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업을 준비하며
2. 교육과정 분석
3.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2. 교육과정 분석
3.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본문내용
점이라는 생각이 드나요?
- 자기를 뽑아달라고 할 때, 다른 사람을 설득할 때가 있었습니다.
- 높임말을 쓴다. 희망적인 마무리, 관심을 끈다. 남을 설득한다. 시간과 대상을 고려해서 쓴다. 문장이나 생각을 반복한다.
-친구랑 떠들어서 다른 친구들 방해합니다. 수업 시작 시간을 지키지 않습니다.
1‘
2‘
1‘
7‘
* 반 아이들의 학교생활 모습이 담긴 사진, 영상자료
♣연설왕을 뽑는다는 것을 말해주고, 왕관(의상)을 보여주어 동기를 유발한다.
* 조별 브레인스토밍 활동지
♣ 교과서 122쪽, 영상의 내용에 국한하지 말고, 평소 나의 생각 등에서 자유롭게 생각하여 최대한 많이 적도록 유도한다.
* 타이밍 머신
문제와 해결의 짜임으로 연설문을 쓰고, 내가 쓴 연설문을 바탕으로 연설해 보자.
[9쪽 판서계획 참조]
-내가 연설하고 싶은 문제가 무엇인지 떠올려 보고 모둠별로 토의해서 3분 동안 연설하고 싶은 내용을 최대한 많이 적어봅시다.
-다 생각해 보았나요? 그럼 이번에는 모둠별로 의논해서 가장 연설하고 싶은 문제 하나를 정해 봅
-(활동지에 모둠별로 연설하고 싶은 문제에 대해서 적어본다.)
-수업 시간에 떠듭니다.
-쉬는 시간에 놀다가 수업 시간에 늦게 들어옵니다.
학습단계
학습 과정
교수ㆍ학습 활동
시간
(분)
자료(*) 및 유의점(♣)
교사
학생
문제
해결
하기
활동2
활동3
시다. 조별로 정한 내용은 선생님에게 알려주세요. 그리고 여러분은 123쪽 연설 주제 칸에 그 문제를 적어볼 수 있도록 합니다.
-자 여러분! 각 조별로 연설하고 싶은 주제를 모두 정해보았나요?
-여러분이 정한 우리 학급의 문제점을 가지고 친구들에게 연설하기 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봅시다. ‘처음’-‘가운데’-‘끝’부분에 무엇을 쓸지 알아볼텐데, 먼저 연설문의 처음에는 어떤 내용을 쓰면 좋을까요?
- ‘가운데’부분에는 어떤 내용이 들어갈까요?
- 자, 그럼 지금부터 교과서 123쪽에 연설문을 쓰기 위한 계획을 세워봅시다. 먼저, 조별로 정한 연설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토의해서 써 봅시다. (2분)
-가운데 부분을 다 의논했나요?그럼 이번에는 각자 처음과 끝 부분을 어떻게 쓸지 생각하여 써봅시다. 처음과 끝을 쓸 때 어떻게 하면 좋을지 교과서의 말주머니를 다같이 읽어봅시다.
-계획을 다 짰나요? 이제 연설문을 써 보겠습니다. 쓰기 전에 주의할 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어떤 것들이 있나요?
-자, 위의 내용을 잘 생각하면서 연설문을 써 봅시다. 선생님이 3분 주겠습니다. (처음에 3분을 주고 추가 시간 1분을 더 준다.)
-네
-듣는 이의 관심을 끄는 내용을 씁니다.
-해결할 문제와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씁니다.
-연설을 듣는 이가 행동하도록 요구하는 내용을 씁니다.
-(토의한다. 각 조에서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찾아서 123쪽 ‘가운데’부분에 쓴다.)
-네. (123쪽 ‘처음’과 ‘끝’ 부분을 각자 생각해서 마무리 할 수 있도록 한다.)
-김구 선생의 연설문처럼 인상적인 첫마디를 생각해 보아요.
-희망적인 내용의 연설문을 써 보아요.
