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매체] 광고매체의 개념(의의)과 유형, 역할, 중요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광고매체

Ⅰ. 매체의 중요성

1. 광고주에게 매체의 중요성
2. AE에게 매체의 중요성
3. 크리에이터에게 매체의 중요성

Ⅱ. 광고매체의 의의

Ⅲ. 매체의 역할

Ⅳ. 광고매체, 비이클, 매체단위의 차이

Ⅴ. 광고매체의 유형

1. 신문
1) 신문의 분류
2) 신문광고의 종류
(1) 디스플레이 광고
(2) 분류광고
(3) 간지광고
3) 신문의 규격과 광고요율
4) 신문광고의 장점
5) 신문광고의 단점
2. 잡지
1) 잡지의 분류
2) 잡지광고의 종류 및 광고요율
3) 잡지광고의 장점
4) 잡지광고의 단점
3. TV
1) TV광고의 종류
2) TV매체광고의 요금책정
(1) 프로그램 광고의 요금
(2) 토막광고와 시보광고의 요금
(3) TV광고의 시급
3) TV광고의 장점
4) TV광고의 단점
4. 라디오
1) 라디오광고의 종류
2) 라디오광고의 요금책정
3) 라디오 광고의 장점
4) 라디오 광고의 단점
5. 인터넷
1) 인터넷의 영향
2) 인터넷 방송 광고시장 규모
3) 인터넷 사용자의 유형

