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아동학대의 이해
1) 아동학대의 정의
2) 아동학대의 유형과 후유증
2.아동학대의 발생에 관한 이론적 관점
1) 정신병리적 관점
2) 발달론적 관점
3) 사회환경적 관점
4) 생태체계적 관점
5) 사회정보처리적 관점
3.아동학대의 현황과 아동보호사업
1) 학대아동과 아동학대자의 현황
2) 아동학대 보호사업
4.아동학대 예방 및 아동보호사업의 과제
1) 아동학대와 방임의 정확한 개념 규정
2) 아동학대 신고 의무자에 관한 규정
3) 국민의 인식 전환을 위한 지역사회 교육과 캠페인의 활성화
4) 아동학대 전문상담원의 전문성 강화
5)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연계성 확충
Ⅲ. 결론
1) 토론
2) 참고문헌
Ⅱ. 본론
1.아동학대의 이해
1) 아동학대의 정의
2) 아동학대의 유형과 후유증
2.아동학대의 발생에 관한 이론적 관점
1) 정신병리적 관점
2) 발달론적 관점
3) 사회환경적 관점
4) 생태체계적 관점
5) 사회정보처리적 관점
3.아동학대의 현황과 아동보호사업
1) 학대아동과 아동학대자의 현황
2) 아동학대 보호사업
4.아동학대 예방 및 아동보호사업의 과제
1) 아동학대와 방임의 정확한 개념 규정
2) 아동학대 신고 의무자에 관한 규정
3) 국민의 인식 전환을 위한 지역사회 교육과 캠페인의 활성화
4) 아동학대 전문상담원의 전문성 강화
5)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연계성 확충
Ⅲ. 결론
1) 토론
2) 참고문헌
본문내용
, 현장 조사, 피학대아동보호 및 서비스 제공, 협조체계 구축, 지역자원 연계, 사례판정위원회 설치 및 운영.
의료기관
아동학대 사례 발견 및 신고, 피학대아동의 신속한 치료 및 사후 관리, 아동학대 판정에 대한 의학적 진단 및 소견 협조 등.
교육기관
아동학대 사례 발견 및 신고, 사법적 소송 진행, 피학대아동의 발달 상황 등 가족력 등의 관련 자료 제공, 피학대아동의 치료적 개입에 대한 협조, 피학대아동과 가족에 대한 학교사회사업 서비스 제공 등.
법률기관
피학대아동보호를 위한 사법적 소송 진행, 피학대아동의 법률적 보호 및 학대 행위자에 대한 보호 처분 등에 대한 긴밀한 협조 등.
행정기관
피학대아동 및 학대 행위자의 신분 조회, 아동의 격리 보호 의뢰, 피학대아동 및 가정에 대한 공적 부조 등의 협조 등.
사법경찰
아동학대 사례 접수 및 조사, 전문기관 상담원이 현장 조사 시 동행협조, 단순 아동학대 사례에 대한 전문기관으로의 의뢰, 격리 보호, 치료 등 필요한 보호 조치 제동, 형사재판과정을 통하여 피학대아동 지원.
기타민간기관
아동학대 사례 발견 및 신고, 피학대아동의 신속한 치료 및 보호, 사후 관리에 대한 서비스 제공, 자원 제공, 정부의 공유, 전문인력 교육, 훈련, 아동학대 예방사업 홍보, 다양한 서비스의 공동 연구 및 개발, 기타 아동보호 전문기관의 운영에 대한 지문 및 모니터링 등.
*관련기사
어린이집 아동학대 영상 ‘충격’…때리고 밟고 ‘공포의 도가니’
어린이집 아동학대 영상이 공개돼 파문이 예상된다.
지난 18일 MBC ‘뉴스데스크’는 서울의 구립 어린이집 CCTV 화면을 입수, 충격적인 장면을 보도했다.
공개된 CCTV에는 구립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여교사들의 아동학대 장면이 고스라니 담겨있다.