-1. 문제와 해결의 방법이 잘 드러나게 씁니다.
2. 소리 내어 읽었을 때 자연스럽게 씁니다.
3. 듣는 사람이 이해하기 쉽도록 말하듯이 쉽게 쓰고, 문장이나 낱말을 반복해서 씁니다.
4. 1분 안에 연설할 수 있도록 씁니다.
5‘
5‘
4‘
* ppt
♣ 칠판에 각 조별로 정한 연설할 문제를 적어둔다.
♣ 다른 조의 연설 주제로 연설하고 싶은 경우 그 모둠에 앉도록 허용할 수 있다.
* ppt 자료
(예시 자료를 보여줄 수 있다. )
♣ 가운데 부분의 해결 방법은 같이 찾아서 쓰되, 처음과 끝 부분은 개인별로 다르게 쓰도록 유도한다.
* ppt
학습단계
학습 과정
교수ㆍ학습 활동
시간
(분)
자료(*) 및 유의점(♣)
교사
학생
일반화 하기
활동4
마무리
차시 예고
- 다 쓴 사람은 125쪽에 있는 처음의 주의 사항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면서 연설문을 다시 읽고 고쳐볼 수 있도록 합니다.
-자 시간이 다 됐습니다.
-자신이 쓴 연설문을 다 발표해 보면 좋겠지만, 시간이 없으니까 조별로 한 명 정도씩 발표해 보겠습니다. 나머지 사람들은 선생님이 나눠준 종이에 각 조별로 얼마만큼 잘 설득했다고 생각하는지 표시하면서 들어봅시다.
-발표할 때는 어떻게 발표해야 다른 사람을 잘 설득할 수 있을까요?
-듣는 사람의 태도는 어떠해야 할까요?
-자, 모둠별로 한명씩 정합니다.그럼 오늘은 어느 조가 먼저 발표하게 될까요?
-모두 잘했어요. 자기가 생각하기에 가장 잘 했다고 생각하는 후보자의 이름을 써서 투표용지를 내주세요.
-오늘 위대한 연설의 왕은 00입니다. 박수해 줍시다.
-오늘 이 시간에는 연설문을 직접 써보고 연설해 보았습니다. 발표를 못 해 아쉬운 친구도 있었겠지만 들으면서 또한 많은 공부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다음에 연설문을 쓰고 발표할 때는 더욱 자신있게 쓰고 발표할 수 있겠지요? 다음 시간에는 배운 내용을 정리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수업을 마치겠습니다.
-큰 목소리로 발표합니다.
-설득하는 목소리로 발표합니다.
-열정을 담아서 발표합니다.
-바른 태도로 발표합니다.
-잘 듣습니다.
-저희 조요!!
-네
- 박수
10‘
3‘
1‘
1‘
*평가지(개인별)
* 잘 들을 수 있도록 한다.
* 모둠뽑기를 통해 먼저 발표할 조를 정한다.
* 모둠판을 활용해도 좋다.
*후보자는 명찰을 붙인다.
*투표용지
* 왕관(의상)
판서계획
단원: 6. 타당한 근거
학습문제: 문제와 해결의 짜임으로 연설문을 쓰고, 내가 쓴 연설문을 바탕으로 연설해 보자.
활동1. 내가 연설하고 싶은 문제 찾기
활동2. 연설문을 쓰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활동3. 문제와 해결의 짜임으로 연설문 써보기.
활동4. 자신이 쓴 연설문 발표하고, 다른 사람의 연설 듣기.
♣
위대한 청중평
6학년 반 번 이름 :
후보 1
후보 2
후보 3
후보 4
후보 5
후보 6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후보
후보
후보
- 자기를 뽑아달라고 할 때, 다른 사람을 설득할 때가 있었습니다.
- 높임말을 쓴다. 희망적인 마무리, 관심을 끈다. 남을 설득한다. 시간과 대상을 고려해서 쓴다. 문장이나 생각을 반복한다.
