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국제회의 관련시설의 운영 및 관리
Ⅰ. 회의장
Ⅱ. 숙박시설
Ⅲ. 기타(교통, 쇼핑센터 등)
Ⅰ. 회의장
Ⅱ. 숙박시설
Ⅲ. 기타(교통, 쇼핑센터 등)
본문내용
있는 관계로 참가자들에게 많은 볼거리를 제공해 준다.
두 번째 공항호텔은 회의참석 시 항공기의 사용이 과거보다 더욱 빈번해짐에 따라 공항과 인접한 호텔 내의 회의장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공항주변의 호텔 내의 회의장시설은 대부분 대규모 회의를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중 소규모의 회의를 위해 건립된 경우가 많다.
세 번째 리조트호텔은 회의참가 또는 비즈니스여행과 더불어 휴가여행을 즐기는 형태가 증가함에 따라 회의와 여가를 함께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이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마지막으로 교외호텔은 호텔 내에 머물면서 비즈니스를 함께 진행하고자 하는 회의 참가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서 회의기획자들에게 인기 있는 호텔형태에 해당된다.
따라서 호텔 내에 있는 회의시설을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회의참가자들의 성격과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절한 장소에 있는 호텔의 회의장을 수배하여야 할 것이다.
III. 기타(교통, 쇼핑센터 등)
교통은 항공이용과 도착 후 현지교통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항공이용은 해외 참가자의 주요 교통서비스 수단이므로 공식 항공사를 지정하는 것이 좋다. 항공사 지정은 항공사 측에 판매수익 증대와 화물수송권 획득, 그리고 홍보의 기회를 제공하여 주게 되므로 주최 측에서는 항공료나 화물수송료 등 가격할인과 개최지 홍보물 제공 등 여러 가지 회의관련 편의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착 후 현지교통을 위해 주최 측은 참가자에게 공항과 호텔 간의 교통편을 제공하거나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입출국시에는 행사요원을 공항에 배치하여 참가자를 안내토록 하고, 주요 행사장 간에 셔틀버스를 운행하는 등의 교통편의를 제공해야 한다.
국제회의 참가자의 수송은 회의 대표자들의 이동을 의미한다. 국제회의가 항공사의 주요 시장이 되고 있기 때문에 항공사로서도 국제회의 참가자들을 수송하기 위해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항공사가 회의기획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편익은 비용분석과 컴퓨터서비스, 촉진지원, 회의 전 후 관광, 공항 Hospitality Room, 예약확인 데스크, 특별수하물 취급, 수하물 검색대 설치, 개최지 현장답사 지원 등이다.
오늘날에는 해외의 국제회의 행사가 빈번하고 국내에서도 국제회의 시장규모도 커지고 있어 이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항공사간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회의시장을 겨냥하여 항공사별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상품을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회의기획자 등 회의참가자들의 교통을 담당하는 쪽에서는 이러한 항공사의 현실을 파악하여 적절한 가격과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국제회의 참가자들이 회의 이외의 시간을 잘 보낼 수 있도록 쇼핑센터와 골프장 등의 편의시설에 대한 자세한 안내와 예약을 병행하여주는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회의 참가자들은 회의만을 위해서 오는 것이 아니라 회의가 개최되는 지역에서 기념이 될 만한 물건을 사기도 하고, 여가시간을 이용하여 골프 등의 레저스포츠를 즐기는 데에도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두 번째 공항호텔은 회의참석 시 항공기의 사용이 과거보다 더욱 빈번해짐에 따라 공항과 인접한 호텔 내의 회의장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공항주변의 호텔 내의 회의장시설은 대부분 대규모 회의를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중 소규모의 회의를 위해 건립된 경우가 많다.
세 번째 리조트호텔은 회의참가 또는 비즈니스여행과 더불어 휴가여행을 즐기는 형태가 증가함에 따라 회의와 여가를 함께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이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마지막으로 교외호텔은 호텔 내에 머물면서 비즈니스를 함께 진행하고자 하는 회의 참가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서 회의기획자들에게 인기 있는 호텔형태에 해당된다.
따라서 호텔 내에 있는 회의시설을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회의참가자들의 성격과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절한 장소에 있는 호텔의 회의장을 수배하여야 할 것이다.
III. 기타(교통, 쇼핑센터 등)
교통은 항공이용과 도착 후 현지교통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항공이용은 해외 참가자의 주요 교통서비스 수단이므로 공식 항공사를 지정하는 것이 좋다. 항공사 지정은 항공사 측에 판매수익 증대와 화물수송권 획득, 그리고 홍보의 기회를 제공하여 주게 되므로 주최 측에서는 항공료나 화물수송료 등 가격할인과 개최지 홍보물 제공 등 여러 가지 회의관련 편의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착 후 현지교통을 위해 주최 측은 참가자에게 공항과 호텔 간의 교통편을 제공하거나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입출국시에는 행사요원을 공항에 배치하여 참가자를 안내토록 하고, 주요 행사장 간에 셔틀버스를 운행하는 등의 교통편의를 제공해야 한다.
국제회의 참가자의 수송은 회의 대표자들의 이동을 의미한다. 국제회의가 항공사의 주요 시장이 되고 있기 때문에 항공사로서도 국제회의 참가자들을 수송하기 위해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항공사가 회의기획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편익은 비용분석과 컴퓨터서비스, 촉진지원, 회의 전 후 관광, 공항 Hospitality Room, 예약확인 데스크, 특별수하물 취급, 수하물 검색대 설치, 개최지 현장답사 지원 등이다.
오늘날에는 해외의 국제회의 행사가 빈번하고 국내에서도 국제회의 시장규모도 커지고 있어 이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항공사간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회의시장을 겨냥하여 항공사별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상품을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회의기획자 등 회의참가자들의 교통을 담당하는 쪽에서는 이러한 항공사의 현실을 파악하여 적절한 가격과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국제회의 참가자들이 회의 이외의 시간을 잘 보낼 수 있도록 쇼핑센터와 골프장 등의 편의시설에 대한 자세한 안내와 예약을 병행하여주는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회의 참가자들은 회의만을 위해서 오는 것이 아니라 회의가 개최되는 지역에서 기념이 될 만한 물건을 사기도 하고, 여가시간을 이용하여 골프 등의 레저스포츠를 즐기는 데에도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창업의 유형] 창업(사업)의 종류 -일반창업, 벤처창업, 소호창업
상권분석(입지선정) - 상권과 업종의 적합성, 수요잠재력 조사, 유형별 입지조건, 상권분석방...
[디자인권]산업재산권 - 디자인권(디자인제도)
[사업계획서작성]사업계획서(창업계획서)의 의의와 용도, 사업계획서 작성방법(요령), 사업타...
[입지선정_입지영향인자] 입지선정에 있어서 입지의 영향인자
[EU의 통화동맹과 유로화의 도입] 경제통화동맹(EMU), 유로화의 도입이유, 유로화 도입에 따...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해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함
자본주의와 시장에 관해 논하시오. - 생활속의경제-2A형
품질경영
[생물과학]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를 읽고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진...
[기업윤리감사] 윤리감사(ethical audit)의 목적과 내용 및 방법
[생활환경과 삶의 질(quality of life or living)] 국가적 문제로서의 환경오염, 환경오염에 ...
[기술투자자금의 조달] 기술투자자금조달 (기술투자의 포트폴리오, 기술 투자 자금조달, 금융...
[윤리경영시대] 국가기반시설로서의 기업윤리, 부패라운드(Corruption Round)의 전개와 대응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