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신장애, 약물 과민증 기왕력자, 고령자
Eperisone
① 효능
② 용법, 용량
③ 금기
④ 부작용
① 중추성 근이완제
② 1회 50mg, 1일 3회 식수에 경구 투여
③ 중증의 근무력증 환자
④ Shock, 빈혈, 발진, 졸음, 탈력감, 현운 등
Atorvastatin
① 효능
② 용법, 용량
③ 금기
④ 주의
① 동맥경화용제
② 식사와 관계없이 1일 1회 10mg
③ 근질환, 임부, 수유부, 가임부
④ 알코올 중독자, 간질환 기왕력자, 70세 이상 노인은 신중투여
5.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간호문제
1) 현재 문제 :
통증
구토의 지속
절대안정에 대한 답답함 호소
대사성 알칼리증
수면장애
심리적 두려움
IV라인으로 수액 공급 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
2) 잠재적 문제 :
욕창 발생 위험성
수술에 대한 두려움
수술 후 합병증 및 재출혈 위험성
합병증 예방을 위한 관리 부족
◆간호진단
#1. 두 개 내압 상승과 관련된 통증
- 상기 환자는 지주막하 출혈로 인해 두 개내압이 상승되어 지속적인 headache를 호소하고 있어 위와 같은 진단 내림
사정
진단
목표
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준거
평가
NANDA
관련요인
S:
“머리가 너무 아파서 말도 못하겠어”
“머리, 머리, 머리, 머리…”
O:
일그러진 표정으로 머리를 쥐어잡고 있는 모습 확인
VAS 7점 측정
BP가 170/110 checked
통증
두 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환자가 직접 통증이 경감되었음을 표현한다.
육안으로 환자가 편안해진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BP가 정상범주에 있다.
통증의 형태와 정도, 악화요인, 완화요인을 사정한다.
침상 머리를 30°상승시키고 두 개내압을 상승시키는 요인을 교육한다.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Tylenol, Naloxone)
통증의 악화요인을 제거하고 완화요인을 중재해줌으로써 비약물적인 요법으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두 개내압 상승으로 인해 유발되고 있는 통증이기 때문에 두 개내압상승을 금한다.
적절한 진통제의 사용은 환자의 통증 경감을 돕는다.
환자가 스스로 아픔이 줄었다고 말로 표현하고 표정과 행동도 편안함을 확인 한다.
BP가 140이하를 유지한다.
환자의 혈압이 130/90으로 측정되었고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표현했다.
#2. 두 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율적 조직관류
- 상기 환자는 두 개내압 상승 및 오심 및 구토를 지속적으로 하여 ABGA검사상 대사성 알칼리증을 보임.
사정
진단
목표
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준거
평가
NANDA
관련요인
S:
“자꾸 속이 미식거려”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워”
O:
ABGA검사상 PH 7.516, PO2 179.6mmHg, HCO3 30.5mmol/L Checked
지속적으로 headache호소
BP 150/110 checked
비효율적 조직관류
두 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두 개내압을 정상으로 유지한다
혈액검사가 안정된다.
환자가 불편감이 없음을 표현한다.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한다.
침상 머리를 30°상승시키고 두 개내압을 상승시키는 요인을 교육한다.
대상자를 진정시키고 구토완화를 위해 처방에 따른 진토제를 투여한다.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함으로써 두 개내압의 상태를 사정할 수 있다.
두 개내압 상승으로 인해 유발되고 있는 통증이기 때문에 두 개내압상승을 금한다.
두 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오심 및 구토로 인해 대사성 알칼리증이 유발되었으므로 구토를 완화시키기 위한 진토제가 필요하다.
BP가 140이하를 유지한다.
ABGA 검사 상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더 이상 오심, 구토가 없음을 환자 스스로 표현한다.
ABGA 검사상 PH 7.36으로 정상범위였으나 BP는 여전히 140/110으로 Vital Sign이 stable하였고, 오심 및 구토증상 역시 완화되지 않음을 표현하여 절대안정을 교육하였고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3. 질병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한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 상기 환자는 자신의 질병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병식은 있지만 그에 따른 효율적 치료요법을 수행하지 못하여 다음과 같이 진단 내림
사정
진단
목표
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준거
평가
NANDA
관련요인
S:
“언제까지 안정만 취하라는 거야”
“이 주사는 안맞고 싶어, 이거한다고 뭐 나아지는 것도 없는 것 같잖아”
O:
교육한 내용에 부합되지 않는 행동을 보임
수액을 refuse하심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질병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한
질병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환자 스스로 말로 표현할 수 있다.
