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2010년 12월 31일, 모두가 새해를 맞는 설렘에 들떠 있을 그 무렵, 60대의 노부부의 자살 소식이 들려왔다. 유서에는 “수급비 가지고는 생활이 안 돼 죽음을 선택한다. 5개월이 넘도록 어떻게 살고 있는지 물어보는 자식 있느냐”는 글이 쓰여 있었다고 한다. 아마도 이들에게 12월 31일은 2011년을 또 어떻게 살아가야 하나를 생각하게 하였을 것이고, 앞도 보이지 않고 그렇다고 물러설 곳도 없는 기로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하였을 것이다. 이 부부는 이혼한 상태로 한 달에 43만원이 채 되지 못하는 돈으로 월세 30만원을 내며 살았다고 한다. 이 뉴스를 접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녀들의 불효와 도덕성을 이야기할 것이다. 하지만 이 부부와 같은 처지에 놓여있는 사람이 한국사회에서 100만명이 넘는다면, 과연 그 부양의무를 하지 않는 부모와 자녀들이 모두 기본적인 예의와 도덕성이 없는 것일까? 그렇다면 이들이 부모와 자식으로서의 도리를 다하고 도덕성을 갖춘다면 한국사회의 빈곤은 해결되는 것일까?
추천자료
사회복지조직에 있어서 마케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어 민간 사회복지단체에서는 여러 방법...
[사회복지전달체계]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8가지 원칙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
[지역사회복지사의 역할] 지역사회복지의 문제해결과정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사의 자질과 역할
사회복지정책의 이론(사회양심론 음모이론 산업주의론 다원주의 시민권론 조합주의 이익집단...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과정 사회복지행정과 일반행정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특성 및 영역
[사회복지조사] 사회복지조사의 개념 및 절차 사회조사의 형태 - 사회복지조사연구의 특성 및...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쉽 중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이론에 대해 서술하세요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개념과 목적 및 발달과정
교회사회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교회사회복지] 교회사회복지의 실천방향 한국 교회사회복지의 과제
학교사회복지의 개념과 접근방법 및 대상 학교사회복지의 현황 및 실천 학교사회복지 전망과 ...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기능과 역할(정신보건사회복지의 실천영역 기능 정신보건전문요원 정신보...