축시킴
종류 : Loperamide, Diphenoxylate 등
- 항문 괄약근 수축, 연동 운동 억제, 수분 및 전해질의 분비 억제와 흡수 촉진 등을 나타냄
- 다량 사용시 변비, 중추 효과 등이 나타남
(2) 흡착제 (Absorbants)
지사 작용 외에 약물 또는 독성 물질을 헙착하므로 중독 치료에도 사용
* 종류 : kaolin, tannic acid, bismuth염, pectin 등
참고문헌
노유자, 김문실 공저(1986), 암환자, 수문사, p355-369
홍근표외 공저(1997), 암간호, 수문사, p119-131
www.cancerinfo.co.kr
www.ksh.co.kr
www.guidbook-coloncancer.com
www.nursecape.co.kr
(3) 고섬유식 (High Fiber Diet)
영양적으로 적합하면서 장기능을 정상화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식이 섬유소를 30-40g/일 정도 함유하도록 구성한다.
(4) 충분한 수분 섭취
˚ 수용성 섬유소의 효과적 이용을 위해 수분 섭취량의 증가가 권장됨 (2000-3000cc/일)
˚ 음료수 섭취가 모두 물일 필요는 없음
˚ 국, 주스, 물, 커피, 차, 음료, 맥주 등, 특히 사과 주스, 과일 주스 등이 효과적
3) 약물요법 - 완하제(Laxatives)
완하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자극성, 식염수성, 부피 형성 및 윤활유성 제제로 나뉜다. 자극성 완하제와 식염수성 완하제는 일반적으로 복통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액체성 배변을 유발한다.
(1) 부피 형성 완하제(Bulk-forming laxatives)
대장내에서 수분 및 이온과 결합하여 대변의 부피를 크게 하고 부드럽게 하는 물질로 부작용이 거의 없어 가장 효과적인 변비 치료제
부피 형성 완하제는 장폐쇄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충분한 양의 물(200cc 정도)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음
* 종류 : 식이성 섬유소 또는 반합성 다당류로서 현미, 씨앗 껍질, 해초, 밀기울(bran), 차전자 씨(psyllium), methylcellulose, carboxymethylcellulose 및 합성 polycarbophil 등
(2) 식염수성 완하제(saline laxatives)
대장 내에서 흡수가 잘 되지 않고 오히려 삼투성 활성 물질로 작용하여 대장내 수분 함량을 증기시키는 물질로서 삼투성
완하제 (osmotic laxatives)라고도 함. 삼투성 완하제는 수분 배설을 증가시키므로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충분한 양의 수분 섭취가 필요
* 종류 : 각종 magnesium 염(sulfate, hydroxide, citrate 등), 나트륨 또는 칼륨염, disaccharide lactulose, glycerin, sorbitol 등
(3) 자극성 완하제 (Irritant laxatives, stimulant laxatives)
대장 내에서 수분 및 전해질의 흡수를 억제하고 장 운동을 촉진하여 설사 작용을 나타냄
* 종류 : diphenylmethane 유도체(phenophtalein, bisacodyl), anthraquinones (danthrone 유도체로서 senna, cascara, aloe 등에 함유되어 있음), 피마자 기름, 담즙산 등
(4) 윤활성 완하제 (Lubricant laxatives)
위장관에서 잘 흡수되지 않고 대장 내용물에 윤활유와 같이 작용하여 대변을 부드럽게 하고 쉽게 배설하도록 함
* 종류 : 광유(mineral oil), docusate(dioctyl sodium sulfosuccinate)
* 관장에 사용되는 약
- 물, Glycerine, Phosphate, 비눗물, 등장액(saline solution)
- 비눗물 관장은 장 내 전해질 균형 방해의 위험이 있어 권장되지 않음
Oil retention enema는 단단한 변의 매복이 있을 때 유효
* 좌약으로 이용되는 약 - Bisacodyl suppository
4. 설사
예방과 치료를 위한 간호중재
대다수의 증상이 가볍고 기간이 짧은 설사의 경우 특별한 중재가 필요없다. 설사 증상을 관리하기 위한 중재가 필요할 때 간호사는 다양한 기술들을 갖고 대상자를 도울 수 있는데, 중재에 대한 결정은 대상자의 체중, 피부 상태, 수분/전해질 등 영양 상태에 관한 검사 결과를 기초로 한다.