약물, 활동, 식이와 관련된 치료요법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대상자가 불신을 표하지 않고 의료팀의 처치를 신뢰하며 따른다.
대상자가 절대안정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뇌압상승시 초래될 수 있는 결과에 대해 교육하고 대상자의 반응을 살핀다.
대상자에게 투여되고 있는 약물의 작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대상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도록 일관성 있는 태도를 보여준다.
대상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치료의 이행을 돕는다.
일관성 있는 의료팀의 행동은 대상자로 하여금 신뢰감을 갖도록 하여 효율적인 치료이행을 하도록 이끌 수 있다.
대상자 스스로 절대안정을 취해야 하는 이유와 두 개내압을 상승시키는 요인을 말로 설명할 수 있다.
자신에게 처치되어지는 것들이 어떤 작용이 있는지 대상자 스스로 알고있다.
대상자가 처치자에게 신뢰감을 말로 표현하고 치료시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효율적으로 치료에 따른다.
교육 이후 절대안정하는 모습을 보였고 더 이상 치료에 불이행하는 모습없이 효과적으로 치료에 따르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I (이웅현 퍼시픽출판사, 2005)
- Pathophysiology로 이해하는 내과학Part 10 신경질환 편 (최일생 정담출판사, 2005)
- 여섯째판 성인간호학 1 (이향련 외 현문사, 2008)
-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김강미자 외 현문사, 2006)
- 제 6판 병리학 2 (대한병리학회 고문사, 2008)
- 한국병원약사회(http://www.kshp.or.kr)
Eperisone
① 효능
② 용법, 용량
③ 금기
④ 부작용
① 중추성 근이완제
② 1회 50mg, 1일 3회 식수에 경구 투여
③ 중증의 근무력증 환자
④ Shock, 빈혈, 발진, 졸음, 탈력감, 현운 등
Atorvastatin
① 효능
② 용법, 용량
③ 금기
④ 주의
① 동맥경화용제
② 식사와 관계없이 1일 1회 10mg
③ 근질환, 임부, 수유부, 가임부
④ 알코올 중독자, 간질환 기왕력자, 70세 이상 노인은 신중투여
5.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간호문제
1) 현재 문제 :
통증
구토의 지속
절대안정에 대한 답답함 호소
대사성 알칼리증
수면장애
심리적 두려움
IV라인으로 수액 공급 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
2) 잠재적 문제 :
욕창 발생 위험성
수술에 대한 두려움
수술 후 합병증 및 재출혈 위험성
합병증 예방을 위한 관리 부족
◆간호진단
#1. 두 개 내압 상승과 관련된 통증
- 상기 환자는 지주막하 출혈로 인해 두 개내압이 상승되어 지속적인 headache를 호소하고 있어 위와 같은 진단 내림
사정
진단
목표
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준거
평가
NANDA
관련요인
S:
“머리가 너무 아파서 말도 못하겠어”
“머리, 머리, 머리, 머리…”
O:
일그러진 표정으로 머리를 쥐어잡고 있는 모습 확인
VAS 7점 측정
BP가 170/110 checked
통증
두 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환자가 직접 통증이 경감되었음을 표현한다.
육안으로 환자가 편안해진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BP가 정상범주에 있다.
통증의 형태와 정도, 악화요인, 완화요인을 사정한다.
침상 머리를 30°상승시키고 두 개내압을 상승시키는 요인을 교육한다.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Tylenol, Naloxone)
통증의 악화요인을 제거하고 완화요인을 중재해줌으로써 비약물적인 요법으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두 개내압 상승으로 인해 유발되고 있는 통증이기 때문에 두 개내압상승을 금한다.
적절한 진통제의 사용은 환자의 통증 경감을 돕는다.
환자가 스스로 아픔이 줄었다고 말로 표현하고 표정과 행동도 편안함을 확인 한다.
BP가 140이하를 유지한다.
환자의 혈압이 130/90으로 측정되었고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표현했다.
