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편집의 방법
Ⅰ. 편집의 목적과 기능
1. 결합
2. 손질
3. 수정
4. 구성
Ⅱ. 편집의 종류
1. 온라인 편집과 오프라인 편집
2. 선형과 비선형 시스템
3. 어셈블 편집과 인서트 편집
Ⅲ. 비선형 편집 시스템
1. 장점
2. 단점
Ⅳ. 편집과정과 편집의 일반적 원칙
1. 편집과정
2. 편집의 일반적 원칙과 주의할 점
1) 편집의 일반적 원칙
가. 연속성
나. 복합성
다. 연관성
라. 윤리성
2) 편집작업에서의 주의할 점
Ⅰ. 편집의 목적과 기능
1. 결합
2. 손질
3. 수정
4. 구성
Ⅱ. 편집의 종류
1. 온라인 편집과 오프라인 편집
2. 선형과 비선형 시스템
3. 어셈블 편집과 인서트 편집
Ⅲ. 비선형 편집 시스템
1. 장점
2. 단점
Ⅳ. 편집과정과 편집의 일반적 원칙
1. 편집과정
2. 편집의 일반적 원칙과 주의할 점
1) 편집의 일반적 원칙
가. 연속성
나. 복합성
다. 연관성
라. 윤리성
2) 편집작업에서의 주의할 점
본문내용
는 작업이다.
일반적으로 프리뷰, 콘티작업, 편집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프리뷰(Preview)란 촬영한 비디오테이프를 검토하고 각 부분의 시간을 체크하고 기록하는 일이다. 프리뷰가 끝나면 그 다음으로 편집할 순서와 목록을 기록한 편집콘티를 작성한다. 편집콘티는 인서트 자료의 목록을 기록하고 삽입부분과 삭제부분을 검토한 후 재구성한다. 이때는 프로그램의 목표도 다시 생각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에 본격적인 편집 작업을 하게 되는데, 편집 시에는 재구성한 대로 영상을 연결하는 것이 효율적이 된다.
2) 편집의 일반적 원칙과 주의할 점
(1) 편집의 일반적 원칙
편집은 한마디로 드러나지 않는 기술이다. 잘 된 편집은 시청자들이 편집한 것을 느끼지 못한 채로 작품의 내용 속에 빠져들게 된다.
편집의 일반적인 관행은 수많은 시간동안 변하되고 개발되면서 후배들에게 전수되고 있다. 다음에서는 이러한 편집의 일반적 원처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가. 연속성
편집에서의 연속성이란 개념은 편집대상인 주체의 확인과 주체의 위치, 움직임, 색과 소리들이 일관성을 유지해야 함을 말한다.
나. 복합성
복합성은 뮤직비디오처럼 강렬한 인상과 감정적인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합적으로 샷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 연관성
연관성은 편집 시 각 장면이나 샷이 상황의 진실을 왜곡시키지 않도록 연관성 있게 화면과 음향을 연결시켜야 함을 말한다.
라. 윤리성
윤리성은 편집을 통해 사건의 진실이 가감되지 않도록 객관적이고 균형 있게 편집해야 함을 말한다.
(2) 편집 작업에서의 주의할 점
* 음향과 영상은 동반관계가 된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시작부분에서는 음향이 영상을 선도하도록 하고 프로그램의 말미에서는 음악도 마지막 부분을 사용해 편집하도록 한다.
* 새로운 샷의 연결에는 반드시 새로운 정보가 담겨져야 한다.
* 모든 편집에는 합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 피사체가 움직이는 방향에 대한 안내, 즉 '라인'을 점검한다.
* 적절한 화면전환이 되도록 편집을 한다.
* 헤드룸(Headroom)이 잘못된 샷을 제대로 된 샷에 커트 연결하지 않도록 한다.
* 어색한 물체가 피사체의 머리 부분에 너무 가깝게 찍힌 샷은 피한다.
* 화면 양편에서 사람들의 몸이 잘려나가는 샷은 피한다.
* 반응샷(Reaction Shot)은 대사 끝보다 중간에 넣어서 자연스럽게 편집한다.
* 적절한 커트 지점을 찾을 때 너무 지나치게 대사에 얽매이지 않도록 한다.
* 세 사람이 대화하는 경우 2인 샷에서 또 다른 2인 샷으로 커트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 단일 인물의 경우 독 같은 카메라 앵글의 샷에 커트 연결하는 것은 가능한 한 피한다. 또한 단일 인물의 롱 샷을 동일 인물의 클로즈업 샷으로 액션장면을 편집하지 않도록 한다.
* 일어서는 장면을 커트할 경우 가능한 한 피사체의 눈이 화면에 담기도록 한다.
* 펜이나 트랙에서 커트할 경우 팬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인물이나 물체가 담겨있는 샷을 이용한다.
* 일련의 클로즈 샷이 끝난 다음에는 가능한 한 빨리 롱 샷을 연결한다.
