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질환의 개요
-주요증상
-각종 관련검사
-병원의 치료기간 및 흐름
-약물의 종류 및 치료, 부작용
-중요간호 및 관찰사항
-퇴원시 교육내용
-주요증상
-각종 관련검사
-병원의 치료기간 및 흐름
-약물의 종류 및 치료, 부작용
-중요간호 및 관찰사항
-퇴원시 교육내용
본문내용
에 사용함.
5) Onset : ~5mins
T½ : 2mins
지속시간 : ~10mins
- 부작용
- 심실성 부정맥, 기외 수축, 빈맥, 협심증, 심전도 장애, 혈압 이상
- 호흡곤란
- 오심, 구토
- 두통, 짜증
- 주의/금기/참고문헌
<금기>
1) 비후성 대동맥판하 협착증, 교착성 심낭염, 심막압전 등의 환자
2) 수유부 및 소아
:안전성 미확립
<취급상 주의>
1) 알칼리성에서 불활화되므로 5% 탄산나트륨 및 다른 알칼리 액에 희석하지 않음.
2) 산화제나 철염과 혼합하지 않음.
3) 일광에 의해 변색될 수 있으므로 사용전 개봉하지 않도록 함.
▣ DDOBU1GB(Dobutamin)
- 약리 작용 및 효능
1) 합성 catecholamine인 dobutamine을 dextrose 수액에 mix한 형태의 제제로 사용전 희석 필요없음.
2)β<1>-selective adrenergic agonist로 구조 및 약리작용이 dopamine과 유사하나 신장과 장간막 혈관총의 dopamine 수용체와 혈관의 α-receptor에 대한 작용이 dopamine보다 약하며 내인성 NE유리 작용 없음.
3) 심근에 대한 (+)inotropic 작용으로 심근수축 증가, 말초저항 감소에 의해 심박출량 증가 작용
4)Onset: < 1~2mins
Tmax: 10~20mins
T½ : 2mins
-부작용
- 심박수 증가, 혈압상승, 저혈압, 협심통, 심계항진, 심실기외성수축
- 발열, 두통, 마비감
- 혈중 칼륨저하
- 오심
- 혈소판 감소
- 정맥염, 침윤에 의한 염증, 통증, 표피괴사
- 경증 다리경련
- 호흡곤란
-주의/금기/참고문헌
<금기>
1) 비후성 대동맥판하 협착증, 교착성 심낭염, 심막압전 등의 환자
2) 소아 : 안전성 미확립
<취급상 주의>
1) 알칼리성에서 불활화되므로 5% 탄산나트륨 및 다른 알칼리 액에 희석하지 않음.
2) 황산 나트륨이나 에탄올을 포함하는 다른 약제와 혼합하지 않음.
3) 일광에 의해 변색될 수 있으므로 사용전 개봉하지 않도록 함.
▶중요 간호 및 관찰사항◀
SAH 환자의 수술 후 간호
- 수술직후~48시간
수술 후 출혈과 뇌부종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시기이므로 의식수준, 통증, 뇌막자극 증상, 시력장애, 뇌신경 증상, 운동기능, 두개내압 상승증상(정상:5~15mmHg), 혈관 경련 및 자율신경계 증상, 동공크기와 모양을 1시간마다 사정한다.
1. 혈압과 맥박, 체온 V/S sign & I/O & Lab결과확인
2. 침대 머리를 30~40도 정도 높임(순환이 잘되고 ICP감소시키기위해)
3. 적절한 호흡과 혈압의 관리→기도가 폐쇄하지 않도록 흡인 실시(15초 이내로)
흡인 전 과산소화를 시키고 과도환기를 도모
4.수축기 혈압은 140~160mmHg 유지→출혈 예방 위해 180mmHg이상 되지 않도록 유지한다.
초과시 약물(항고혈압 제제)에 의해 혈압을 조절한다. 또한 110mmHg이하의 경우에는 도파민과 같은 혈압 상승제를 사용하여 뇌내의 혈액 순환량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5. ICP상승의 증상의 조기발견과 배액관 관리
수술 후 일시적으로 의식 장애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배액관이나 수액 라인 등이 뽑히지 않도 록 억제할 필요가 있다.
뇌부종이 심한 경우에는 외감압 수술이 실시된다. 이런 경우 골편이 제거된 측의 뇌를 압박하지 않도 록 주의한다.
6. 의식수준관찰(GCS,Motor weakness파악)
뇌혈관 연축이 발생하면 순환 장애를 초래하여 뇌경색이 되며 의식 수준 저하, 마비, 부위에 따라서는 언어장애 등이 나타난다.
수혈(Hb10~12h/dL로 유지),수액(만니톨 등)의 혈압 상승제, 항혈전제 등의 치료가 실시되기 때문에 수 분 균형을 잘 유지해야 한다.
7. 동맥류 파열 예방법 준수:조용하고 어두운 침상, 배변완하제 사용, 경한 진정제나 진통제
8. 경련예방위해 항경련제 사용(DVPR400J+DNS1B-A)
9. 보통 머리실밥은 2주경시행, 드레싱 자주시행한다.