-친구랑 떠들어서 다른 친구들 방해합니다. 수업 시작 시간을 지키지 않습니다.
1‘
2‘
1‘
7‘
* 반 아이들의 학교생활 모습이 담긴 사진, 영상자료
♣연설왕을 뽑는다는 것을 말해주고, 왕관(의상)을 보여주어 동기를 유발한다.
* 조별 브레인스토밍 활동지
♣ 교과서 122쪽, 영상의 내용에 국한하지 말고, 평소 나의 생각 등에서 자유롭게 생각하여 최대한 많이 적도록 유도한다.
* 타이밍 머신
문제와 해결의 짜임으로 연설문을 쓰고, 내가 쓴 연설문을 바탕으로 연설해 보자.
[9쪽 판서계획 참조]
-내가 연설하고 싶은 문제가 무엇인지 떠올려 보고 모둠별로 토의해서 3분 동안 연설하고 싶은 내용을 최대한 많이 적어봅시다.
-다 생각해 보았나요? 그럼 이번에는 모둠별로 의논해서 가장 연설하고 싶은 문제 하나를 정해 봅
-(활동지에 모둠별로 연설하고 싶은 문제에 대해서 적어본다.)
-수업 시간에 떠듭니다.
-쉬는 시간에 놀다가 수업 시간에 늦게 들어옵니다.
학습단계
학습 과정
교수ㆍ학습 활동
시간
(분)
자료(*) 및 유의점(♣)
교사
학생
문제
해결
하기
활동2
활동3
시다. 조별로 정한 내용은 선생님에게 알려주세요. 그리고 여러분은 123쪽 연설 주제 칸에 그 문제를 적어볼 수 있도록 합니다.
-자 여러분! 각 조별로 연설하고 싶은 주제를 모두 정해보았나요?
-여러분이 정한 우리 학급의 문제점을 가지고 친구들에게 연설하기 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봅시다. ‘처음’-‘가운데’-‘끝’부분에 무엇을 쓸지 알아볼텐데, 먼저 연설문의 처음에는 어떤 내용을 쓰면 좋을까요?
- ‘가운데’부분에는 어떤 내용이 들어갈까요?
- 자, 그럼 지금부터 교과서 123쪽에 연설문을 쓰기 위한 계획을 세워봅시다. 먼저, 조별로 정한 연설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토의해서 써 봅시다. (2분)
-가운데 부분을 다 의논했나요?그럼 이번에는 각자 처음과 끝 부분을 어떻게 쓸지 생각하여 써봅시다. 처음과 끝을 쓸 때 어떻게 하면 좋을지 교과서의 말주머니를 다같이 읽어봅시다.
-계획을 다 짰나요? 이제 연설문을 써 보겠습니다. 쓰기 전에 주의할 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어떤 것들이 있나요?
-자, 위의 내용을 잘 생각하면서 연설문을 써 봅시다. 선생님이 3분 주겠습니다. (처음에 3분을 주고 추가 시간 1분을 더 준다.)
-네
-듣는 이의 관심을 끄는 내용을 씁니다.
-해결할 문제와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씁니다.
-연설을 듣는 이가 행동하도록 요구하는 내용을 씁니다.
-(토의한다. 각 조에서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찾아서 123쪽 ‘가운데’부분에 쓴다.)
-네. (123쪽 ‘처음’과 ‘끝’ 부분을 각자 생각해서 마무리 할 수 있도록 한다.)
-김구 선생의 연설문처럼 인상적인 첫마디를 생각해 보아요.
-희망적인 내용의 연설문을 써 보아요.
-1. 문제와 해결의 방법이 잘 드러나게 씁니다.
2. 소리 내어 읽었을 때 자연스럽게 씁니다.
3. 듣는 사람이 이해하기 쉽도록 말하듯이 쉽게 쓰고, 문장이나 낱말을 반복해서 씁니다.
4. 1분 안에 연설할 수 있도록 씁니다.
5‘
5‘
4‘
* ppt
♣ 칠판에 각 조별로 정한 연설할 문제를 적어둔다.
