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보육서비스의 문제점
1) 현행 보육정책의 문제점
(2) 다양한 보육서비스 이용의 어려움
(3) 전문성 미확보
(4) 통합적 지원과 장기 프로그램의 필요
(5) 지역에 기반을 둔 서비스의 창출
(6) 안정적 운영과 투명한 관리
(7) 보육교사의 자격제도 개선 및 보수 체계 개선
1) 보육만족도
2) 보육인력의 전문성 및 질 관리 체계
3) 보육의 질 확보를 위한 체계
4) 보육 관련 시설의 역할 중복과 갈등
5) 보육시설의 공급률과 보육아동 분담률
6) 보육행정 및 지원체계
2. 보육서비스의 과제
(1) 보육시설의 안정성 확보
1) 현행 보육정책의 문제점
(2) 다양한 보육서비스 이용의 어려움
(3) 전문성 미확보
(4) 통합적 지원과 장기 프로그램의 필요
(5) 지역에 기반을 둔 서비스의 창출
(6) 안정적 운영과 투명한 관리
(7) 보육교사의 자격제도 개선 및 보수 체계 개선
1) 보육만족도
2) 보육인력의 전문성 및 질 관리 체계
3) 보육의 질 확보를 위한 체계
4) 보육 관련 시설의 역할 중복과 갈등
5) 보육시설의 공급률과 보육아동 분담률
6) 보육행정 및 지원체계
2. 보육서비스의 과제
(1) 보육시설의 안정성 확보
본문내용
9%)이다.
- 민간보육시설은 시설설치 비용을 개인이 부담하지만 정부로부터는 인건비 지원이 없어 국공립보육시설에 비하여 자부담은 크고 지원이 낮기 때문에 운영수준이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 특히 민간보육시설의 경우 자가비율이 29.9%(이미화 외, 2005)밖에 되지 않고 상당수가 주택지역이 아닌 상가에 설치 (17.4%)되어 있으며 인근에 음식점, 공장, 가스충전소 등 발화위험시설이 있는 경우가 65.0%, 유흥업소, 여관 등 유해시설이 있는 경우가 28.0%에 달한다.
- 또 2층 이상에 설치된 시설이 21.5%에 달하고, 이중 대피시설이 없는 곳이 38.0%에 달해 안전관리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 실내 환경과 시설, 설비 등에 대하여 일일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기록하는 곳은 65.0%에 불과하고 사고일지를 기록하는 곳은 45.0%에 불과한 실정이다.
- 시설 종사자에 대한 안전교육계획을 수립, 실시하는 보육시설은 전체의 70.0%이고, 건강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질병 보고체계가 구축된 시설은 28.0%에 불과하다.
- 이 빡에 보육시설의 급식은 영양사가 작성한 식단에 의하도록 되어 있음에도 식단을 작성하는 보육시설은 60.0%에 불과하다(새싹플랜).
- 따라서 민간 보육시설이 책정된 보육료에서 임대료를 지불할 경우 비용 대비 서비스의 수준은 구조적으로 낮아질 수밖에 없다.
- 민간개인시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 참고로 보육전문가들은 국공립보육시설 5.7%의 비율을 최소 10%까지 확대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이희정, 2008).
- 민간보육시설은 시설설치 비용을 개인이 부담하지만 정부로부터는 인건비 지원이 없어 국공립보육시설에 비하여 자부담은 크고 지원이 낮기 때문에 운영수준이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 특히 민간보육시설의 경우 자가비율이 29.9%(이미화 외, 2005)밖에 되지 않고 상당수가 주택지역이 아닌 상가에 설치 (17.4%)되어 있으며 인근에 음식점, 공장, 가스충전소 등 발화위험시설이 있는 경우가 65.0%, 유흥업소, 여관 등 유해시설이 있는 경우가 28.0%에 달한다.
- 또 2층 이상에 설치된 시설이 21.5%에 달하고, 이중 대피시설이 없는 곳이 38.0%에 달해 안전관리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 실내 환경과 시설, 설비 등에 대하여 일일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기록하는 곳은 65.0%에 불과하고 사고일지를 기록하는 곳은 45.0%에 불과한 실정이다.
- 시설 종사자에 대한 안전교육계획을 수립, 실시하는 보육시설은 전체의 70.0%이고, 건강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질병 보고체계가 구축된 시설은 28.0%에 불과하다.
- 이 빡에 보육시설의 급식은 영양사가 작성한 식단에 의하도록 되어 있음에도 식단을 작성하는 보육시설은 60.0%에 불과하다(새싹플랜).
- 따라서 민간 보육시설이 책정된 보육료에서 임대료를 지불할 경우 비용 대비 서비스의 수준은 구조적으로 낮아질 수밖에 없다.
- 민간개인시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 참고로 보육전문가들은 국공립보육시설 5.7%의 비율을 최소 10%까지 확대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이희정, 2008).
추천자료
우리나라 보육서비스의 실태와 현황 및 문제점 개선방안 (기관방문 보고서 포함)
보육서비스의 개념과 목적 및 보육 서비스 실태, 문제점 해결방안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장애 영유아 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및 과제(사례 분석)(장애영유...
[한국 영유아보육서비스][미국 영유아보육서비스][영유아보육정책]한국의 영유아보육서비스와...
[영유아보육][영유아보육정책][영유아보육서비스][영유아보육사업][보육정책][보육사업][보육...
[졸업논문]우리나라 보육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보육서비스(정책)의 개념과 목적 및 보육 서비스 실태, 문제점 해결방안
보육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한보모가정아동, 부모의 이혼에 대한 아동의 반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