- 수술 후 4일째~2주
뇌혈관 연축이 일어날 수 있는 시기이므로 혈압 관리가 가장 중요한 요점이 된다.
- 수술 후 1개월 경
Hydeocephalus발생가능성이 높다. 다리의 움직임이 나빠졌거나 실금과, 이해력의 저하등의 징후가 보 이면 의사에게 보고, 상황에 따라 뇌실-복막 단락술 시행
- 안정기시 간호
수술전의 중증도가 가벼운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수술 후에도 회복이 빠르다. 마비증상이 없으면 퇴원
장기간 마비와 의식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환자 및 가족을 중심으로 한 간호 프로그램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의식이 없던 환자가 “변 묻히기”(변을 만진 손을 몸이나 침대에 닦는 상황)를 시작하면 회복의 징후로 볼 수 있다.
▣ 합병증
1. 재출혈
2. 수두증
지주막하출혈 후 지주막하 공간이나 뇌실 내에 차있는 응고된 피가 뇌척수액의 흐름을 막거나, 뇌척수액의 흡수를 막아 뇌척수액의 정상적인 순환이 일어나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지주막하출혈환자의 약 15%에서 발생한다
3. 뇌혈관 연축
뇌혈관연축이란 지주막하출혈 이후 지주막하 공간에 있는 혈관들이 수축을 일으켜 허혈성 신경학적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단순히 뇌혈관조영술에 혈관이 좁아져있는 것이 관찰될 경우를 방사선학적 연축, 소마비, 언어장애 등을 동반하거나, 또는 동반하지 않는 의식저하, 착란 등의 지연성 허혈성 신경학적 장애를 임상적 연축 위의 두 가지가 모두 관찰될 때를 뇌혈관연축이라고 한다.
▶퇴원 시 교육내용◀
-수술부위 실밥은 보통 2주정도에 제거하게 되며 제거 후 다음날부터 머리감기 가능함 설명한다.
-성생활은 수술 후 4주정도 지난 후 하도록 한다.
-극심한 두통이나 경부 강직, 의식저하, 힘 빠지는 증상 시 재 출혈의 증상일 수 있으니 바로 응급실로 내원 하게끔 설명한다.
-술, 담배 금지, 고지혈증 예방
-무리한 운동은 금지, 걷는 운동부터 서서히 재활치료 시작할 수 있게 도와준다.
-혈압약의 꾸준한 복용과 하루 2번이상의 혈압측정 설명한다.(혈압노트)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현문사 -김조자 외)
- 성인간호학 下(수문자-서문자 외)
- 성인간호학 下(현문사 - 전시자 외)
5) Onset : ~5mins
T½ : 2mins
지속시간 : ~10mins
- 부작용
- 심실성 부정맥, 기외 수축, 빈맥, 협심증, 심전도 장애, 혈압 이상
- 호흡곤란
- 오심, 구토
- 두통, 짜증
- 주의/금기/참고문헌
<금기>
1) 비후성 대동맥판하 협착증, 교착성 심낭염, 심막압전 등의 환자
2) 수유부 및 소아
:안전성 미확립
<취급상 주의>
1) 알칼리성에서 불활화되므로 5% 탄산나트륨 및 다른 알칼리 액에 희석하지 않음.
2) 산화제나 철염과 혼합하지 않음.
3) 일광에 의해 변색될 수 있으므로 사용전 개봉하지 않도록 함.
▣ DDOBU1GB(Dobutamin)
- 약리 작용 및 효능
1) 합성 catecholamine인 dobutamine을 dextrose 수액에 mix한 형태의 제제로 사용전 희석 필요없음.
2)β<1>-selective adrenergic agonist로 구조 및 약리작용이 dopamine과 유사하나 신장과 장간막 혈관총의 dopamine 수용체와 혈관의 α-receptor에 대한 작용이 dopamine보다 약하며 내인성 NE유리 작용 없음.
3) 심근에 대한 (+)inotropic 작용으로 심근수축 증가, 말초저항 감소에 의해 심박출량 증가 작용
4)Onset: < 1~2mins
Tmax: 10~20mins
T½ : 2mins
-부작용
- 심박수 증가, 혈압상승, 저혈압, 협심통, 심계항진, 심실기외성수축
- 발열, 두통, 마비감
- 혈중 칼륨저하
- 오심
- 혈소판 감소
- 정맥염, 침윤에 의한 염증, 통증, 표피괴사
- 경증 다리경련
- 호흡곤란
-주의/금기/참고문헌
<금기>
1) 비후성 대동맥판하 협착증, 교착성 심낭염, 심막압전 등의 환자
2) 소아 : 안전성 미확립
<취급상 주의>
1) 알칼리성에서 불활화되므로 5% 탄산나트륨 및 다른 알칼리 액에 희석하지 않음.
2) 황산 나트륨이나 에탄올을 포함하는 다른 약제와 혼합하지 않음.