아이들의 머리를 때리는 것은 기본, 우는 아이의 입에 억지로 밥을 밀어 넣거나 누워있는 아이를 발로 밟고 지나가는 믿지 못할 장면도 포착됐다. 또 다른 교사는 장난을 치던 두 여자아이를 붙잡아 머리채를 잡고 박치기를 시켰다. 한 어린이집에서는 어두운 화장실 안에 아이를 가둬놓는 비상식적인 벌을 내리기도 했다.
학부모들의 공분을 산 이 영상들은 서울 중구, 성동구, 금천구 등 구청의 관리 감독하에 운영되고 있는 구립 어린이집의 실태다.
구청이 직접 관리하고 사립 어린이집 보다 가격도 싸 수개월을 대기해 자녀들을 보내왔던 학부모들은 충격을 금치 못하겠다는 반응이다.
어린이집 아동학대 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말도 안 되는 일이 벌어졌다”, “무서워서 애를 맡기겠나”, “진상을 밝혀 교사들을 처벌해야 한다”, “공포의 도가니가 따로 없다” 등 분노의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서울경찰청은 어린이집 내 가혹행위가 확인되면, 해당 어린이집에 대한 수사에 착수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동학대 신고의무자가 아동학대 ‘충격’
가해자 80%가 양육자 최근 3년간 2.6배 늘어
#1. A아동복지시설에 살고 있는 중학교 2학년 김모 양은 원장으로부터 몇 년간 이어지는 성학대를 무방비 상태로 당할 수밖에 없었다. 친부의 행방을 모르는 상태에서 친모는 채무 문제로 수배 중인 상황이었기 때문에 아동은 도움을 구할 곳을 찾지 못했다. 결국 시설 후원자의 신고로 인해 원장은 구속됐지만 아동은 성학대 경험의 외상으로 인해 정서 및 대인관계 어려움으로 인한 부적응을 호소하고 있다.
#2. 중학교 1학년 김모 양의 친모는 자신의 내연남과 내연남의 아들이 아동의 몸을 만지고 목욕을 시키는 등 지속적으로 아동을 성추행한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내연남과 함께 살고싶어 이를 묵인했다. 이웃의 신고로 아동을 가해자로부터 분리해 그룹홈에서 보호하면서 아동과 친모에 대한 상담과 치료를 진행한 후 원가정으로 복귀시켰다. 그러나 내연남은 또 다시 아동을 성추행했으며 친모는 이러한 사실에 대해 아동이 기관에 말하지 못하도록 강요했다.
아동을 보호하고 정신적ㆍ신체적 학대에 대해 신고해야 할 ‘아동학대 신고의무자’가 오히려 아동학대를 하는 경우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아동학대 가해자의 80% 이상이 주 양육자인 부모이며, 10% 정도가 재학대로 이어지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영희 의원(민주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아동학대 현황자료’에 따르면 시설종사자의 아동학대는 2008년 88건에서 2010년 229건으로 약 2.6배 증가했다.
특히 교원에 의한 아동학대 역시 2010년 83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약 3.5배나 늘어났다.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교육
▲ 어린이재단 강원동부아동보호전문기관(관장 이창수)은 25일 속초 근로자복지회관에서 속초·고성·양양지역 아동보육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교육을 실시하고 아동학대예방 안전지킴이로서의 적극적인 역할 협조를 당부했다. 속초/김창삼
1.토론하기
▶영화 ‘도가니’에는 (장애)아동의 성적 학대를 주 내용으로 다루어지는데, 영화와 같이 아동 성적 학대 (성폭행)에 대한 처벌은 우리나라에서 심각하게 다루어 지지 않는데, 그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과 적절한 처벌 수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발표, 토론.
▶ 부모 혹은 보호자의 심각한 학대로 인해 격리, 분리되는 경우가 있는데,이러한 조치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토론.
▶ 부모와 보호자의 체벌과 아동의 학대는 기준과 경계가 모호한데, 어느 정도 수준을 학대라고 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자신의 생각 발표.
