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D, PIMD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수동 상호변조왜곡 완벽정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MD, PIMD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수동 상호변조왜곡 완벽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PIMD의 정의 및 개요

2. IMD의 원리 및 이론

3. RF부품의 PIMD 요구사항

4. PIMD의 특성

5. PIMD의 원인

6. PIMD의 개선방안

본문내용

PIMD의 정의 및 개요
PIMD : IMD(Intermodulation Distortion)은 주로 능동소자에서 발생되지만, 수동소자에서도 완벽한 선형동작을 하지 못하므로, IMD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IMD를 PIMD라고 하며,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PIMD는 능동회로나 시스템의 IMD와 대비해보면 그 비선형성이 매우 작 기 때문에 요구조건이 낮다. PMID의 요구조건의 경우 보통 커넥터는 160 ~ 180 dBc 이며, 커플러는 140 dBc가 요구되고, 필터의 경우에는 160 dBc가 요구된다.
IMD는 통신시스템의 비선형성으로 인하여 주파수가 합성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다시말하면, 시스템에 입력되는 신호가 단순히 AMP단을 거치면서 증폭만 된 상태로 출력이 되면, 선형성의 주파수 증폭이 일어날 수 있지만, 입력신호는 다양한 소자를 거치면서 신호가 일그러지고, 입력 주파수 외에 합성된 주파수가 나오게 되는데, 이런 합성된 주파수 중에서 2f1-f2의 공식으로 성립되는 주파수를 3차 혼변조 성분이라고 한다.
즉, PIMD는 Passive소자에서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11.29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7173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