1. 수액 보충 (fluid replacement)
(1) IV therapy
지속되는 구토 증상이 있거나 무의식인 상태에서 수분과 전해질의 보충을 위해 필요한 방법
(2) Oral Rehydration Therapy
설사에 의한 수액과 전해질 부족 증상을 보충하기 위해 더욱 선호되는 방법
근거 - 당분(glucose)의 흡수는 위장관 염증 상태에서도 가능
당분의 흡수가 sodium, 수분을 다시 재흡수시키는 잇점을 가짐
* Oral rehydration therapy를 위한 WHO solution이나 기타 상품화된 이온 음료 등 이용 가능
- 최적의 비율로 당분, 전해질 함유되어 있어 탈수에서 회복시켜주고 설사를 멈춤
* 콜라 등의 탄산 음료는 rehydration therapy로 권장되어 왔으나, 전해질 함유는 적고 삼투성이 높아 실제로 설사를 악화시킴
2. 식이 요법
최근 설사 기간 동안 장의 휴식을 위한 음식 섭취의 제한은 불필요하다고 알려짐
(1) 치료식
˚ 소화 흡수가 좋은 것으로 소량씩 취하며 잘 씹어서 섭취하도록 함
˚ 연하게 조리하여 충분한 양의 당질식품과 양질의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을 취하며 지방은 흡수가 나쁘므로 피함
˚ 음주, 찬 음식 금지
3. 약물 요법 - 지사제 (Antidiarrheals)
설사는 장내 자극성 물질 및 독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소화관의 생리적 방어기전이므로 치료하지 않아도 대부분 12-72 시간 안에 끝난다. 그러나 오래 지속할 경우 설사의 원인을 규명하며, 탈수, 전해질 평형 장애를 교정해야함은 물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사제를 쓸 필요가 있다.
(1) 장운동 억제 약물
˚ Morphine을 비롯한 모든 아편 유사 약물
˚ 장 운동을 억제, 수분 흡수가 일어날 수 있는 시간을 길게 하며, 항문 괄약근 수축시킴
종류 : Loperamide, Diphenoxylate 등
- 항문 괄약근 수축, 연동 운동 억제, 수분 및 전해질의 분비 억제와 흡수 촉진 등을 나타냄
- 다량 사용시 변비, 중추 효과 등이 나타남
(2) 흡착제 (Absorbants)
지사 작용 외에 약물 또는 독성 물질을 헙착하므로 중독 치료에도 사용
* 종류 : kaolin, tannic acid, bismuth염, pectin 등
참고문헌
노유자, 김문실 공저(1986), 암환자, 수문사, p355-369
홍근표외 공저(1997), 암간호, 수문사, p119-131
www.cancerinfo.co.kr
www.ksh.co.kr
www.guidbook-coloncancer.com
www.nursecape.co.kr
키워드
추천자료
채찍 효과(Bullwhip Effect)의 개념, 발생원인, 해결방안
[아내학대가족] 가정폭력의 정의와 실태, 아내학대의 발생원인과 문제점, 아내학대가족 서비...
이랜드 (e-land) 비정규직 사태 개요, 발생원인, 핵심쟁점, 타협결과, 시사점, 문제해결 사...
탄소발자국의 현재 국내 운용현황,탄소발자국의 정의 및 발생원인,탄소라벨링제도,탄소발자국...
장애인복지 - 개념, 장애유형, 현황, 발생원인, 장애인의 재활, 장애인복지정책, 접근권, 자...
가정폭력과 가족복지(가정폭력범위, 유형, 실태, 발생원인, 실체, 가족복지대책)
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소년소녀가장, 개념, 발생원인, 현황, 문제, 소년소녀가장복지대책)
가정폭력보고서(가정폭력개념, 가정폭력유형, 실태, 발생원인, 실체와허상, 폭력가족복지대책...
알콜중독가족(알콜중독정의,특징, 알콜중독가족정의, 발생원인, 문제점, 알콜중독가족복지대...
대한민국은 지금 ‘푸어 공화국’ - 푸어의 발생원인,하우스 푸어의 문제점,하우스 푸어의 문제점
가족문제 [정의, 종류, 해체, 발생원인, 이혼, 문제점, 해결방안, 가출, 아동학대]
최근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은둔형 외톨이, 일명 히키코모리의 발생원인과 해결방안은 무엇인...
최근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은둔형 외톨이 일명, 히키코모리의 발생원인과 해결방안은 무엇인...
아동학대 [분석 개념 정의 유형 특징 발생원인 아동적 요인 가정적 요인 사회적 요인 문제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