2.참고문헌
-한국사회와 아동청소년 복지 - 문선화 외. 2011
-통계청 (아동학대현황)
-http://n.breaknews.com/sub_read.html?uid=188753§ion=sc2
-http://n.ccdailynews.com/sub_read.html?uid=236692§ion=sc3
-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10922000240
-http://www.up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23080
-http://morningnews.co.kr/article.php?aid=131647734240239007
의료기관
아동학대 사례 발견 및 신고, 피학대아동의 신속한 치료 및 사후 관리, 아동학대 판정에 대한 의학적 진단 및 소견 협조 등.
교육기관
아동학대 사례 발견 및 신고, 사법적 소송 진행, 피학대아동의 발달 상황 등 가족력 등의 관련 자료 제공, 피학대아동의 치료적 개입에 대한 협조, 피학대아동과 가족에 대한 학교사회사업 서비스 제공 등.
법률기관
피학대아동보호를 위한 사법적 소송 진행, 피학대아동의 법률적 보호 및 학대 행위자에 대한 보호 처분 등에 대한 긴밀한 협조 등.
행정기관
피학대아동 및 학대 행위자의 신분 조회, 아동의 격리 보호 의뢰, 피학대아동 및 가정에 대한 공적 부조 등의 협조 등.
사법경찰
아동학대 사례 접수 및 조사, 전문기관 상담원이 현장 조사 시 동행협조, 단순 아동학대 사례에 대한 전문기관으로의 의뢰, 격리 보호, 치료 등 필요한 보호 조치 제동, 형사재판과정을 통하여 피학대아동 지원.
기타민간기관
아동학대 사례 발견 및 신고, 피학대아동의 신속한 치료 및 보호, 사후 관리에 대한 서비스 제공, 자원 제공, 정부의 공유, 전문인력 교육, 훈련, 아동학대 예방사업 홍보, 다양한 서비스의 공동 연구 및 개발, 기타 아동보호 전문기관의 운영에 대한 지문 및 모니터링 등.
*관련기사
어린이집 아동학대 영상 ‘충격’…때리고 밟고 ‘공포의 도가니’
어린이집 아동학대 영상이 공개돼 파문이 예상된다.
지난 18일 MBC ‘뉴스데스크’는 서울의 구립 어린이집 CCTV 화면을 입수, 충격적인 장면을 보도했다.
공개된 CCTV에는 구립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여교사들의 아동학대 장면이 고스라니 담겨있다.
아이들의 머리를 때리는 것은 기본, 우는 아이의 입에 억지로 밥을 밀어 넣거나 누워있는 아이를 발로 밟고 지나가는 믿지 못할 장면도 포착됐다. 또 다른 교사는 장난을 치던 두 여자아이를 붙잡아 머리채를 잡고 박치기를 시켰다. 한 어린이집에서는 어두운 화장실 안에 아이를 가둬놓는 비상식적인 벌을 내리기도 했다.
학부모들의 공분을 산 이 영상들은 서울 중구, 성동구, 금천구 등 구청의 관리 감독하에 운영되고 있는 구립 어린이집의 실태다.
구청이 직접 관리하고 사립 어린이집 보다 가격도 싸 수개월을 대기해 자녀들을 보내왔던 학부모들은 충격을 금치 못하겠다는 반응이다.
어린이집 아동학대 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말도 안 되는 일이 벌어졌다”, “무서워서 애를 맡기겠나”, “진상을 밝혀 교사들을 처벌해야 한다”, “공포의 도가니가 따로 없다” 등 분노의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서울경찰청은 어린이집 내 가혹행위가 확인되면, 해당 어린이집에 대한 수사에 착수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동학대 신고의무자가 아동학대 ‘충격’
가해자 80%가 양육자 최근 3년간 2.6배 늘어
#1. A아동복지시설에 살고 있는 중학교 2학년 김모 양은 원장으로부터 몇 년간 이어지는 성학대를 무방비 상태로 당할 수밖에 없었다. 친부의 행방을 모르는 상태에서 친모는 채무 문제로 수배 중인 상황이었기 때문에 아동은 도움을 구할 곳을 찾지 못했다. 결국 시설 후원자의 신고로 인해 원장은 구속됐지만 아동은 성학대 경험의 외상으로 인해 정서 및 대인관계 어려움으로 인한 부적응을 호소하고 있다.