본문내용

만을 사용하는 매체이기 때문에 청취하는 소비자의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다.
■ 융통성이 좋으며 기동력이 뛰어나다. 소재의 제작기간이 짧고 새로운 소재로의 교체가용이하며, 매체 특유의 기동력이 있어 청취자들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 라디오는 TV에 비해 광고 제작비가 적게 든다. 또한 라디오는 CPM(Cost Per Thousand), 즉 표적소비자 1,000명당 도달하는 데에 필요한 광고비가 가장 적게 드는 매체이다.
(4) 라디오 광고의 단점
■ 라디오는 다른 매체들에 비해 도달률이 낮은 매체이다. 인기 있는 프로그램의 시청률이 40-50%나 되는 TV는 말할 것도 없이, 신문이나 잡지보다도 라디오를 듣는 소비자의 수는 적다.
■ 라디오의 경우 청취자들이 라디오의 내용에 집중하기보다는 다른 일을 하면서 라디오를 청취하는 경향이 매우 높다. 즉 라디오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광고에 대한 주목이 다른 매체에 비해 낮은 편이다.
■ 청취자들이 광고 메시지를 그냥 지나칠 가능성이 크다. 즉 청각에만 의존하는 라디오 광고는 청취자의 기억에 오래 남지 못하고 지나쳐 버리기 쉽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반복노출이 요구된다.
5) 인터넷
여기서는 인터넷 웹사이트 중에서도 특히 방송과 관련이 높은 인터넷 방송 분야의 시장상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1) 인터넷의 영향
인터넷 방송은 운용 주체와 관련해서 이미 콘텐츠를 소유한 방송사나 미디어 그룹들이 인터넷 방송을 하는 형태인 종속적 인터넷 방송과 인터넷에서 자생적으로 탄생한 소규모 전문방송국인 독립 인터넷 방송으로 나눌 수 있다.
종속적 인터넷 방송의 예로는 미국의 CNN, ABC, NBC 등이나 우리나라의 KBS, MBC, SBS 등이 대표적이다. 종속형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방송국들은 자사의 홈페이지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컴퓨터 파일로 저장해 둠으로써 이용자가 편한 시간대에 언제든지 재생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주문형 방송 서비스(broadcasting on demand)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지상파 채널을 통해 제공하고 있는 TV나 라디오 방송내용을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계하거나 재전송해 주는 '실시간 중계 서비스' 를 제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지상파 3사의 경우, KBS는 1999년 9월 한국통신과 공동으로 인터넷 방송 크레지오(Crezio)를 설립했으며, MBC는 두루넷과 제휴하여 1999년 1월부터 인터넷 방송 벨통을, SBS는 하나로통신과 제휴하여 1999년 8월 전자상거래와 인터넷 방송으로 특화된 SBS Internet을 설립하였다. 3사는 모두 자체제작 방송 콘텐츠보다는 기존 방송을 주로 활용하며, VOD와 AOD를 모두 제공하고 있다.
케이블 TV에 의한 인터넷 방송국은 m.net과 동아방송, LG홈쇼핑, YTN, 아리랑 T 등이 있다. 이 중 음악전문채널인 m.net은 인터넷을 통해 가수들의 뮤직비디오와 실시간 방송, 음악 등을 내보내 많은 호응을 받고 있다. m.net은 자사의 콘텐츠를 무료로 내보내는 대신 광고를 유치하고 있으며, CD나 MP3와 같은 관련 상품들 판매를 통해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2000년 3월에는 기존 방송 외에 요리전문 인터넷 방송국도 개국하였다.
반면 독립 인터넷 방송은 그들이 직접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프로그램을 제작하거나 이미 가지고 있는 전문 프로그램을 인터넷상에서 중계한다. 이들은 콘텐츠의 부족이나 재정적인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인터넷을 대안적인 매체로 활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요구와 이해에 맞는 소규모의 전문 프로그램을 제작 공급하고 있다. 이들 독립 인터넷 방송사는 기존 지상파 방송이 시도하지 못한 내용이나 형식으로 특화하고 있으며, 소수 매니아를 대상으로 전문성을 추구하고 있다.
인터넷 방송국은 1997년에 5개로 시작하여 1998년 말에는 80여 개, 1999년 9월에는 130여 개로 증가하였으며,2000년 초에는 300여 개,2000년 5월에는 500여 개, 향후2005년 말에는 1,000개 이상의 인터넷 방송이 생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www.castservice.com). 더불어 특히 인터넷 사업주체가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관련 분야에서 학교, ISP업체, 기업, 관청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 인터넷 방송 광고시장 규모
국내 인터넷 방송 관련 종합정보를 제공해 주는 'Castservice' (www.castservice.com)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1999년 7월 기준으로 인터넷 이용인구는 500만 명, 인터넷 방송 이용인구는 50만 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인터넷 방송 이용인구가 전체 인터넷 이용인구에서 10% 정도를 차지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인터넷 광고비는 한국광고단체연합회가 2000년 말 한국 온라인 광고대행사협회(KOMAA)의 집계를 인용한 결과에 따르면 인터넷 부문 광고시장은 약 930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볼 때 2000년도의 인터넷 방송 광고시장은 약 93억 원 정도였다고 예측할 수 있다. 이 수치는 인터넷 인구에서 인터넷 방송시청인구가 차지하는 비율 10%를 인터넷 총광고비에 곱하여 구한 수치로 정확하다고는 볼 수 없다. 그러나 앞으로의 인터넷 방송 광고시장과 관련해 대략적인 광고위치를 시사해 준다.
(3) 인터넷 사용자의 유형
국내의 인터넷 사용자는 주당 평균 사용시간과 사용경험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 소극 만족형(30%)
쇼핑, 레저 여행정보를 많이 사용하며, 웹사이트 주소에 관한 정보를 타인으로부터 얻는 집단이다.
■ 활용 선도형(33%)
대부분의 인터넷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사용하며 다양한 정보원천을 이용하나 정보내용에 불만을 느끼고 있는 고학력 집단이다.
■ 재미 유행형(23%)
스포츠, 연예, 채팅 등을 많이 사용하나 정보검색 방법, 언어, 기술적 문제에 어려움을 펀고 있고 상대적으로 고졸학력 소유자가 많다.
■ 실속 도전형(14%)
뉴스, 재테크 등의 정보를 사용하나, 업무 관련, 학술정보 등에 대한 관심이
적고, 인터넷 사용비용에 부담을 느끼는 저학력 사무직 집단이다.
인터넷 광고
  • 가격3,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11.29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