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 달랐기 때문에, 흉년이 든 지방, 즉 곡가가 비싼 지방에서는 모곡을 시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작전하게 하고, 그 돈으로 곡가가 싼 지방에서 곡식을 사서 원곡과 수익을 증대시켰다. 그러나 이렇게 늑징(勒徵)되고 백징된 환곡과 모곡은 대부분 개인의 사복을 채우는 데로 흘러 거의 국가에 보탬이 되지 못하였다. 철종 13년의 실태를 보면, 허류(虛留)가 실류(實留)보다도 많은 실상이었다. 그리하여 환자의 취모 보용을 철폐한 삼정이정청(三政釐整廳)에서는 전국의 실류를 모두 돈으로 바꾸어 150만 섬의 항류곡(恒留穀)을 만들어 흉년에 대비하게 하되, 2년마다 개색하고 모곡의 부가도 없게 하였다. 그리고 1868년(고종 5)부터는 각 면별로 사창(社倉)을 설치하고 자치적으로 운영하게 해 환정의 폐해를 줄여나갔다.
추천자료
북한의 고전문학사 - 조선시대
조선백자의 시대적 배경과 종류 및 양식의 변천에 관한 고찰
[성리학][성리학 이념][고려말 성리학][조선시대 성리학][관학화][도학화]성리학의 기능, 성...
[역사] [근현대사]조선시대 서원의 성립과 교육적 기능
조선시대 어진에 대해
조선시대의 경찰제도
정부와 시민참여 - 영화 '이장과군수'와 비교한 조선시대 부패와 감찰제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
성리학과 조선의 공론정치 문화에 대한 소고
[토지세][조선시대토지세][한국토지세][미국 캘리포니아토지세][외국토지세][조선시대][한국]...
[불교조각, 불교공예, 불상, 고구려시대, 통일신라시대, 조선시대, 고구려, 통일신라, 조선]...
[사회복지개론] 우리나라 사회복지 발달 과정에 있어 조선시대 구제사업에 대해 서술하시오 :...
조선시대 이전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장애인을 위한 제도나 풍습을 하나씩 제시하고 토론.
[한국한문학의 이해 공통] 한국 한시의 발달과정을 시대별로 정리하여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