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훑어보기
2. 작가 소개
3. ‘분노하라’ 주장하는 이유
4. 분노의 대상
5. 분노를 표현하는 방법-비폭력
6. 진단과 처방- 창조적 저항
7. 맺음말
2. 작가 소개
3. ‘분노하라’ 주장하는 이유
4. 분노의 대상
5. 분노를 표현하는 방법-비폭력
6. 진단과 처방- 창조적 저항
7. 맺음말
본문내용
그 방법은 ‘창조적 저항’이다. “창조, 그것은 저항이며, 저항, 그것은 창조다.” 분노하고 참여하고, 저항함으로써 새로운 것을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7. 맺음말
<어느 행복한 투사의 분노>라는 ‘옮긴이의 말’을 보면 프랑스 어 ‘Indignezvous’는 ‘분개하라’에 가까운 의미라고 했다. 이에 비해 ‘분노하라’는 ‘s'indigner’로 불의한 일에 비분강개하고 아닌 것을 아니라고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책에서 분노해야 하는 이유는 사회정의와 공공선의 실현되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 사회정의와 공공성은 프랑스의 혁명 이념인 자유, 평등, 박애와 같은 말이다. 인간의 권리와 자유가 일부에 의해 억압되고, 돈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분노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저자는 분노와 그 결과인 참여를 인간을 구성하는 한 요소로 본 것이다. 그리고 분노를 표현하는 방법은 비폭력이다. 저자는 현 상황을 인권의 존엄성이 훼손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리고 그 처방은 비폭력이라는 창조적 저항이다. 사르트르는 폭력을 멈추게 하는 유일한 수단 또한 폭력이라고 했지만 이 글의 저자는 비폭력이 폭력을 멈추게 하는 더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생각한다.
7. 맺음말
<어느 행복한 투사의 분노>라는 ‘옮긴이의 말’을 보면 프랑스 어 ‘Indignezvous’는 ‘분개하라’에 가까운 의미라고 했다. 이에 비해 ‘분노하라’는 ‘s'indigner’로 불의한 일에 비분강개하고 아닌 것을 아니라고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책에서 분노해야 하는 이유는 사회정의와 공공선의 실현되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 사회정의와 공공성은 프랑스의 혁명 이념인 자유, 평등, 박애와 같은 말이다. 인간의 권리와 자유가 일부에 의해 억압되고, 돈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분노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저자는 분노와 그 결과인 참여를 인간을 구성하는 한 요소로 본 것이다. 그리고 분노를 표현하는 방법은 비폭력이다. 저자는 현 상황을 인권의 존엄성이 훼손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리고 그 처방은 비폭력이라는 창조적 저항이다. 사르트르는 폭력을 멈추게 하는 유일한 수단 또한 폭력이라고 했지만 이 글의 저자는 비폭력이 폭력을 멈추게 하는 더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생각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현대소설에 나타난 교사와 학생상
90년대 한국사회의 시민운동
NGO의 WTO통상협상참가의 정당성
[국어교육]고등1 국어 모둠 시 수업 설계와 수업지도안
[교육개혁]교육혁신(교육개혁)과 학교교육, 교육혁신(교육개혁)과 유아교육, 교육혁신(교육개...
니체와베르그송생철학
형태치료(게슈탈트)
[Gestalt 치료] 게슈탈트치료의 주요개념, 기법, 과정, 다른이론과 비교, 요약 및 평가
문학 교재 구성을 위한 현대시 정전 연구
[서번트리더십 사례] 서번트리더십의 개요, 서번트 리더의 사례 분석 - 서번트 리더십 사례
[2016년 현대의서양문화A형] 권력과 진리의 문제에서 니체와 푸코의 유사점에 대해 서술, 권...
권력의 5가지 원천을 작성하고, 자신의 실제 사례를 각각 제시 : 권력원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