♣ 다른 조의 연설 주제로 연설하고 싶은 경우 그 모둠에 앉도록 허용할 수 있다.
* ppt 자료
(예시 자료를 보여줄 수 있다. )
♣ 가운데 부분의 해결 방법은 같이 찾아서 쓰되, 처음과 끝 부분은 개인별로 다르게 쓰도록 유도한다.
* ppt
학습단계
학습 과정
교수ㆍ학습 활동
시간
(분)
자료(*) 및 유의점(♣)
교사
학생
일반화 하기
활동4
마무리
차시 예고
- 다 쓴 사람은 125쪽에 있는 처음의 주의 사항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면서 연설문을 다시 읽고 고쳐볼 수 있도록 합니다.
-자 시간이 다 됐습니다.
-자신이 쓴 연설문을 다 발표해 보면 좋겠지만, 시간이 없으니까 조별로 한 명 정도씩 발표해 보겠습니다. 나머지 사람들은 선생님이 나눠준 종이에 각 조별로 얼마만큼 잘 설득했다고 생각하는지 표시하면서 들어봅시다.
-발표할 때는 어떻게 발표해야 다른 사람을 잘 설득할 수 있을까요?
-듣는 사람의 태도는 어떠해야 할까요?
-자, 모둠별로 한명씩 정합니다.그럼 오늘은 어느 조가 먼저 발표하게 될까요?
-모두 잘했어요. 자기가 생각하기에 가장 잘 했다고 생각하는 후보자의 이름을 써서 투표용지를 내주세요.
-오늘 위대한 연설의 왕은 00입니다. 박수해 줍시다.
-오늘 이 시간에는 연설문을 직접 써보고 연설해 보았습니다. 발표를 못 해 아쉬운 친구도 있었겠지만 들으면서 또한 많은 공부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다음에 연설문을 쓰고 발표할 때는 더욱 자신있게 쓰고 발표할 수 있겠지요? 다음 시간에는 배운 내용을 정리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수업을 마치겠습니다.
-큰 목소리로 발표합니다.
-설득하는 목소리로 발표합니다.
-열정을 담아서 발표합니다.
-바른 태도로 발표합니다.
-잘 듣습니다.
-저희 조요!!
-네
- 박수
10‘
3‘
1‘
1‘
*평가지(개인별)
* 잘 들을 수 있도록 한다.
* 모둠뽑기를 통해 먼저 발표할 조를 정한다.
* 모둠판을 활용해도 좋다.
*후보자는 명찰을 붙인다.
*투표용지
* 왕관(의상)
판서계획
단원: 6. 타당한 근거
학습문제: 문제와 해결의 짜임으로 연설문을 쓰고, 내가 쓴 연설문을 바탕으로 연설해 보자.
활동1. 내가 연설하고 싶은 문제 찾기
활동2. 연설문을 쓰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활동3. 문제와 해결의 짜임으로 연설문 써보기.
활동4. 자신이 쓴 연설문 발표하고, 다른 사람의 연설 듣기.
♣
위대한 청중평
6학년 반 번 이름 :
후보 1
후보 2
후보 3
후보 4
후보 5
후보 6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위대한 연설
후보
후보
후보
추천자료
초등 국어 6학년 3. 삶의 무늬 (1)따뜻한 마음 세안 지도안
6학년 국어 세안
[국어교육]교수학습과정안((6학년:국어지식 우리말)-평가표 및 활동지 별첨)
4,5,6학년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분석 (쓰기영역)
초등 6학년 국어과(읽기)교수-학습 과정안/다섯째 마당.옛 사람들의 삶을 생각하며 옛 글 읽기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국어교육)의 목표와 실태,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국어교육) 지도중점...
초등학교 6학년 교육목표와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와 영어과 교육과정, 초등...
6학년) 국어 (수업실습 교수 ; 학습 계획) - 7. 문학의 향기 : 이야기를 희곡으로 바꾸어 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