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유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의 및 개념
2. 아동유괴의 특성
①가해자 특성
②피해자 특성
3. 아동유괴의 실태 및 현황
4. 아동유괴 관련 기사 및 영화
①영화 그놈목소리(2006)
② 박나리 유괴 사건
5. 5. 아동유괴의 문제점-아동유괴의 사회적 인식 전환
6.아동유괴의 대책
Ⅲ. 결론
해결방안 및 소감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인위치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우자등은 긴급구조 외의 목적으로 긴급구조요청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개정 2006.9.27>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개인위치정보주체 또는 배우자등의 긴급구조요청은 공공질서의 유지와 공익증진을 위하여 부여된 대통령령이 정하는 특수번호 전화서비스를 통한 호출에 한한다.
③제1항의 요청을 받은 위치정보사업자는 그 개인위치정보주체의 동의없이 개인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개인위치정보주체의 동의가 없음을 이유로 긴급구조기관의 요청을 거부하여서는 아니된다.
④위치정보사업자는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개인위치정보를 긴급구조기관에게 제공하는 경우 개인위치정보의 제공사실을 당해 개인위치정보주체에게 즉시 통보하여야 한다.
⑤ 긴급구조기관은 태풍, 호우, 화재, 화생방사고 등 재난 또는 재해의 위험지역 안에 위치한 개인위치정보주체에게 생명 또는 신체의 위험을 경보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위치정보사업자에게 경보발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을 받은 위치정보사업자는 위험지역 안에 위치한 개인위치정보주체의 동의가 없음을 이유로 경보발송을 거부하여서 는 아니된다.
<개정 2008.2.29>
⑥긴급구조기관과 긴급구조업무에 종사하거나 종사하였던 자는 긴급구조 목적으로 제공받은 개인위치정보를 긴급구조 외의 목적에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제29조(특수번호 전화서비스) 법 제29조제2항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특수번호 전화서비스"란 「전기통신사업법」 제36조에 따른 전기통신번호 관리계획에 따라 부여하는 다음 각 호의 특수번호를 말한다.
1. 화재·구조·구급 등 긴급한 민원사항(제2호에 해당되는 사항은 제외한다) 신고용 특수번호: 119
2. 해양에서의 사고 등 긴급한 민원사항 신고용 특수번호: 122
Ⅲ. 결론
해결방안 및 소감
유괴를 당한 아동들이 빠른시일 내에 발견 될 수 있고, 찾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 CCTV를 많이 설치 해야 할 것이다. 아동뿐만 아니라 요즘 성인들도 밤에 혼자다니거나 골목에 아무도 없으면 위험하기 마련이다. 그렇기 때문에 빠른시일 내에 더 많은 피해아동이 생기기전에 지역사회에서는 CCTV를 많이 구축해야 할 것이다. 또한 아동유괴의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부모의 요구에 짜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아동의 하굣길이나 학교 , 유치원 근처에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교사들 뿐아니라 경비원들도 교육을 받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들이 일시적이 아닌 요구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레포트를 쓰면서 한번도 들어가보지 못한 경찰청 사이트에도 들어가보고 생각하였던 것보다 더 많은 유괴사건들이 있었고, 내 주위의 누구나가 범인이 될 수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렇게 때문에 방심을 하면 안 되고, 아이들에게도 많은 교육을 해야 할 것 같다. 또한 아동유괴에 대한 법률적 대처가 많이 필요 할 것 같다. 그리고 유괴의 형벌도 더욱 무거워야 할 것 같다.
참고자료
경찰청
그놈목소리 -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A%B7%B8%EB%86%88_%EB%AA%A9%EC%86%8C%EB%A6%AC
네이버지식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71486
아동 실종 및 유괴범죄의 실태와 대책(The Trends and Patterns of Child Missing and Abduction in Korea) -강은영·박지선
보건복지 가족부
보육시설 안전 매뉴얼 연구 -2008.11 중앙보육 정보 센터
최영신. 2007. “어린이유괴범죄의유형과 특징”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1.27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66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