#2. 두 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율적 조직관류
- 상기 환자는 두 개내압 상승 및 오심 및 구토를 지속적으로 하여 ABGA검사상 대사성 알칼리증을 보임.
사정
진단
목표
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준거
평가
NANDA
관련요인
S:
“자꾸 속이 미식거려”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워”
O:
ABGA검사상 PH 7.516, PO2 179.6mmHg, HCO3 30.5mmol/L Checked
지속적으로 headache호소
BP 150/110 checked
비효율적 조직관류
두 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두 개내압을 정상으로 유지한다
혈액검사가 안정된다.
환자가 불편감이 없음을 표현한다.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한다.
침상 머리를 30°상승시키고 두 개내압을 상승시키는 요인을 교육한다.
대상자를 진정시키고 구토완화를 위해 처방에 따른 진토제를 투여한다.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함으로써 두 개내압의 상태를 사정할 수 있다.
두 개내압 상승으로 인해 유발되고 있는 통증이기 때문에 두 개내압상승을 금한다.
두 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오심 및 구토로 인해 대사성 알칼리증이 유발되었으므로 구토를 완화시키기 위한 진토제가 필요하다.
BP가 140이하를 유지한다.
ABGA 검사 상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더 이상 오심, 구토가 없음을 환자 스스로 표현한다.
ABGA 검사상 PH 7.36으로 정상범위였으나 BP는 여전히 140/110으로 Vital Sign이 stable하였고, 오심 및 구토증상 역시 완화되지 않음을 표현하여 절대안정을 교육하였고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3. 질병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한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 상기 환자는 자신의 질병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병식은 있지만 그에 따른 효율적 치료요법을 수행하지 못하여 다음과 같이 진단 내림
사정
진단
목표
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준거
평가
NANDA
관련요인
S:
“언제까지 안정만 취하라는 거야”
“이 주사는 안맞고 싶어, 이거한다고 뭐 나아지는 것도 없는 것 같잖아”
O:
교육한 내용에 부합되지 않는 행동을 보임
수액을 refuse하심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질병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한
질병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환자 스스로 말로 표현할 수 있다.
약물, 활동, 식이와 관련된 치료요법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대상자가 불신을 표하지 않고 의료팀의 처치를 신뢰하며 따른다.
대상자가 절대안정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뇌압상승시 초래될 수 있는 결과에 대해 교육하고 대상자의 반응을 살핀다.
대상자에게 투여되고 있는 약물의 작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대상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도록 일관성 있는 태도를 보여준다.
대상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치료의 이행을 돕는다.
일관성 있는 의료팀의 행동은 대상자로 하여금 신뢰감을 갖도록 하여 효율적인 치료이행을 하도록 이끌 수 있다.
대상자 스스로 절대안정을 취해야 하는 이유와 두 개내압을 상승시키는 요인을 말로 설명할 수 있다.
자신에게 처치되어지는 것들이 어떤 작용이 있는지 대상자 스스로 알고있다.
대상자가 처치자에게 신뢰감을 말로 표현하고 치료시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효율적으로 치료에 따른다.
교육 이후 절대안정하는 모습을 보였고 더 이상 치료에 불이행하는 모습없이 효과적으로 치료에 따르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I (이웅현 퍼시픽출판사, 2005)
- Pathophysiology로 이해하는 내과학Part 10 신경질환 편 (최일생 정담출판사, 2005)
- 여섯째판 성인간호학 1 (이향련 외 현문사, 2008)
-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김강미자 외 현문사, 2006)
- 제 6판 병리학 2 (대한병리학회 고문사, 2008)
- 한국병원약사회(http://www.kshp.or.kr)
추천자료
뇌출혈환자의 간호수행
경막하 출혈케이스 자료
노인간호학 뇌내출혈 case study
뇌내출혈 간호사례 연구 (ICH)
뇌내 출혈(Intracerabral hemorrhage: ICH)
HEMORRAGE 뇌출혈
신경문헌뇌출혈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 케이스 (casestudy)
뇌출혈(뇌졸중)로 인한 혜택제공과 재활치료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사례개입
뇌내출혈 (ICH) 문헌고찰
ICU 뇌출혈 Case study
뇌출혈 ICH(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뇌내출혈(ICH) Case Study - 문헌고찰, 간호과정(진단3개)
뇌출혈 케이스, ICH 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