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가지 생약과 그 효능 (숙지황(熟地黃), 마황(麻黃), 생강(生薑), 계지(桂枝), 인삼(人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생약 조사
처방 정리표
각 처방에서 군약의 역할
각 처방에서 주치병증의 뜻

본문내용

)인 정신피로, 사지랭(四肢冷), 맥미(脈黴) 등 증상이 나타남.
8. 상한표증
땀이 나거나 안 나면서 오풍(惡風)이 있고, 또는 땀이 안나고 오한(惡寒)이 있으며, 두항강통(頭項强痛)이 있고, 맥은 부(浮)함.
9. 학슬풍(鶴膝風)
초기에 한열이 교대로 있고, 통증이 심하며, 점차 국부가 붉게 붓고, 오래되면 관절강내에 삼출액이 고이며, 터지면 멀건 물이 나오고 잘 아물지 않음. 슬관절의 변형이 생길 수 있음.
10. 습수
기침에 담이 많고, 관절이 쑤시고, 몸이 무겁고, 사지가 침중(沈重)하고, 땀이 나고, 얼굴과 손발이 붓고, 소변이 잘 통하지 않고, 맥은 세(細)·완(緩)함.
11. 비위허약
비위가 허약하고, 식욕이 부진하며 피로가 심하고, 힘이 없으며 가슴이 꽉 막히고, 마음이 마음이 조급하고, 기가 막히며 구토와 설사를 하는 것
12. 육울
울(鬱)은 운행이 잘 안되고 정체되는 것으로서 기울(氣鬱), 습울(濕鬱), 열울(熱鬱), 담울(痰鬱), 기울은 흉협통(胸脇痛) 담울은 움직이면 천식이 나고 열울은 심번(心煩)이 있고 소변이 적색
13. 소기
말할 때 힘이 없으며 호흡이 약하고 밭거나 짧은 것을 뜻한다. 신(腎)·폐(肺) 2경이 허약해서 신이 허하면 기가 생길 곳이 없고 장기(壯氣)될 근본이 없으며, 폐가 허하면 기가 간직될 곳이 없어 장부에 충족할 수가 없어 진기가 허겁(虛怯)해져 발생함. 몸이 노곤하고 무거우며 뼈가 시큰거린다.
14. 단기
기단(氣短). 기소(氣少). 호흡을 자주 하면서 이어지지 않는다. 즉 호흡촉박. 천증(喘證)과 비슷하나 담명이나 호흡에 어깨를 들먹이는 증상이 없다. 허증(虛證)은 오랜 병으로 진원(眞元)이 모상(耗傷)되어 생기고 실증(實證)은 지음(支飮), 어조(瘀阻), 기체(氣滯)로 생긴다. 허증은 병후, 산후, 옹저가 터진 후와 기(氣)가 약한 자에게 많음. 몸이 여위고, 노곤하며, 어지럽고, 움직이기 싫어함. 실증은 갑자기 숨이 차고, 숨소리가 거칠며, 심흉(心胸)이 그득하고, 배가 팽팽하게 불러오고, 담음(痰飮)으로 사지의 마디마디가 아프고, 맥이 침(沈)한다.
15. 상한궐음증
상한 족궐음경(足厥陰經) 병증과 수궐음경(手厥陰經) 병증을 말한다. 상한의 사기(邪氣)가 속으로 깊이 들어가 극에 달한 것이다. 소갈(消渴), 기상당심(氣上撞心), 심중동열(心中疼熱) 등이 있다. 또한 배가 고파도 먹으려 하지 않고, 먹으면 회충을 토하고 하리(下利)가 그치지 않는다.

키워드

생약,   효능,   처방,   숙지황,   마황,   생강,   계지,   인삼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2.08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89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