#2. 중학교 1학년 김모 양의 친모는 자신의 내연남과 내연남의 아들이 아동의 몸을 만지고 목욕을 시키는 등 지속적으로 아동을 성추행한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내연남과 함께 살고싶어 이를 묵인했다. 이웃의 신고로 아동을 가해자로부터 분리해 그룹홈에서 보호하면서 아동과 친모에 대한 상담과 치료를 진행한 후 원가정으로 복귀시켰다. 그러나 내연남은 또 다시 아동을 성추행했으며 친모는 이러한 사실에 대해 아동이 기관에 말하지 못하도록 강요했다.
아동을 보호하고 정신적ㆍ신체적 학대에 대해 신고해야 할 ‘아동학대 신고의무자’가 오히려 아동학대를 하는 경우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아동학대 가해자의 80% 이상이 주 양육자인 부모이며, 10% 정도가 재학대로 이어지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영희 의원(민주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아동학대 현황자료’에 따르면 시설종사자의 아동학대는 2008년 88건에서 2010년 229건으로 약 2.6배 증가했다.
특히 교원에 의한 아동학대 역시 2010년 83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약 3.5배나 늘어났다.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교육
▲ 어린이재단 강원동부아동보호전문기관(관장 이창수)은 25일 속초 근로자복지회관에서 속초·고성·양양지역 아동보육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교육을 실시하고 아동학대예방 안전지킴이로서의 적극적인 역할 협조를 당부했다. 속초/김창삼
1.토론하기
▶영화 ‘도가니’에는 (장애)아동의 성적 학대를 주 내용으로 다루어지는데, 영화와 같이 아동 성적 학대 (성폭행)에 대한 처벌은 우리나라에서 심각하게 다루어 지지 않는데, 그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과 적절한 처벌 수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발표, 토론.
▶ 부모 혹은 보호자의 심각한 학대로 인해 격리, 분리되는 경우가 있는데,이러한 조치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토론.
▶ 부모와 보호자의 체벌과 아동의 학대는 기준과 경계가 모호한데, 어느 정도 수준을 학대라고 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자신의 생각 발표.
2.참고문헌
-한국사회와 아동청소년 복지 - 문선화 외. 2011
-통계청 (아동학대현황)
-http://n.breaknews.com/sub_read.html?uid=188753§ion=sc2
-http://n.ccdailynews.com/sub_read.html?uid=236692§ion=sc3
-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10922000240
-http://www.up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23080
-http://morningnews.co.kr/article.php?aid=131647734240239007
추천자료
아동학대 보호사업의 문제점에 대한 대책 및 개선점
아동학대와 아동의 인권
아동의 성적학대 및 성폭행등 사회비윤리적인 현상에 대한 총정리
(아동복지론) 아동학대 예방프로그램 및 사례 보고서
(아동복지론) 아동학대의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 관련법, 문제점과 해결방안 보고서
아동복지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10'06월), 아동학대방지법과 관련법 중심
아동학대와 아동보호서비스 파워포인트 PPT 프리젠테이션
우리나라 아동학대에 대하여
가족복지) 우리나라 아동학대 가족에 대한 가족복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아동학대 피해 아동의 예를 들어 사정 시 사정과정에서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10가지 내...
아동복지실천 대상별 중(학대아동, 보육아동, 장애아동, 한부모가정아동, 입양아동) 한 분야...
제시된 수업내용을 토대로 본인이 생각하는 아동복지의 실제 중 아동학대에 대한 사례나 의견...
아동학대 사례를 조사,어린이집에서 일어날 수 있는 아동학대 행위의 유형과 대비책에 대해 ...
최근 3년 이내의 보육시설에서 발생한 아동학대 사례를 찾아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