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성장보고서 3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대소변 못 가리는 우리아이, 혹시...
아이는 부모와 끊임없이 애정을 주고받으며 자연스럽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배운다. 특정 장소에 가서 용변을 보면 엄마가 좋아한다는 사실에 화장실을 이용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미묘한 감정이나 자극들에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부모의 반응을 통해 알게 되는 것이다. 전문용어로 '반응성 애착'이라고 한다. 그러나 맞벌이 부부가 늘면서 이런 반응을 제대로 익히지 못해 감정 표현이나 절제가 잘 되지 않는 아이들이 늘고 있다. 집 안에 감정을 공유할 대상이 오랫동안 없으면 아이는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그 방법을 익히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아이는 대소변을 잘 가리지 못하거나 사물 구별도 잘 하지 못해 발달장애 증상을 보인다. 또한 양육자와 헤어지면 극심한 강박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한덕현 중앙대 용산병원 정신과 교수는 “이런 증상을 보이면 ‘반응성 애착장애’를 의심해 봐야 한다”며 “요즘 들어 환자가 과거에 비해 급속도로 늘고 있다”고 말했다. 보통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자폐증을 의심한다. 그러나 자폐증은 치료를 하더라도 잘 개선되지 않지만 반응성 애착장애는 환경만 바꿔주더라도 금방 상태가 좋아진다. (네이버 자료 출처)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11.28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0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