일반적으로 프리뷰, 콘티작업, 편집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프리뷰(Preview)란 촬영한 비디오테이프를 검토하고 각 부분의 시간을 체크하고 기록하는 일이다. 프리뷰가 끝나면 그 다음으로 편집할 순서와 목록을 기록한 편집콘티를 작성한다. 편집콘티는 인서트 자료의 목록을 기록하고 삽입부분과 삭제부분을 검토한 후 재구성한다. 이때는 프로그램의 목표도 다시 생각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에 본격적인 편집 작업을 하게 되는데, 편집 시에는 재구성한 대로 영상을 연결하는 것이 효율적이 된다.
2) 편집의 일반적 원칙과 주의할 점
(1) 편집의 일반적 원칙
편집은 한마디로 드러나지 않는 기술이다. 잘 된 편집은 시청자들이 편집한 것을 느끼지 못한 채로 작품의 내용 속에 빠져들게 된다.
편집의 일반적인 관행은 수많은 시간동안 변하되고 개발되면서 후배들에게 전수되고 있다. 다음에서는 이러한 편집의 일반적 원처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가. 연속성
편집에서의 연속성이란 개념은 편집대상인 주체의 확인과 주체의 위치, 움직임, 색과 소리들이 일관성을 유지해야 함을 말한다.
나. 복합성
복합성은 뮤직비디오처럼 강렬한 인상과 감정적인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합적으로 샷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 연관성
연관성은 편집 시 각 장면이나 샷이 상황의 진실을 왜곡시키지 않도록 연관성 있게 화면과 음향을 연결시켜야 함을 말한다.
라. 윤리성
윤리성은 편집을 통해 사건의 진실이 가감되지 않도록 객관적이고 균형 있게 편집해야 함을 말한다.
(2) 편집 작업에서의 주의할 점
* 음향과 영상은 동반관계가 된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시작부분에서는 음향이 영상을 선도하도록 하고 프로그램의 말미에서는 음악도 마지막 부분을 사용해 편집하도록 한다.
* 새로운 샷의 연결에는 반드시 새로운 정보가 담겨져야 한다.
* 모든 편집에는 합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 피사체가 움직이는 방향에 대한 안내, 즉 '라인'을 점검한다.
* 적절한 화면전환이 되도록 편집을 한다.
* 헤드룸(Headroom)이 잘못된 샷을 제대로 된 샷에 커트 연결하지 않도록 한다.
* 어색한 물체가 피사체의 머리 부분에 너무 가깝게 찍힌 샷은 피한다.
* 화면 양편에서 사람들의 몸이 잘려나가는 샷은 피한다.
* 반응샷(Reaction Shot)은 대사 끝보다 중간에 넣어서 자연스럽게 편집한다.
* 적절한 커트 지점을 찾을 때 너무 지나치게 대사에 얽매이지 않도록 한다.
* 세 사람이 대화하는 경우 2인 샷에서 또 다른 2인 샷으로 커트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 단일 인물의 경우 독 같은 카메라 앵글의 샷에 커트 연결하는 것은 가능한 한 피한다. 또한 단일 인물의 롱 샷을 동일 인물의 클로즈업 샷으로 액션장면을 편집하지 않도록 한다.
* 일어서는 장면을 커트할 경우 가능한 한 피사체의 눈이 화면에 담기도록 한다.
* 펜이나 트랙에서 커트할 경우 팬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인물이나 물체가 담겨있는 샷을 이용한다.
* 일련의 클로즈 샷이 끝난 다음에는 가능한 한 빨리 롱 샷을 연결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창업의 유형] 창업(사업)의 종류 -일반창업, 벤처창업, 소호창업
상권분석(입지선정) - 상권과 업종의 적합성, 수요잠재력 조사, 유형별 입지조건, 상권분석방...
[디자인권]산업재산권 - 디자인권(디자인제도)
[사업계획서작성]사업계획서(창업계획서)의 의의와 용도, 사업계획서 작성방법(요령), 사업타...
[입지선정_입지영향인자] 입지선정에 있어서 입지의 영향인자
[EU의 통화동맹과 유로화의 도입] 경제통화동맹(EMU), 유로화의 도입이유, 유로화 도입에 따...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해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함
자본주의와 시장에 관해 논하시오. - 생활속의경제-2A형
품질경영
[생물과학]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를 읽고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진...
[기업윤리감사] 윤리감사(ethical audit)의 목적과 내용 및 방법
[생활환경과 삶의 질(quality of life or living)] 국가적 문제로서의 환경오염, 환경오염에 ...
[기술투자자금의 조달] 기술투자자금조달 (기술투자의 포트폴리오, 기술 투자 자금조달, 금융...
[윤리경영시대] 국가기반시설로서의 기업윤리, 부패라운드(Corruption Round)의 전개와 대응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