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목차
하부 위 장관의 구조와 기능
배변 양상 영향 미치는 요인
배변 기능장애
간호과정
장 배설과 관련된 논문(여대생들의 배변 관련 증상과 심리적 요인의 관계)
배변 양상 영향 미치는 요인
배변 기능장애
간호과정
장 배설과 관련된 논문(여대생들의 배변 관련 증상과 심리적 요인의 관계)
본문내용
장 배설
하부 위 장관의 구조와 기능
1. 대장 (Large Intestine)
• 대장은 일반적으로 성인에서 125~150cm의 길이이며 맹장, 결장, 직장으로 구성한다.
• 결장의 주요 기능은 수분과 전해질의 흡수, 장벽의 보호, 변 배설 기능이며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자결장의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 S자 결장에 있는 노폐물을 대변이라고 하며 배변 직전까지 S자 결장 바로 다음 부분으로 정상적으로 직장은 배변 전까지 비어있다. 만일 배변 시 힘을 주는 일이 반복되면 정맥이 팽창되어 치질이 생긴다.
• 직장은 S자결장 다음부분으로 10~15cm 정상적으로 직장은 배변전까지 비어있고 배변 시 힘을 주는 일이 반복되면 정맥이 팽창되어 치질이 생긴다.
≪ 그 림 ≫
<대표적인 하부위장관술>Coletomy (결장절제술)
: 암을 포함한 대장 혹은 직장의 부분과 이와 연관된 혈관조직과 주위의 림프조직을 한꺼번에 광범위하게 제거하는 수술
2. 항문관과 항문
☞ 항 문 관
: 내항문괄약근(internal anal sphincter) - 불수의적
☞ 항 문
: 외항문괄약근(external anal sphincter) - 수의적
≪ 그 림 ≫
3. 배변 (Defecation)
배변은 항문과 직장으로부터 대변이 배출되는 것이다.
배변 시 발살방법을 이용하면 대변 배출에 도움이 된다.
·발살방법 (Valsalva’s maneuver)
①검사자세
: 환자는 앉고 검사자는 환자 옆에 선다.
②검사
: 검사자는 환자에게 깊은 숨을 들이마신 후 마치 대변보는 것처럼 아래로 힘을 주며 숨을 참게한다.
③검사소변
: 동통 증가는 공간점유성 병소, 추간판 탈출증, 종양, 경추관의 골극등에 기인하는 증가된 경막내압 때문이다. 동통은 국소적으로 나타나거나 해당하는 피부분절과 연관되어 나타난다.
※ 발살방법은 심근경색, 심장 고혈압이 있을 시에는 주의한다!!!
하부 위 장관의 구조와 기능
1. 대장 (Large Intestine)
• 대장은 일반적으로 성인에서 125~150cm의 길이이며 맹장, 결장, 직장으로 구성한다.
• 결장의 주요 기능은 수분과 전해질의 흡수, 장벽의 보호, 변 배설 기능이며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자결장의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 S자 결장에 있는 노폐물을 대변이라고 하며 배변 직전까지 S자 결장 바로 다음 부분으로 정상적으로 직장은 배변 전까지 비어있다. 만일 배변 시 힘을 주는 일이 반복되면 정맥이 팽창되어 치질이 생긴다.
• 직장은 S자결장 다음부분으로 10~15cm 정상적으로 직장은 배변전까지 비어있고 배변 시 힘을 주는 일이 반복되면 정맥이 팽창되어 치질이 생긴다.
≪ 그 림 ≫
<대표적인 하부위장관술>Coletomy (결장절제술)
: 암을 포함한 대장 혹은 직장의 부분과 이와 연관된 혈관조직과 주위의 림프조직을 한꺼번에 광범위하게 제거하는 수술
2. 항문관과 항문
☞ 항 문 관
: 내항문괄약근(internal anal sphincter) - 불수의적
☞ 항 문
: 외항문괄약근(external anal sphincter) - 수의적
≪ 그 림 ≫
3. 배변 (Defecation)
배변은 항문과 직장으로부터 대변이 배출되는 것이다.
배변 시 발살방법을 이용하면 대변 배출에 도움이 된다.
·발살방법 (Valsalva’s maneuver)
①검사자세
: 환자는 앉고 검사자는 환자 옆에 선다.
②검사
: 검사자는 환자에게 깊은 숨을 들이마신 후 마치 대변보는 것처럼 아래로 힘을 주며 숨을 참게한다.
③검사소변
: 동통 증가는 공간점유성 병소, 추간판 탈출증, 종양, 경추관의 골극등에 기인하는 증가된 경막내압 때문이다. 동통은 국소적으로 나타나거나 해당하는 피부분절과 연관되어 나타난다.
※ 발살방법은 심근경색, 심장 고혈압이 있을 시에는 주의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