3) 일광에 의해 변색될 수 있으므로 사용전 개봉하지 않도록 함.
▶중요 간호 및 관찰사항◀
SAH 환자의 수술 후 간호
- 수술직후~48시간
수술 후 출혈과 뇌부종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시기이므로 의식수준, 통증, 뇌막자극 증상, 시력장애, 뇌신경 증상, 운동기능, 두개내압 상승증상(정상:5~15mmHg), 혈관 경련 및 자율신경계 증상, 동공크기와 모양을 1시간마다 사정한다.
1. 혈압과 맥박, 체온 V/S sign & I/O & Lab결과확인
2. 침대 머리를 30~40도 정도 높임(순환이 잘되고 ICP감소시키기위해)
3. 적절한 호흡과 혈압의 관리→기도가 폐쇄하지 않도록 흡인 실시(15초 이내로)
흡인 전 과산소화를 시키고 과도환기를 도모
4.수축기 혈압은 140~160mmHg 유지→출혈 예방 위해 180mmHg이상 되지 않도록 유지한다.
초과시 약물(항고혈압 제제)에 의해 혈압을 조절한다. 또한 110mmHg이하의 경우에는 도파민과 같은 혈압 상승제를 사용하여 뇌내의 혈액 순환량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5. ICP상승의 증상의 조기발견과 배액관 관리
수술 후 일시적으로 의식 장애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배액관이나 수액 라인 등이 뽑히지 않도 록 억제할 필요가 있다.
뇌부종이 심한 경우에는 외감압 수술이 실시된다. 이런 경우 골편이 제거된 측의 뇌를 압박하지 않도 록 주의한다.
6. 의식수준관찰(GCS,Motor weakness파악)
뇌혈관 연축이 발생하면 순환 장애를 초래하여 뇌경색이 되며 의식 수준 저하, 마비, 부위에 따라서는 언어장애 등이 나타난다.
수혈(Hb10~12h/dL로 유지),수액(만니톨 등)의 혈압 상승제, 항혈전제 등의 치료가 실시되기 때문에 수 분 균형을 잘 유지해야 한다.
7. 동맥류 파열 예방법 준수:조용하고 어두운 침상, 배변완하제 사용, 경한 진정제나 진통제
8. 경련예방위해 항경련제 사용(DVPR400J+DNS1B-A)
9. 보통 머리실밥은 2주경시행, 드레싱 자주시행한다.
- 수술 후 4일째~2주
뇌혈관 연축이 일어날 수 있는 시기이므로 혈압 관리가 가장 중요한 요점이 된다.
- 수술 후 1개월 경
Hydeocephalus발생가능성이 높다. 다리의 움직임이 나빠졌거나 실금과, 이해력의 저하등의 징후가 보 이면 의사에게 보고, 상황에 따라 뇌실-복막 단락술 시행
- 안정기시 간호
수술전의 중증도가 가벼운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수술 후에도 회복이 빠르다. 마비증상이 없으면 퇴원
장기간 마비와 의식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환자 및 가족을 중심으로 한 간호 프로그램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의식이 없던 환자가 “변 묻히기”(변을 만진 손을 몸이나 침대에 닦는 상황)를 시작하면 회복의 징후로 볼 수 있다.
▣ 합병증
1. 재출혈
2. 수두증
지주막하출혈 후 지주막하 공간이나 뇌실 내에 차있는 응고된 피가 뇌척수액의 흐름을 막거나, 뇌척수액의 흡수를 막아 뇌척수액의 정상적인 순환이 일어나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지주막하출혈환자의 약 15%에서 발생한다
3. 뇌혈관 연축
뇌혈관연축이란 지주막하출혈 이후 지주막하 공간에 있는 혈관들이 수축을 일으켜 허혈성 신경학적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단순히 뇌혈관조영술에 혈관이 좁아져있는 것이 관찰될 경우를 방사선학적 연축, 소마비, 언어장애 등을 동반하거나, 또는 동반하지 않는 의식저하, 착란 등의 지연성 허혈성 신경학적 장애를 임상적 연축 위의 두 가지가 모두 관찰될 때를 뇌혈관연축이라고 한다.
▶퇴원 시 교육내용◀
-수술부위 실밥은 보통 2주정도에 제거하게 되며 제거 후 다음날부터 머리감기 가능함 설명한다.
-성생활은 수술 후 4주정도 지난 후 하도록 한다.
-극심한 두통이나 경부 강직, 의식저하, 힘 빠지는 증상 시 재 출혈의 증상일 수 있으니 바로 응급실로 내원 하게끔 설명한다.
-술, 담배 금지, 고지혈증 예방
-무리한 운동은 금지, 걷는 운동부터 서서히 재활치료 시작할 수 있게 도와준다.
-혈압약의 꾸준한 복용과 하루 2번이상의 혈압측정 설명한다.(혈압노트)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현문사 -김조자 외)
- 성인간호학 下(수문자-서문자 외)
- 성인간호학 下(현문사 - 전시자 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